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소개
수리금융학은 응용수학, 경영학, 산업공학, 통계학, 전산학 등이 어우러진 융합학문으로서 수학적인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금융시장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여기서 금융시장이란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현물 시장과 선물 및 파생상품 시장 등을 의미한다. 수리금융의 용도는 크게 두 가지로, 은행이나 보험사 등의 금융기관에서 금융상품을 개발하는 목적, 그리고 금융시장에서 수학적인 분석 방법으로 수익을 내기 위한 투자 목적으로 분류된다. 수리금융에는 파생상품 설계, 위험 관리 등과 같이 많은 분야가 있으며 보, 험수학도 한 갈래로 여겨진다.
전공 특성화
한신대학교 이공계융합대학 수리금융학전공에서는 수학, 통계학, 재무론, 경제학, 컴퓨터공학 분야의 학문적 이론을 접목하여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금융관련 지식과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이론을 겸비한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함을 교육목표로 삼는다. 수학, 경제학, 경영학, 통계학, 전산학 등 금융 및 통계 분석과 관련된 기본 이론을 배움과 동시에 수학적 분석을 위한 도구들과 전산처리 능력을 개발하는 전산 실습 과목을 배우고 이를 실제 금융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해 보며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3, 4학년생에게는 금융업계 진출에 필요한 자격증을 취득과 어학능력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목표
국내외의 금융현상들을 잘 이해하고 분석하며 활용할 수 있는 미래의 금융사회를 이끌어 갈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경제 재무 분야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금융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분석능력과 실무에 필요한 IT능력을 겸비하여 인류가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일에 기여하며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와 이상을 위해서 헌신할 수 있는 실천적인 금융인으로 육성하고자 한다.
전공의 인재상
- 인류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한 인재
- 사회정의를 실천할 수 있는 실천적인 지성인
-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겸비한 진취적인 인재
- 금융에 관한 풍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인재
- 국제화와 세계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인재
전공 취득자격증
감정평가사, 공인재무분석사(Chartered Financial Analysist), 관리회계사(Certified Management Accountant), 금융자산관리사(Financial Planner), 보험계리사, 선물거래상담사(CFC), 손해사정사, 신용위험분석사(Credit Risk Analysist), 외환관리사, 은행텔러, 일반운용전문인력(Registered Fund Manager), 증권분석사, 증권투자상담사(CSIC), 재무 관리사(Certified Financial Manager), 재무위험관리사(Financial Risk Manager), 채권관리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 회계사, 공인중계사
진출분야
- 금융계 : 농협, 수협, 은행, 보험업계, 증권사, 금융연구소
- 학계 : 대학원(일반, 금융, 교육), 유학(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 공무원 : 일반행정, 소방, 경찰
- IT업계 : 컴퓨터 프로그래머
- 기타 : 유통업계, 일반기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