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30 2025 2023 2021 2019 2018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2 EZ119 콘텐츠디자인(Content Design) 전공선택 효과적인 콘첸츠 제작을 위한 창조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디자인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해 시각적 주제 및 스타일, 색상, 이미지, 문자, 동영상, 음향 등 콘텐츠 디자인의 요소와 매체를 다루는 기술과 활용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포토샵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이를 위해 포토샵 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작업을 학습한다. 2025 2 EZ140 자율사물과활용사례() 전공선택 기업 경영, 특히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문제의 정의, 자료의 수집, 분석, 활용과 관련된 주요 개념과 방법론을 익힌다. 특히, FGI, 설문조사 등을 직접 기획 및 수행해 봄으로써 활동에 필요한 주요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2025 1 EZ201 e-비즈니스개론(Introduction to e-Business) 전공선택 e-비즈니스에 대한 입문과목으로서, 국내외 전자상거래 현황과 전망, 전자상거래의 기반기술구조 및 요소 및 기술의 이해, 인터넷 마케팅, 그 응용분야 등 전자상거래에 대한 전반적이며 개괄적인 내용들을 학습한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경제가 산업생산성 및 개별산업에 미치는 효과 등을 폭 넓게 이해한다. 2025 2 EZ208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전공선택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경영정보시스템의 유형 구성, 개발 및 통제방법을 다루며 정보기술을 조직에 효율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전략적 운용방식, 정보자원의 관리 및 정보시스템의 평가방법과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으로서의 활용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또한 정보기술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정보기술을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적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2025 1 EZ212 전산회계(e-Accounting) 전공선택 기업의 회계업무를 관리하는 복식부기의 원리,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와 같은 재무제표의 이해와 작성 방법 및 절차를 전산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이로써 기본적인 회계개념을 이해하고 재무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며 e-비즈니스 기업의 경영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2025 1 EZ214 마케팅원론(Principles of Marketing) 전공선택 마케팅은 기업과 같은 조직이 시장과의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의 경영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경영학의 핵심 분야이다. 본 강좌는 조직이 시장을 이해하고, 경쟁자보다 더 잘 만족시킴으로써 조직의 장기적인 성공을 달성하는 전략적 원리와 전술적인 조치들을 이해하고 나아가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강좌는 전통적인 경영환경은 물론 4차산업 혁명 시대의 환경을 고려한 마케팅 이론과 사례를 폭 넓게 다루고자 한다. 2025 1 EZ227 웹프로그래밍활용(Web Programming Conjugation) 전공필수 e-비즈니스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웹시스템의 원리와 구축 방법을 이해하고, Java 기반의 JSP 스크립트의 개요, 기초문법,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간의 정보전달,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정보처리 기법과 콘텐츠 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2025 2 EZ236 인터넷마케팅과창업(Internet Marketing and Founding) 전공선택 소비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제품정보를 습득하며, 제품을 직접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한다. 따라서 기존의 마케팅과 다른 특성을 이해하고 응용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인터넷 광고,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다이렉트 마케팅, e-mail 마케팅, One-to-one 마케팅, CRM(고객관계관리) 등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학습한다. 특히, 본 교과목은 창업 비중이 높은 인터넷 마케팅 분야의 이론을 교육하여, 인터넷 마케팅의 원리, 인터넷을 활용한 창업 기회 발굴 등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2025 2 EZ237 파이썬프로그래밍활용(Phython Programming Conjugation) 전공필수 파이썬언어는 플랫폼 독립적이고 언어의 간단 명료성 때문에 현재 많은 IT 비즈니스 분야에서 각광 받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본 수업에서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파이썬 언어를 기반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파이썬 언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한다. 2025 1 EZ238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Introduction to Python Programming) 전공필수 파이썬언어는 플랫폼 독립적이고 언어의 간단 명료성 때문에 현재 많은 IT 비즈니스 분야에서 각광 받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본 수업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이 쉽고 편하며, 특히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고, 최근 많은 기업들이 실무에 활용하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바탕으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초 및 프로그램 개발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4차산업시대의 요구되는 역량인 소프트웨어적 사고력을 배양한다. 2025 1 EZ239 데이터분석(Data Analysis) 전공필수 인공지능 시대에 따라 제반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과목은 경영활동에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주요한 방법인 기계학습 기반 데이터 분석 기법과 활용 방법을 학습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군집화, 연관분석, 분류, 회귀문제 등이다. 2025 2 EZ241 자율주행자동차제작실습() 전공선택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함으로써 등장한 IoT 및 AI 기술들이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물론 기업경영의 생산활동 및 서비스활동에 접목되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주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과 관련된 전문인력들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해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본 강좌에서는 제 4차 산업혁명, IoT 및 AI 기술에 대한 입문과정으로 본 강좌를 개설하여 수강 학생들에게 IoT 및 AI 기술에 대한 기술적 이론 및 사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해당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가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5 2 EZ249 데이터활용기초(Introduction to Data Analysis) 전공선택 인공지능 시대에 따라 제반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능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과목은 경영활동에서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테크닉을 익힌다. 주요 내용은 R의 개요와 환경 구축, 기초 문법, 데이터프레임 활용, 웹 스크래핑, 공공데이터 포털의 API 기반 데이터 활용,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하는 데이터 활용 등이다. 2025 1 EZ250 시장조사방법론(Market Research Methodology) 전공선택 기업 경영, 특히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문제의 정의, 자료의 수집, 분석, 활용과 관련된 주요 개념과 방법론을 익힌다. 특히, FGI, 설문조사 등을 직접 기획 및 수행해 봄으로써 활동에 필요한 주요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2025 1 EZ252 자율비행드론제작실습(Hands-on practice for making autonomous drone) 전공선택 4차산업혁명 시대에 사물인터넷은 주요 기술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 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자율비행드론은 물류와 교통 분야의 기술 혁신으로 사회문화를 변화시킬 주요 제품으로 기대되고 있다. 파이썬으로 작동되는 마이크로비트는 코딩 교육에 적합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각광받고 있다. 주요 학습내용은 마이크로비트의 주요 기능 이해와 실습, 초음파 센서 등의 이해와 활용, 모터 제어, 드론 모형 설계, 자율비행드론 제어 등이다 2025 1 EZ254 IT경영과혁신(IT management & innovation) 전공선택 ● 기술과 비즈니스 전략과의 긴밀한 연계과정을 설명함으로써 IT가 경영혁신을 촉진하는 전환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함양 ● IT와 경영의 융합, 혁신에 끼치는 상호작용을 이해함으로써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육성 ● 인공지능 시대 기술변화에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 강화 2025 2 EZ302 인공지능과스타트업(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artup) 전공선택 4차 산업혁명 기술은 시장과 소비 트렌드는 물론, 직업과 삶의 방식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런 환경의 기반 기술로는 인공지능이 있다. 인공지능과 스타트업 생태계 이해를 통해 산업과 경영활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최근 트렌드의 경쟁력을 함양한다. 주요 학습 내용은 탐색기법, 전문가시스템, 퍼지알고리즘, 유전알고리즘, 기계학습, 인공지능 스타트업 생태계 및 트렌드 분석 등이다. 2025 1 EZ313 조직관리론(Organization Management) 전공선택 기업의 경영에 필수적인 인사 관리와 조직 관리의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인적자원의 관리를 통해 인력의 채용, 육성, 평가, 보상, 퇴직 관리 등 인사관리 전반을 학습하고, 조직의 설계, 문화관리, 리더십 관리 등에 대해 학습한다. 2025 1 EZ319 웹프로그래밍(Web Programming) 전공필수 e-비즈니스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웹시스템의 원리와 구축 방법을 이해하고, Java 기반의 JSP 스크립트의 개요, 기초문법,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간의 정보전달, 기업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정보처리 기법을 익힌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선수과목으로 한다. 2025 2 EZ323 사물인터넷종합설계(Capstone Design for Internet of Things) 전공선택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따라 IT 기술은 융합적 관점에서 경영 활동과 사회•문화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과목은 사물인터넷(IoT)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실용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와 산업의 트렌드를 이해하며, 비즈니스 역량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주요 내용은 Design Thinking 기반 비즈니스 제품 기획과 운영, 3D 프린팅 설계, IoT 기반 프로토타입, 스마트폰 앱 구현 등이다. 2025 1 EZ324 데이터분석종합설계(Capstone Design for Data Analysis) 전공선택 파이썬, R 및 시장조사 등 데이터 분석 관련 교과목을 통해 습득한 이론과 도구 활용 방법을 바탕으로 심화된 데이터 분석 설계능력을 함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분석 대상을 선정하고, 분석 방법을 설계하고, 분석 프로그램 구현을 통해 데이터 분석 관련 시스템의 설계 및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추기 위한 종합적인 능력을 학습한다. 2025 2 EZ335 물류관리론(Logistics Management) 전공선택 전통기업에서도 중요한 변수였던 고객에 대한 서비스 극대화는 온라인 기업에서도 핵심적인 성공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종 고객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의 중요성은 경영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e-비즈니스 환경하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조달, 생산, 판매, 회수 물류와 같은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2025 1 EZ336 경영전략론(Strategic Management) 전공선택 인터넷 기업 경쟁환경을 분석하고, 온라인 기업과 오프라인 기업간의 전략적 제휴, 인수 합병 등 전략대안의 비교분석 평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방안을 연구함과 동시에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2025 2 EZ339 시장조사와사업계획서(Market Research and Business Plan) 전공선택 본 교과목은 시장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장조사론]의 이론과 실습을 통해 최종적으로 신규 사업의 타당성과 시장진입 전략 중심의 사업계획서라는 구체적인 결과물 작성을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목의 목표 달성을 위해 1)사업계획에 대한 이해, 2)시장조사의 이해, 3)시장조사 실습, 4)시장조사 실습결과를 이용한 사업계획서 작성이란 세부 활동들을 수업을 통해 배우고 익히게 할 것이다. 2025 1 EZ341 글로벌경영과비즈니스모델(Global Management & Business Model) 전공선택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이하여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가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글로벌 경영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외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분석 및 해당 기업들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해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글로벌 경영활동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간다. 2025 1 EZ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2 EZ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5 1 EZ427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27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Z428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28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Z429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29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Z430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5(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30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5(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EZ431 창업경영론(Startup Management) 전공선택 e-비즈니스 환경에 적합한 창업의 전반적인 기획, 특히 전자상거래 분야의 사업계획과 전략수립에 대해 학습한다. 전자상거래 산업을 비롯한 IT 산업분석, 고객 및 수요분석, e-비즈니스 구성요소 분석, 사업전략수립, 경쟁분석, 자금계획, 인재확보계획, 브랜드 전략, 시스템개발 일정관리, 시스템 자원관리 등을 학습한다. 2025 1 EZ43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3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EZ435 기술경영과지식재산(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tellectual Property) 전공선택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의 발전은 사회와 비즈니스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이에 4차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 3D Printing, Block Chain 등의 원리와 이와 관련한 지식재산들을 분석, 예측, 관리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이러한 기술 및 지식재산을 현재 또는 새롭게 등장할 비즈니스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응용 사고력을 배양하여 실무 역량을 함양한다. 2025 1 EZ436 IT경영세미나Ⅰ(Seminar in IT Management Ⅰ) 전공선택 최근의 e-비즈니스 동향을 파악하고 기업의 경영활동을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여 직무 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계하고 취업 준비 및 활동에 활용한다. 2025 1 EZ438 마케팅관리_NCS() 전공선택 전체 시장을 유사한 행동과 특성으로 정의되는 세분시장들로 나누고, 이들 중에서 표적세분시장을 선정하여 자사제품을 경쟁사 대비 유리하게 위치시켜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다. 2025 1 EZ439 고객분석과데이터관리_NCS() 전공선택 경영활동에서 고객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초능력 함양과 인공지능 기법의 데이터분석을 통한 문제해결 과목 2025 2 EZ446 IT경영세미나Ⅱ(IT Management Seminar Ⅱ) 전공선택 최근의 IT트렌드를 파악하고 기업경영활동을 시대에 맞게 분석하여 직무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계하고 취업준비 및 활동에 활용한다. 2025 1 EZ447 빅데이터이해및기획_NCS(Big Data and Planning) 전공선택 빅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빅데이터 분석기획을 통해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의 특징에 따라 데이터 수집 및 저장, 처리, 분석을 통해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추출하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학습을 합니다. 담당부서 : IT경영학 전화번호 : 031-37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