fnctId=hsSub,fnctNo=112 2025 2023 2021 2020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HR102 종교학개론(Introduction to the Study of Religion) 전공필수 종교와 문화에 관한 종교학적 탐구를 위한 기초적 입문과목이다. 종교의 정의, 기원, 기능, 종교경험, 종교상징, 신화, 의례, 공동체 등에 대한 종교학적 이론을 학습하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넘나드는 복합적 학문으로서 종교학의 주요 특성 및 분야들을 파악한다. 또한 신 존재 문제, 악과 고통의 문제, 죽음과 종말의 문제 등 인간의 삶에서 제기되는 주요한 종교적 주제들에 다양한 종교적 해답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종교현상을 객관적·총체적으로 이해한다. 2025 1 HR239 종교상상력예술(Religion, Imagination and Art) 전공선택 종교와 예술이라는 두 개의 문화적 범주가 만나는 자리에 대한 탐구와 그 접점을 읽어내는 문법을 모색한다. 각 장르별로 예술적 상상력의 전개 양상과 논리를 살펴봄으로써, 종교학의 문화비평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2025 1 HR246 종교문화특강(Lectures in Religion and Culture) 전공선택 종교문화학은 종교문화 현장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과 이해가 특히 중요한 학문이다. 답사나 현지조사가 그러한 경험과 이해를 위해 현장으로 나아가는 데 중점을 둔다면, 본 교과목은 현장을 강의실로 들여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개별 종교들에 대한 기초 지식에서 최근의 뜨거운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를 탐구하면서 종교인, 활동가, 연구자를 초청하여 현장으로부터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함께 토론한다. 2025 1 HR248 종교젠더섹슈얼리티(Religion, Gender, Sexuality) 전공선택 여성학/젠더이론은 젠더와 섹슈얼리티라는 렌즈를 통해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하며, 종교학은 사회와 문화의 일부로서 종교에 대한 비평적 이해를 도모한다. 두 시각을 결합한 본 강좌는 종교적 역사와 현상에 관련된 젠더와 섹슈얼리티 문제를 이해하고, 젠더평등을 향한 종교의 역할과 종교학의 전망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종교 제도와 관습, 이미지와 상징, 신화와 의례, 언어와 무의식을 넘나들면서 종교가 가부장제를 강화해온 ‘억압적 측면’과 이런 지배구조에 도전해온 ‘해방적 측면’의 양면을 살핀다. 2025 1 HR254 한국종교문화사(History of Religious Culture in Korea) 전공선택 한국 종교문화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종교문화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흐름을 통시적인 맥락에서 고찰하여 그 역사상을 정리하고, 한국종교 및 종교예술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한다. 2025 1 HR255 현대한국사회와시민종교(Contemporary Civil Religions in Korea) 전공선택 시민종교(civil religion)는 한 사회를 통합시키는 문화적 메커니즘이자 토대이다. 시민종교는 ‘국가와 민족의 성화(聖化)’를 통해 민족국가를 문화적으로 통합한다. 전체주의적 독재사회에서 시민종교는 때때로 정치종교(political religion)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강좌에서는 해방 후 한국을 사례로 삼아, 국가적 상징과 신화와 의례체계의 형성, 국가적 영웅과 성스러운 장소들의 창출과 보호, 민족사에 대한 편집과 재해석, ‘국민 형성’을 위한 교육과 정치사회화, 지배적-저항적 시민종교들의 경쟁과 갈등 등을 분석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한마디로 이 강좌는 ‘대한민국의 종교학’을 지향한다. 2025 1 HR258 종교와문화원형(Religion and Cultural Prototypes) 전공선택 문화원형 창작소재의 주요 영역을 이루는 종교문화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를 실시하는 한편, 종교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에 대한 분석 및 기획 역량을 제고한다. 2025 1 HR259 종교와문화산업(Religion and Cultural Industry) 전공선택 전 사회의 시장화 흐름 속에서 갈수록 상품화, 기업화되는 문화적 현실과 거기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현실 속에서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 다양한 문화상품들이 어떻게 종교적 상상력과 콘텐츠를 도입하고 활용하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2025 1 HR260 라틴아메리카의신화와종교(Myth and Religion in Latin America) 전공선택 라틴아메리카는 다양한 형태의 신화와 종교가 만나고 있는 종교문화의 보고이다. 콜럼버스 이전의 잉카, 마야 등 중남미 고유의 인디언 종교, 식민지 지배와 함께 이식된 그리스도교, 그리고 식민지 노예로 끌려온 흑인들의 아프리카 종교 등이 종횡으로 얽혀 독특한 종교문화적 지평을 형성하고 있고, 그로 인해 다양한 종교학적 주제들을 연구하기 위한 풍부한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2025 1 HR261 중국의신화와종교(Myth and Religion in China) 전공선택 신화와 종교라는 창구를 통하여 중국의 역사, 사회, 문화를 이해한다. 중국의 종교적 특성과 중국종교의 역사를 개관하고,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 종교와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가를 분석한다. 2025 1 HR262 일본의신화와종교(Myth and Religion in Japan) 전공선택 신화와 종교라는 창구를 통하여 일본의 역사, 사회, 문화를 이해한다. 일본의 종교적 특성과 일본종교의 역사를 개관하고,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본 종교와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가를 분석한다. 2025 1 HR266 종교문화워크숍2(Workshop of Religion & Culture 2) 전공필수 이 과목은 새롭게 부각되는 중요한 종교나 문화 주제나 관심사에 대해, 교수 지도하에 학생들이 스스로 조별 단위로 공동 연구를 기획하고, 자료를 조사, 수집하여 과제물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기말에 전체 학생들이 모여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고, 더불어 관련 종교 문화 답사를 실시한다. 2025 1 HR268 종교와유튜브(Religion and YouTube) 전공선택 본 교과목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학습과 조사의 자료로 삼아 현실 세계의 종교를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튜브를 비롯한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은 기성 종교를 선교하는 미디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속 같은 약한 종교나 신종교 같은 주변부 종교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종교 공간이 되고 있다. 이제 우리는 무당이나 신종교 창립자가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여 자신의 종교적 능력을 과시하거나, 잠재적인 신자나 고객과 소통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요즈음 많은 사람들은 종교를 배우고 종교를 이해하고 종교적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유튜브를 활용한다. 영상이 문자를 대신하고 있는 것이다. 본 교과목은 현실 종교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안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리고 유튜브가 어떤 새로운 형태의 종교 지도를 그리고 있는지를 학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교과목에서 학생들은 종교와 관련한 자기만의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한 학기 동안 직접 조사할 것이다. 그리고 매주 학습 주제 별로 대표적인 온라인 동영상을 함께 시청하고 해당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현재 우리 세계에 존재하는 종교와 종교 현상을 더 생생히 학습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또한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은 스스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자기가 조사한 자료를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유튜브에 업로드하는 연습을 하게 될 것이다 2025 1 HR269 종교와혐오 (Religion and Disgust) 전공선택 본 강의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혐오현상을 종교학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인 혐오현상인 여성, 지역, 인종, 신분 등 외에도 최근 점증하고 있는 노인, 에이징, 빈곤, 정치, 종교 등과 같은 혐오현상의 근본 논리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러한 혐오현상의 이면에는 인지적으로 종교가 제공해온 분리와 배제의 논리적 구조가 내포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그것의 극복방안을 모색한다. 2025 1 HR270 영화로읽는종교갈등사(History of Religious Conflict in Films) 전공선택 종교간 갈등은 고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장구한 역사를 가진다. 종교적 지식에 대한 확고한 신념은 순교로부터 전쟁에 이르는 다양한 갈등의 스펙트럼을 형성하는데, 이는 자신들이 처한 정치 경제 문화적 환경과도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일어난다. 본강좌는 이러한 현상을 역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것이 가지는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소통과 공존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 강좌는 영화적 경험을 통해 갈등의 실재를 현재화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한다. 2025 1 HR273 악마의문화사(Devil and Culture) 전공선택 인류의 문화는 완전성을 성취하고자 하는 인간의 갈망 위에서 형성되어 왔고 신은 이러한 희망에 대한 표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피할 수 없는 악의 문제는 완전성에 대한 의문과 함께 이를 방해하는 인격적 존재인 악마를 탄생시켰다. 이는 현실 속에서 극복할 수 없는 인간의 실존적 한계를 투사한 또 다른 표상이다. 따라서 악과 악마에 대한 이해는 또 다른 인간 이해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본 강좌는 악마의 탄생과 역사를 문화사적 시각에서 탐구함으로써 그것의 인간학적 의미를 추구한다. 2025 1 HR301 비교종교학(The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 전공선택 종교학의 중요한 방법론적 기반의 하나인 비교의 방법과 이론을 정리하고 비교종교학의 학문적 성과를 개관한 후, 이를 토대로 궁극적 실재관, 인간관, 구원론, 실천론, 세계관 등 다양한 종교적 주제에 대한 비교 작업을 실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25 1 HR310 종교인류학(Anthropology of Religion) 전공선택 이 강좌의 목표는 종교와 문화의 관계를 폭넓게 조망해 가는 가운데, 종교인류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하며, 종교현상에 대한 인류학적 분석방법을 익히고자 하는 데 있다. 먼저, 문화 자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연구의 최근 흐름을 익힌다. 그 다음으로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종교인류학적 관심과 그 역사에 대해 배우게 되며, 마지막으로 종교인류학의 연구주제들로서 신화와 의례, 조상숭배와 샤머니즘, 종교적 의사소통, 종교전문가, 종교적 치료, 마법(witchcraft)과 요술(sorcery), 종교와 문화변동 등을 다루게 된다. 2025 1 HR314 종교문화유산답사Ⅱ(Field Research of Religion Ⅱ) 전공필수 국내의 종교문화유산 및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답사와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 종교의 역사와 현재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이해한다. 매년 봄에 시행되는 학과 전체 학술답사와 연계하여, 답사의 준비작업, 예비답사, 답사자료집, 본답사, 답사보고서 등 실질적인 참여학습을 실시한다. 2025 1 HR318 종교와환경문제(Environmental Issues in Religions) 전공선택 환경 파괴적 근대화의 폐해들이 속속 가시화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적, 인류적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자연환경을 정복과 지배의 대상으로 여기는 서구적 근대화의 철학적 기초가 기독교에 의해 주어졌다는 비난과 함께, 불교, 도교, 힌두교 등 동양종교들의 자연 친화적 종교사상으로부터 그 대안을 찾아내야 한다는 주장도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각 종교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전례 없이 고조되었고, 저마다 환경문제에 대한 이론적, 신학적 입장을 정립하려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강좌는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주요 종교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대응을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2025 1 HR332 종교학강독(Readings in Religious Studies) 전공선택 종교학의 고전적 저작이나 최근의 문제적 저작을 강독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과목으로서, 구미에서 전개된 종교학의 기본적인 개념과 용어 및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검토함으로써 영문으로 된 종교학 원서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적용을 모색한다. 2025 1 HR371 종교문화워크숍3(Workshop of Religion & Culture 3) 전공필수 이 과목은 새롭게 부각되는 중요한 종교나 문화 주제나 관심사에 대해, 교수 지도하에 학생들이 스스로 조별 단위로 공동 연구를 기획하고, 자료를 조사, 수집하여 과제물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기말에 전체 학생들이 모여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고, 더불어 관련 종교 문화 답사를 실시한다. 2025 1 HR406 종교문화유산답사Ⅲ(Field Research of Religion Ⅲ) 전공필수 국내의 종교문화유산 및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답사와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 종교의 역사와 현재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이해한다. 매년 봄에 시행되는 학과 전체 학술답사와 연계하여, 답사의 준비작업, 예비답사, 답사자료집, 본답사, 답사보고서 등 실질적인 참여학습을 실시한다. 2025 1 HR413 한국의민간신앙과샤머니즘(Folk Religion and Shamanism in Korea) 전공선택 한국 민간신앙의 핵심인 무속의 특성을 샤머니즘이라는 넓은 맥락에서 이해하고, 나아가 무속을 비롯해 점복, 예언, 귀신신앙, 가신신앙, 마을신앙, 풍수신앙 등 다양한 민간신앙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러한 민간신앙이 관혼상제의 평생의례, 의복문화, 주거문화, 음식문화, 놀이문화 등 한국인의 일상적 삶과 어떻게 관련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2025 1 HR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1 HR434 논문지도(Writing Thesis) 전공필수 이 과목은 졸업논문 작성을 돕는 강좌이다. 논문작성법 학습, 논문계획서 작성, 논문초고 작성 및 발표, 논문심사, 논문수정 및 최종완성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2025 1 HR435 종교와사회운동/사회복지(Religion, Social Movement, and Social Welfare) 전공선택 한국의 그리스도교는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인권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으며, 한국 시민사회에서 가장 큰 비정부조직(NGO)을 형성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에서 발견되는 비판적 사회운동의 독특한 발전 과정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한국에서 종교는 사회복지 영역을 선구적으로 개척해왔을 뿐 아니라, 지금도 한국 사회복지 전체에서 크나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한국의 종교-사회운동-사회복지의 다각적인 관계를 역사적이고 비교사회학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2025 1 HR502 종교문화유산답사Ⅱ(Field Research of Religion Ⅱ) 전공필수 국내의 종교문화유산 및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답사와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 종교의 역사와 현재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이해한다. 매년 봄에 시행되는 학과 전체 학술답사와 연계하여, 답사의 준비작업, 예비답사, 답사자료집, 본답사, 답사보고서 등 실질적인 참여학습을 실시한다. 2025 1 HR503 종교문화유산답사Ⅲ(Field Research of Religion Ⅲ) 전공필수 국내의 종교문화유산 및 종교공동체에 대한 현장답사와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 종교의 역사와 현재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이해한다. 매년 봄에 시행되는 학과 전체 학술답사와 연계하여, 답사의 준비작업, 예비답사, 답사자료집, 본답사, 답사보고서 등 실질적인 참여학습을 실시한다. 2025 1 HR510 종교와정치국가(Religion, Politics and the State) 전공선택 기존의 ‘교회-국가 연구’를 넘어, ‘종교정치(religious politics)’의 활성화, ‘종교정치학(politics of religion)’의 형성·발전이라는 최근 수십 년의 추세를 반영하는 강좌이다. 천년왕국운동, 영국노동계급에 대한 감리교의 영향, 공산권 종교 연구와 같은 1950∼60년대의 연구들을 비롯하여, 1970년대 이후 라틴아메리카·한국·필리핀·스페인 등 세계적으로 전개된 교회의 민주화운동, 시민종교(civil religion)와 정치종교(political religion), 매개구조(mediating structures)에 관한 연구들, 신종교-국가 관계 연구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활성화된 이슬람근본주의운동, 종족-종교 분쟁(ethno-religious conflicts), 미국의 기독교 신우파(Christian New Right)에 관한 연구들이 강좌를 통해 소개되고 토론될 것이다. 2025 1 HR521 세계화와종교(Globalization and Religion) 전공선택 종교와 세계화의 관련을 탐구하는 과목이다. 해외선교처럼 종교가 세계화를 선도해온 측면들, 그리고 반대로 세계화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종교 변동들을 두루 검토해본다. 지난 수세기 동안 계속되어온 종교와 세계화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과정을 조망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5 1 HR535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R536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R537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R538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HR539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담당부서 : 종교문화학 전화번호(수업) : 031-379-0570 전화번호(학적) : 031-379-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