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8 2023 2021 2019 2017 2016 2015 2013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HJ115 일본사첫걸음(Introduction to Japanese History) 전공선택 일본사의 시대 구분을 다라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흐름을 개관하여 일본사에 대한 기초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보다는 일본사의 전개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의 이해와 역사학 및 일본학 연구에의 입문을 목표로 한다. 2023 2 HJ127 일본어한자Ⅱ(Japanese-Chinese Character Ⅱ ) 전공선택 초급레벨의 교육용 일본어 한자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과목이다. 이를 통해서 일본어 한자쓰기, 읽기, 문장이해 능력을 도모한다. 2023 1 HJ128 초급일본어회화1(Primary Course of Japanese Conversation 1) 전공선택 2023 2 HJ129 초급일본어회화2(Primary Course of Japanese Conversation 2) 전공선택 2023 1 HJ218 일본어강독(Reading in Japanese Language) 전공선택 일본어의 기본 문형을 반복 숙달시켜 지역학 및 문학 작품 등의 일본어 문헌의 원활한 이용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강좌는 교직기본에 해당되는 과목이므로, 교직을 희망하는 학생은 이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2023 2 HJ220 일본정치의이해(Understanding in Japanese Politics) 전공선택 이 강좌의 목표는 현대 일본정치가 전개되는 과정 및 제도를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일본사회에서 정치적 영역이 차지하는 위치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강좌는 일본정치의 주요 제도, 정당정치의 특징, 정책 결정과정, 주요 정책 이론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강좌는 학생들이 일본정치의 내적 메커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제반 일본정치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023 2 HJ226 사건으로보는일본사(Seminar on Japanese History to review Historic Event) 전공선택 일본사의 한 획을 그은 주요 사건, 가령 다이카 개신, 헤이케 멸망과 가마쿠라 막부 설치, 전국 시대, 혼노지의 변, 오사카 겨울 전투, 메이지 유신, 태평양 전쟁의 패전과 GHQ 설치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일본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3 2 HJ251 일본어작문(Composition in Japanese Language) 전공선택 외국어로서의 일본어를 구사하는 분야 중에서 특히 작문 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맞춘 강의이며, 주어진 테마에 관한 작문을 실시하고 오류를 검토함으로써 일본어 작문 능력의 제고를 기한다. Ⅰ은 기초적인 일본어글쓰기능력을 학습하도록 하고, Ⅱ는 전공에 관련된 글쓰기능력을 심화하는 데 목표가 있다. 특히 일본어작문Ⅰ은 교직기본에 해당되는 과목이므로, 교직을 희망하는 학생은 이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2023 1 HJ252 일본문학개론(Introduction to Japanese Literature) 전공선택 일본문학의 주요한 특징과 그 변천에 대해 조사하고, 각 시대별로 유명한 작가의 사상과 작품, 문학 작품과 시대상황과의 관계 등을 정리함으로써, 일본문학 연구의 기초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이 강좌는 교직기본에 해당되는 과목이므로, 교직을 희망하는 학생은 이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2023 1 HJ256 중급일본어Ⅰ(Intermediate Course of Japanese Language Ⅰ) 전공선택 일본학 전공자로서 필요한 문장 연습 및 응용과 아울러 실용 일본어에 대한 실전적 연마를 목표로 한다. 2023 2 HJ261 동아시아와일본문학(Japanese Literature in East Asia) 전공선택 일본문학을 근현대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관계 속에서 파악해 보는 수업이다. 이를 통해 문학과 역사, 표현과현실의 긴장관계, 그리고 지역연구로서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2023 2 HJ262 일본현지연수및실습Ⅱ(Field Research and Linguistic Training in Japan Ⅱ) 전공선택 이 강좌는 일본의 현지 어학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집중코스로 일본어교육을 수행하고, 학생들에게 현지 홈스테이와 문화체험기회를 부여한다. 일본어능력을 향상시키고 일본사회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도록 설계되었다. 이 강좌는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계절학기로 개설 될 것이다. 2023 2 HJ264 중급일본어Ⅱ(Intermediate Course of Japanese Language Ⅱ) 전공선택 일본학 전공자로서 필요한 문장 연습 및 응용과 아울러 실용 일본어에 대한 실전적 연마를 목표로 한다. 2023 1 HJ266 일본어한자(Japanese-Chinese Character ) 전공선택 초급레벨의 교육용 일본어 한자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과목이다. 이를 통해서 일본어 한자쓰기, 읽기, 문장이해 능력을 도모한다. 2023 2 HJ268 일본사회와문화(Japanese Society and Culture) 전공선택 일본문화론 전반에 대한 개설적 강좌이다. 일본의 전통문화와 근현대 문화를 통설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일본문화에 대한 사회과학적 인식틀의 기본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본강좌의 목표이다. 그리고 일본 각 지방의 생활 문화의 비교를 통해 일본문화의 보편적 특질과 그 특수한 전개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2023 1 HJ269 일본학조사연구Ⅰ(Inquiry of Japanese Studies Ⅰ) 전공필수 일본학과 재학생은 누구나 참가해야 하며, 전체 재학생은 조별로 나뉘어 주어진 테마에 대해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게 된다. 2023 2 HJ270 일본학조사연구Ⅱ(Inquiry of Japanese Studies Ⅱ) 전공필수 일본학과 재학생은 누구나 참가해야 하며, 전체 재학생은 조별로 나뉘어 주어진 테마에 대해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게 된다. 2023 1 HJ271 한일시민사회(Introduction of Korea-Japan Civil Society) 전공선택 일본 시민사회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이슈영역별로 현대 일본의 시민사회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시민사회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구조를 분석하며, 시민사회와 그 정치적 효과라는 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2023 1 HJ272 일본경제개관(Introduction of Japanese Economy) 전공선택 이 과목은 현대 일본 경제의 구조와 진화를 이해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이웃나라 일본의 경제적 특질을 이해하고, 경제와 사회, 문화, 정치간의 연관성을 이해함으로써 일본사회에 대한 총체적이고 구조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일본경제와 세계경제간의 연계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을 통해, 학생들은 세계 자본주의의 보편적, 특수적 특질을 이해할 수 있다. 2023 2 HJ304 한일관계사(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 전공선택 한일 관계의 현상에 대한 이해의 증진과 바람직한 양구 관계를 향한 새로운 역사적 안목 형성의 시도를 목표로 하여 숙명적인 한일 양국 간의 관계사의 흐름과 배경을 고찰한다. 주요한 테마로는 일본의 사민당(구 사회당)을 비롯한 진보 세력의 내셔널리즘적인 한계를 직시하는 것과, 보수 우익의 역사 인식의 핵심은 무엇인가, 나아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문제에 대한 일본 각계의 인식의 변화를 점검해 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2023 1 HJ319 현대일본정치(Modern Japanese Politics) 전공선택 이 강좌의 목표는 현대 일본정치가 전개되는 과정 및 제도를 체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일본사회에서 정치적 영역이 차지하는 위치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강좌는 일본정치의 주요 제도, 정당정치의 특징, 정책결정과정, 주요 정책이론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강좌는 학생들이 일본정치의 내적 메커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제반 일본정치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023 2 HJ328 현대일본외교(Modern Japanese Diplomatic Relations) 전공선택 이 강좌는 현대 일본외교의 주요 흐름과 정책결정과정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 강좌는 전후 외교에 중점을 두나, 전전과의 비교 또한 일정한 비중을 두어 다루어 갈 것이다. 특히 탈냉전 시기 일본외교의 특징을 제도와 정책여론, 외교전략 등의 다차원적 관계 속에서 분석하고, 이것이 동아시아 외교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나아가 현대 일본외교의 선택지가 한국 및 한반도에 미칠 영향 또한 분석하고자 한다. 2023 2 HJ336 비즈니스일본어(Business Japanese) 전공선택 비즈니스에서 쓰는 경어표현이나 관용표현 및 편지나 팩스·메일 등을 쓰는 방법에 익숙해지고 실제상황에서 쓸 수 있도록 연습한다. 2023 1 HJ344 일본연구해외자료강독(Textual Exposition of Japanese Inquiry Overseas Material) 전공선택 이 강좌는 해외, 주로 일본 내에서의 일본 사회에 대한 연구의 성과를 흡수하고 학생들의 일본어 자료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등 주요 분야들에 대한 일본 내 연구자들의 핵심적 연구업적을 선별해 강독해 나갈 것이다. 이 강좌로부터 학생들은 일본 지역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흐름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며, 일본어 독해 능력을 한 단계 고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2023 2 HJ357 일본정치외교조사(The Research on Japanese Politics) 전공선택 이 강좌는 3, 4학년 학생들의 졸업논문 준비과목으로서, 일본학조사연구의 일본정치연구회의 심화된 조사수업으로서의 위치를 갖는다. 그리고 일본정치관련 쟁점을 졸업논문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학생들을 주제별로 집중지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학생들은 지도교수와의 상의를 통해 일본정치 및 외교,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관련된 논문의 주제를 정한 이후, 자료조사, 자료분석, 그리고 집필을 위한 논점 및 논리체계설정 등에 걸쳐 심층지도를 받을 수 있다. 2023 1 HJ359 일본학조사연구Ⅲ(Inquiry of Japanese Studies Ⅲ) 전공필수 일본학과 재학생은 누구나 참가해야 하며, 전체 재학생은 조별로 나뉘어 주어진 테마에 대해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게 된다. 2023 2 HJ360 일본학조사연구Ⅳ(nquiry of Japanese Studies Ⅳ) 전공필수 일본학과 재학생은 누구나 참가해야 하며, 전체 재학생은 조별로 나뉘어 주어진 테마에 대해 조사,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게 된다. 2023 1 HJ378 통번역실습Ⅰ(Exercise in Korean-Japanese Translation Ⅰ) 전공선택 고급 수준의 일본어를 학습하는 수업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통번역을 실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졸업논문으로 문학영역이나 번역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수강을 권장한다. 2023 1 HJ382 동아시아문화문명론(Civilization and Culture in East Asia) 전공선택 동아시아지역의 문화, 문명적 특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문명/ 문화교류의 역사를 이해한다. 나아가 각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외교, 그리고 문화산업의 가능성을 분석적으로 해명한다. 2023 1 HJ383 동아시아의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 in East Asia) 전공선택 이 강좌는 동아시아시민사회론과 연계하여 사회적 기업의 각국실태를 분석하고, 동아시아 국제 NGO 운동론의 영역 속에서 사회적 기업적 접근의 발전적 기여가능성을 모색한다. 특히 무역,투자,생산, 유통영역에서 시민운동의 진보적 경제접근의 가능성을 시민 운동론과 국제경영/정치경제의 접점을 통해 모색해 갈 것이다. 2023 2 HJ385 일본명작감상(Appreciation of Japanese-Masterpieces) 전공선택 일본문학작품 중 명작을 선정하여 강독함으로써 일본어 능력의 신장을 물론 일본문화와 사회에 대한 교양의 신장과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2023 2 HJ387 통번역실습Ⅱ(Exercise in Japanes-Korea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Ⅱ) 전공선택 고급 수준의 일본어를 학습하는 수업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를 이해하고, 기초적인 통번역을 실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졸업논문으로 문학영역이나 번역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수강을 권장한다. 2023 1 HJ392 현대일본사회와대중문화(Japanese Modern Society and Popular Culture) 전공선택 애니메이션을 필두로 일본을 넘어서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의 대상이 되는 일본 대중문화의 주요 장르를 대상으로, 그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파악하고 진단한다. 2023 1 HJ393 일본경제사(History of Contemporary Japanese Economy) 전공선택 이 과목은 근대 및 현대 일본 경제의 진화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강좌이다. 이를 통해 현대 일본경제의 원점과 변화의 동인을 확인하고, 현대 일본자본주의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역사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한편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서 일본의 근대자본주의형성 및 그 현대적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경제적 특질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23 1 HJ394 일본문학과문화(Japanese Literature and Culture) 전공선택 최근 문학의 영역에서 다양한 대중문화와 융합하여 새로운 장르가 창출되는 현실을 반영하여 일본의 문학과 대중문화를 결합함으로써 일본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일본학 학습의 심화와 체계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023 1 HJ395 프리젠테이션일본어(Presentation Japanese) 전공선택 현대사회에서 학술, 비즈니스 현장에서 요구되는 발표와 토론을 보다 정확하고 상황에 맞게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심층적으로 일본어 말하기, 듣기, 쓰기 능력을 신장시킨다. 2023 1 HJ419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전공필수 4년 동안 배운 지식을 심화하고 총정리하기 위해 자신이 정한 테마에 관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논문으로 완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번역이나 일본학과 관련한 작품을 제출할 수도 있다. 2023 2 HJ419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전공필수 4년 동안 배운 지식을 심화하고 총정리하기 위해 자신이 정한 테마에 관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논문으로 완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번역이나 일본학과 관련한 작품을 제출할 수도 있다. 2023 1 HJ442 일본사연습(Seminar on Japanese History ) 전공선택 정해진 테마에 관한 각종 사료의 독해 및 세미나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본격적인 일본사 숙련의 단계로서, 역사학의 연구 방법론에 기초하여 한 사건의 전후 맥락과 역사적 평가, 그리고 연구 시각의 변화 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2023 1 HJ451 일본현지연수및실습Ⅰ(Field Research and Linguistic Training in Japan Ⅰ) 전공선택 이 강좌는 일본의 현지 어학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집중코스로 일본어교육을 수행하고, 학생들에게 현지 홈스테이와 문화체험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일본어능력을 향상시키고 일본사회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도록 설계되었다. 이 강좌는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계절학기로 개설 될 것이다. 2023 1 HJ453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53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1 HJ454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54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1 HJ455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55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1 HJ456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56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1 HJ457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57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3 2 HJ461 시청각일본어(Japanese by media contents) 전공선택 인터넷, 매스미디어와 같은 시청각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일상에서 사용되는 실용적 일본어 표현을 학습하고,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3 1 HJ464 일본NPO조사(Seminar on Japanese NPOs) 전공선택 이 강좌는 한일시민사회와 연계하여 일본의 NPO 발전을 위한 정치적, 제도적 환경을 분석하고, 일본 NPO 및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한다. 특히 이를 통해 경제 및 복지, 교육영역 등에서 공공적 시민운동과 경제활동의 체계적 접합 가능성을 모색해 갈 것이다. 2023 1 HJ465 일본과동아시아국제관계(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Japan & East Asian Countries) 전공선택 전전과 전후에 걸쳐 일본과 동아시아의 관계의 특질과 쟁점을 비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바람직한 상을 모색하는 수업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의 지역발전 및 공통문화 형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정치외교적 조건은 무엇인지 탐구한다. 2023 2 HJ466 현대일본사회조사(Seminar on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s & Society) 전공선택 이 강좌는 3학년 학생들의 심층조사 분석과목으로서, 일본학과 전공소학회인 일본정치 및 사회연구회의 심화된 쟁점분석수업으로서의 위상을 갖는다. 학생들은 지도교수와의 상의를 통해 현대 일본정치 및 사회 등의 핵심주제를 선정하고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한 학기 동안의 분석을 통해, 성공적 학술논문을 완성하는 것으로 한다. 담당부서 : 일본학 전화번호 : 031-379-0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