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활상담학휴먼서비스대학 College of Human Service
- 전화번호(수업) : 031-379-0510
- 전화번호(학적) : 031-379-0500
- 행정실 : 8106호
전공 소개
재활상담학 전공은 전 생애 장애인과 가족에 대한 지원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학문적 연구를 수행하고 효율적인 재활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전 생애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의 심리적, 직업적, 사회적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사람과 지식, 가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형 인재를 양성합니다. 재활상담 현장과의 접목을 활성화하고 증거기반에 입각한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보는 실천 능력을 지향합니다.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문적인 장애재활상담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교육합니다.
전공의 인재상
재활상담학 전공은 전 생애 장애인과 그 가족들, 우리 사회에서 장애로 인해 겪게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통 능력을 갖춘 겸손하고 열린 소통하는 지성인, 통합된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도전하는 창의인, 동시에 인류 공동체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하여 헌신하며 봉사하고 실천하는 평화인을 길러냅니다.
전공 취득자격증
- 국가공인 자격증: 장애인재활상담사, 보조공학사, 발달재활서비스제공인력자격
- 민간자격: 직업재활사, 발달심리사, 놀이상담심리사, 부모교육상담사
진출분야
- 정부 및 공공기관(공무원, 국회, 국가인권위원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근로복지공단,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장애인서비스기관(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기관, 치료재활서비스기관, 보조기기서비스센터, 장애아동지원서비스센터, 발달장애인지원센터, [통합 및 장애아동전담] 어린이집, 장애일자리지원센터, 장애인인권센터, 아동정신재활시설, 아동발달센터, 아동상담센터)
- 언론계(장애관련프로그램 및 장애전문언론사), 장애인단체 및 시민사회 단체
- 사회적경제 관련 조직
담당부서 : 재활상담학
전화번호(수업) : 031-379-0510
전화번호(학적) : 031-379-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