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23 2025 2023 2021 2020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TR124 심리학개론(Introductory to Psychology) 전공선택 재활학 전공생의 필수과목으로 인간 심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인간 생물학적 접근에서부터 정신적인 측면인 철학적 이해와 더불어 과학적 접근을 통한 응용과학적 접근으로까지의 발전하고 있는 학문적 과정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심리학의 본질, 인간의 생리적 기초, 발달과정, 지각, 학습, 기억, 정서, 지능, 성격, 정신건강, 사회적 행동 등 심리학과정의 이수에 필수적인 기초개념들을 이해시킨다. 2025 1 TR273 아동심리치료(Child Psychotherapy) 전공선택 아동심리치료의 제반 이론을 학습하고 또한 아동심리치료과정의 주요 요인인 부모상담에 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특히 사례중심접근을 통해 심도있게 탐구한다. 2025 1 TR276 장애이해와재활(Understanding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전공선택 장애의 구성에 따라 개인적 장애와 사회적 장애로 구분하여 장애를 지도함과 동시에 장애종류별로 발생원인, 특징, 대처방안 및 재활을 위한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여 직업재활과 특수교육 전반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초 소양을 갖추게 한다. 2025 2 TR380 직무개발과배치(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전공선택 직업평가를 통해 확보된 장애인에 대한 정보와 노동시장조사 및 환경분석, 직업분석을 통해 파악된 취업체 정보간의 일치성 분석을 통한 적직선정에서부터 장애인구직훈련, 장애인의 직장 내 생산성과 적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직무재구성과 환경수정 등의 직업조절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이고 다양한 내용을 강의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장애인들이 최적의 직장을 선택하고 그것을 유지하도록 돕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법을 습득하게 하고 더 나아가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인에게 적절하게 직업을 배치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2025 2 TR382 놀이치료관찰및실습(Observation and Practicum in Playtherapy) 전공선택 2025 2 TR383 발달기반놀이치료(Developmental Based Play Therapy) 전공선택 놀이치료 현장에서 만나는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운동양상,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발달과 놀이수준을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능력을 키우고, 아동이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놀이와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논리적인 사고가 발달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아동이 자아를 정립하여 주체적인 삶의 기초를 형성하도록 돕는 발달놀이치료의 기본 원리를 배운다. 2025 1 TR384 게임심리치료(Game psychotherapy) 전공선택 아동,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하고 사용하는 게임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 의미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심리치료 과정속에서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2025 2 TR385 자폐아동평가와치료(Assessing and treating children with autism) 전공선택 자폐아동의 발달, 사회성, 인지수준, 자폐적 특성 등 다각적 측면에서 자폐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되고 재활 현장에서 사용되는 평가 도구와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개입 프로그램을 학습 및 실시해보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문능력을 향상시킨다. 2025 2 TR386 게임놀이치료(Game Play therapy) 전공선택 놀이의 발달과정과 놀이를 치료에 활용한다는 것의 의미를 이해하고, 게임을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여러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실제 아동, 청소년 발달 재활 서비스 현장에서 게임 놀이를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2025 1 TR511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R511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TR512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R512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TR51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R51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TR514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R514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1 TR51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5 2 TR51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담당부서 : 재활상담학 전화번호 : 031-379-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