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16 2021 2020 2019 2017 2016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1 1 DC133 중국고전과스토리텔링(Storytelling with Chinese Canon) 전공필수 중국 문화의 핵심이 되는 고전을 바탕으로 콘텐츠화가 이루어진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이론화하고 분석해본 후 직접 창작 실습을 진행한다. 중국의 무한한 고전의 내용을 실제 스토리로 창조하는 훈련을 통해 콘텐츠의 기초를 익힌다. 2021 2 DC134 동아시아의전통문화(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전공선택 이 강의는 우리 삶 속의 여러 방면에 자리잡고 있는 동양적 생각의 틀을 쉽고 재미있게 소개하는 가운데 학문의 융합적 사고의 틀을 정립시키는 동시에, 매주 자유로운 글쓰기로 인터넷 상에 강의 소감을 쓰게 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글쓰기 능력을 배양시키고자 한다. 2021 1 DC141 한중문화산업실습Ⅰ(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Ⅰ)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21 1 DC142 한중문화산업실습Ⅱ(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Ⅱ)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21 1 DC143 한중문화산업실습Ⅲ(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Ⅲ)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21 1 DC144 한중문화산업실습Ⅳ(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Ⅳ)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21 2 DC153 한중생활문화의이해(Understanding Korean-Chinese Everyday-life Culture) 전공선택 콘텐츠는 거창한 소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디테일 속에서 창조된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생활문화 일반을 이해하고, 상호 비교하면서 콘텐츠화할 수 있는 가치를 찾아보는 강의. 2021 2 DC155 중국문화산업트랜드(Trend of Chinese Culture Industries) 전공선택 2021 2 DC159 한중관광스토리텔링(Storytelling about tour of Korea & China) 전공선택 관광은 이제 단순히 둘러보는 차원을 넘어서서 삶 속의 이야기를 체험하는 차원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에서 공감받을 수 있는 관광의 이야기들을 발굴하고 이를 관광상품으로 기획해본다. 2021 1 DC163 한중공연콘텐츠의이해(Understanding of Korean-Chinese Performance Content) 전공선택 한중 문화산업 중 공연콘텐츠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돕는 강의. 공연의 기본 이론과 실례들을살펴 공연콘텐츠 전반에 대해 이해한다. 2021 1 DC164 현대중국사회와문화(Contemporary Chinese society and culture) 전공선택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에 대해 이해하고 한중 관계에 있어 의미있는 이슈를 선별해 토론하며 평화적인 공존과 문화교류의 길을 모색한다. 2021 2 DC298 한중문화산업분석(Analysis of Korean-Chinese Culture Industries) 전공필수 문화산업, 문화콘텐츠산업이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 산업의 여러 핵심적인 요소와 분야들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학생들이 콘텐츠를 직접 분석해보는 강의. 특히 한중문화산업을 중심으로 논의와 분석을 진행하여 특화하여 전문성을 부여한다. 2021 1 DC316 중국역사와문화기행(Field Trip of Chinese History & Culture) 전공선택 2021 1 DC355 한중문화산업정책(Search for Culture Industry Policy of Korea & China) 전공선택 문화산업 영역에서 국가의 방향성과 주도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중국과 같이 정부의 힘이 경제를 좌우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필수적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문화정책이 무엇이고 어떤 방향을 지향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중문화산업정책의 내용과 방향에 대해 공부한다. 2021 1 DC379 중국문화산업창업론(Theory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Establishment) 전공선택 취업의 시대를 넘어 창업을 강조하는 시대가 되었다. 특히 중국의 문화산업 분야에서는 1인 기업 등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 창업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다. 창업에 필요한 내용들을 익히고 실제로 창업을 기획해본다. 2021 1 DC394 한중영상콘텐츠실습1(Korean-Chinese Video Content Practice 1) 전공선택 한국과 중국을 아우르는 동영상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기 위한 실무적 능력을 배양하는 강의 2021 2 DC395 한중영상콘텐츠실습2(Korean-Chinese Video Content Practice 2) 전공선택 한국과 중국을 아우르는 동영상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기 위한 실무적 능력을 배양하는 강의 2021 1 DC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1 2 DC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21 1 DC439 콘텐츠현장실습Ⅰ(Content Internship Ⅰ)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현장에서 일하며 노하우를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440 콘텐츠현장실습Ⅱ(Content Internship Ⅱ)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현장에서 일하며 노하우를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451 한중문화산업실습Ⅴ(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 Ⅴ)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452 한중문화산업실습Ⅵ(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 Ⅵ)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453 한중문화산업실습Ⅶ(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 Ⅶ)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454 한중문화산업실습 Ⅷ(Practice of Korea-Chinese culture content Ⅷ)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필요에 따라 학기별 개설 2021 2 DC565 차마고도사이버여행(Cyber Trip to The Tea-Horse Ancient Road) 전공선택 2021 1 DC579 한중문화관광기획(Korea-China Culture Tourism Planning) 전공선택 기존 교육과정에서 익힌 문화관광에 대한 이론과 분석의 성과를 바탕으로 실제 한중문화관광 프로그램을 기획해본다. 2021 1 DC580 한중엔터테인먼트기획(Korea-China Entertainment Planning) 전공선택 K-pop 등 엔터테인먼트산업에서 한중간 교류의 현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실제 한중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기획해본다. 2021 2 DC581 한중문화관광상품운용(Operation of Korea-China Cultural Tourism Products) 전공선택 문화관광상품이 실제로 운용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절차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준비해야할 역량과 내용을 이론적으로, 실제적으로 훈련해보는 수업. 2021 1 DC582 한중문화관광마케팅실습(Korea-China Culture Tourism Marketing Practice) 전공선택 한중문화관광상품을 실제로 판매할 때 필요한 여러 마케팅 노하우를 배우고 실습해본다. 현재 진행되는 여러 여행사의 상품들을 실제로 분석하는 필드워크를 중심으로 실제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수업. 2021 2 DC583 한중엔터테인먼트실습(Korea-China Entertainment Practice) 전공선택 지금까지 이론-분석해온 엔터테인먼트 수업의 최종 결과물로 실제 엔터테인먼트 상품을 개발해보는 실습 과목. 2021 2 DC584 한중문화이벤트분석(Analyze Korean and Chinese culture events) 전공선택 문화산업의 새로운 비전으로 떠오르고 있는 문화이벤트산업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해보고 문화이벤트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2021 1 DC585 한중문화콘텐츠원소스발굴(Excavatio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contents source) 전공선택 한중 전통문화를 충실히 이해하고 특정한 콘텐츠개발 소스를 발굴해서 콘텐츠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수업. 2021 1 DC586 한중문화콘텐츠장르론(Korea-China Cultural Contents Genre) 전공선택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규정한 콘텐츠의 장르를 중심으로 콘텐츠산업의 장르들의 기본 특성과 현황, 전망을 살펴보는 수업. 2021 2 DC587 한중전시이벤트스토리텔링(Korean-Chinese Exhibition Storytelling) 전공선택 오늘날 마이스 산업의 한 축으로 전시이벤트가 주목받고 있다. 전시이벤트에도 심오한 스토리텔링이 동반된다. 이 수업은 전시의 핵심을 이루는 스토리텔링 기법과 효과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2021 1 DC589 한중전시이벤트론(Korea-China Exhibition Event) 전공선택 MICE 산업의 핵심을 이루는 전시이벤트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여 현재 진행중인 한중전시이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2021 1 DC590 한중MICE산업론(Korea and China MICE Industry) 전공선택 Meeting, Incentive tour, convention, Exhibition의 앞자를 따서 붙여진 MICE 산업은 말 그대로 회의, 인센티브 관광, 컨벤션, 전시 등을 중점으로 관광, 문화산업을 연계하는 새로운 산업영역이다. 본 수업은 이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마이스산업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2021 2 DC591 한중문화이벤트기획(Korea-China Culture Event Planning) 전공선택 한중간 문화교류와 문화산업에서 공연, 축제 등 문화이벤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성공적인 한중문화이벤트를 분석하여 새로운 문화이벤트를 기획해본다. 2021 2 DC592 한중문화마케팅론(Korean and Chinese Culture Marketing) 전공선택 문화산업도 산업이기 때문에 기획 단계에서부터 시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시장성과 관련하여 고민하고 제품을 널리 향유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모든 행위가 마케팅이다. 마케팅 이론과 실제를 문화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한다. 2021 1 DC593 문화관광론(Culture Tourism) 전공선택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문화를 느끼고 누리는 차원 높은 관광과 여행의 이론과 사례를 한국과 중국에서 찾아 익히고 기획해보는 강의. 2021 1 DC594 한중전시콘텐츠실습(Korean-Chinese exhibition contents practice) 전공선택 이제 박물관, 미술관 등 전시콘텐츠도 첨단기술을 받아들이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한중 양국의 전시코넨츠를 비교 분석하고 그 기법과 노하우를 습득한다. 2021 2 DC595 한중공연콘텐츠기획(Korean-Chinese contents production practice) 전공선택 한국의 연예기획사들에 의해 수많은 공연들이 한중합작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공연의 기획, 실행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고 실제 공연 사례들을 분석해본다. 2021 2 DC596 한중콘텐츠제작실습(Korea-Chinese contents production practice) 전공선택 우리 학과는 문화콘텐츠 분야의 실무와 더불어 기획능력까지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졸업을 앞두고 직접 콘텐츠를 기획해봄으로써 졸업 후 현장에서 콘텐츠를 기획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는 강의. 2021 2 DC597 한중문화산업실무론(Theory of Actual Work in Korean-Chinese Culture Industries) 전공선택 문화산업분야는 학문을 응용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뿐만 아니라 실무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 수업은 문화산업 현장에서 다루는 서류작성에서부터 콘텐츠 배급에 이르기까지 실무에 필요한 실제 노하우를 배우고 실습한다. 2021 2 DC598 한중모바일콘텐츠실습(Korean-Chinese Mobile Contents Practice) 전공선택 콘텐츠의 비중이 웹에서 모바일로 급격히 이동하는 상황에서 한중모바일콘텐츠의 현황을 살피고 실제 모바일콘텐츠를 기획, 제작해보는 수업 2021 1 DC599 한중지역콘텐츠분석(Analysis of content in Korea and China) 전공선택 한국과 중국의 지리를 바탕으로, 지역의 테마콘텐츠를 분석하고, 각 지역의 장소성과 토포필리아를 이해하는 수업. 2021 1 DC600 한중대중문화론(Korean and Chinese popular culture) 전공선택 문화콘텐츠산업은 대개 엘리트문화를 지양하고 대중문화를 지향하는 특성이 있다. 다수 대중에게 호소해야 산업으로서 가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중문화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콘텐츠산업을 이해하는 첫걸음이 된다. 중국대중문화 비평을 통해 중국의 대중문화를 깊이 살펴본다. 2021 1 DC601 한중영상문화분석(Analysis of Korea-China image culture) 전공선택 오늘날 비중을 더해가고 있는 영상매체의 사회적 영향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영화, 텔레비전 등 영상매체를 다각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영상기호학과 영상문법의 기초적 이해를 통해 영상자체가 가지는 권력의 속성을 이해하고 영상매체들이 각국의 사회변화를 주도한 예들을 살펴볼 것이다. 영상물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작과 분석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2021 1 DC602 문화콘텐츠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for content piching) 전공선택 콘텐츠산업계에서 홍보와 제품 런칭, 피칭 등은 일상이나 다름없다. 산업 현장에서 프레젠테이션 할 때 필요한 방법론과 기술을 실습을 통해 연마하는 강의. 2021 1 DC603 한중콘텐츠스토리텔링(Korea-china content storytelling) 전공선택 문화콘텐츠 기획과 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는 스토리텔링의 핵심 이론을 습득하는 강의. 기존 서사이론과 최신 스토리텔링 이론을 종합하여 각 콘텐츠 분야에서 실제로 행해지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시도로 한다. 2021 1 DC605 콘텐츠중국어Ⅰ(Contents ChineseⅠ)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콘텐츠 분야 중국어 능력 향상 및 관련 중국문화 습득 2021 2 DC606 콘텐츠중국어Ⅱ(Contents ChineseⅡ)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콘텐츠 분야 중국어 능력 향상 및 관련 중국문화 습득 2021 1 DC607 전공중국어Ⅰ(Major ChineseⅠ)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전공분야 중국어 강의 2021 2 DC608 전공중국어Ⅱ(Major ChineseⅡ) 전공선택 한중문화산업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전공분야 중국어 강의 2021 1 DC610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2 DC610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1 DC611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2 DC611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1 DC612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2 DC612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1 DC613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2 DC613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1 DC61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21 2 DC614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담당부서 : 한중문화콘텐츠학과 전화번호 : 031-37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