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52 2023 2022 2021 2020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703101 한국어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전필 한국어학의 기본 용어와 이론을 학습하고 한국어와 한글의 구조와 특성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의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한국어가 갖는 유형적 특성을 파악한다. 2023 1 703102 한국어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전공 고대국어로부터 현대국어까지 겪어온 한국어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한다. 각 시대별 표기, 음운, 형태, 통사, 어휘 특징을 탐구한다 2023 1 703103 한국어음운론연구(Studies in Korean Phonology) 전공 한국어의 음소의 체계를 이해하고 한국어 음운규칙을 설정하고 어떤 음운과정이 있는지 파악한다. 이 외에도 한국어 음운의 역사적 변화도 살펴본다. 2023 1 703104 한국어형태론연구(Studies in Korean Morphology) 전공 형태론 연구의 이론과 방법을 검토하여 한국어의 형태론적 구조를 연구한다. 형태소의 기본 개념과 한국어 단어형성 원리 및 단어 유형을 연구한다. 2023 1 703105 한국어통사론연구(Studies in Korean Syntax) 전공 한국어의 문장 구조를 분석하고 한국어 문장을 이루는 통사적 기능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문법의 전반적 체계를 파악한다. 2023 1 703106 한국어의미론연구(Studies in Korean Semantics) 전공 한국어를 대상으로 하여 단어 간의 의미 관계, 의미의 변화 등을 살피고 나아가 문장의 의미, 담화 의미 등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2023 1 703107 한국어어휘론연구(Studies in Korean Lexical Semantics) 전공 한국어 단어의 내부구조와 단어 형성, 단어의 차용, 어휘의미의 변화, 어휘 체계, 어휘 분류 등 다양한 관점으로 어휘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어의 어휘 구조를 이해한다. 2023 1 703108 한국어화용론연구(Studies in Korean Pragmatics) 전공 맥락 속에서 한국어 문장의 발화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의미 양상을 연구한다. 한국어와 관련된 화시, 대화 함축, 전제, 화행, 대화구조, 정보 구조 등을 연구하여 한국어 화법의 특징을 살펴본다. 2023 1 703109 한국어담화론연구(Studies in Korean Discourse) 전공 담화론의 개념과 담화의 구조, 담화의 기능, 담화의 표현 양식을 연구한다. 구어 담화의 내용 교수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마련한다. 2023 1 703110 한국어규범론연구(Studies in Korean Norms) 전공 한국어 맞춤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등을 포함하고 있는 한국어 규범의 취지와 목적을 이해하여 한국어교육에서 정확한 문자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2023 1 703201 오류분석연구(Studies in Error Analysi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전공 오류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실제적인 오류분석 과정을 고찰한다.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중간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오류’를 다양한 변인에 따라 분석한다. 2023 1 703202 응용언어학연구(Studies in Applied Linguistics) 전공 순수 언어학 연구에서 다루기 어려운 실제적인 문제들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연구한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응용언어학의 이론과 사례를 폭넓게 이해한다. 2023 1 703203 대조언어학연구(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전공 언어 간 대조 비교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한국어와 외국어를 분석한다. 한국어와 외국어의 대비를 통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여 언어권별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703204 사회언어학연구(Studies in Sociolinguistics) 전공 사회언어학의 역사적 배경, 발전사, 연구 주제와 영역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사회현상과 언어의 관계를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과 타 언어권 국가 간 사회구조 및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언어 사용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2023 1 703205 언어교수법연구(Studies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ies) 전공 외국어 교수법의 변천을 개관하고 최신 언어교수법의 경향을 살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206 현대언어학이론연구(Studies in Present-day Linguistic Theories) 전공 현대 언어학이 철학, 문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와 어떤 관계 속에서 연구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최근의 언어학적 연구가 언어 습득, 언어 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2023 1 703207 외국어습득론연구(Studies in Theory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전공 제2언어 습득에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언어 교육과 습득론의 관계를 정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 관한 이론적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본다. 2023 1 703208 텍스트언어학연구(Studies in Text Linguistics) 전공 문장 이상의 영역으로 각 언어 구성 요소들이 전체 맥락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텍스트 연구 방법론을 이해한다. 2023 1 703209 한국어연구방법론세미나(Seminars of Research Methodologies for Korean Linguistics) 전공 제2언어 학습에 도움이 된 여러 언어의 연구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 효율적인 교수 방향을 제시하는 데 토대가 될 수 있는 다양한 한국어 연구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01 한국어문법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Grammar) 전공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문법 선정의 기준, 문법 교육 방법론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탐구하여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문법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02 한국어교재연구(Studies in Textbook for Teaching Korean) 전공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교재 개발을 위해 기존의 외국으로서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학습목적과 교재 구성의 원리에 맞추어 교재를 재구성해 본다. 2023 1 703303 한국어어휘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전공 한국어 어휘 유형, 어휘 체계, 어휘 변천, 어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어휘 제시 방법과 어휘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04 한국어교육론연구(Introduction to Teaching Korean) 전필 한국어학과 교육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의 성격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이론을 정립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 양상을 파악한다. 2023 1 703305 한국어발음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전공 한국어 음운 체계, 발음의 특성, 발음과 관련된 원칙을 탐구하여 정확한 한국어 발음 구사를 위한 기본 지식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06 한국어화용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Pragmatics) 전공 한국어 의미론과 한국어 화용론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실험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화용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07 한국어말하기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Speaking) 전공 기존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 교재, 교수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자료 구성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703308 한국어듣기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stening) 전공 기존의 한국어 듣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 교재, 교수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자료 구성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듣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703309 한국어읽기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Reading) 전공 기존의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 교재, 교수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자료 구성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703310 한국어쓰기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Writing) 전공 기존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 교재, 교수 방법을 탐구한다. 이를 통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자료 구성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효과적인 쓰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703311 한국어교육과정론(Curriculums for Teaching Korean) 전공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 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적인 내용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수 학습 상황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모색한다. 2023 1 703312 한국어평가론(Measurement & Evaluation in Teaching Korean) 전공 언어 능력 평가의 기본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평가 방법을 모색한다. 모색한 평가 방법을 토대로 평가 문제를 실제로 작성해 본다. 2023 1 703313 한국어교사론(Studies in Qualifications for Korean Language Teacher) 전공 한국어 교사로서 가져야 할 기본 자질과 특성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해 연구한다. 교사로서의 역할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과목이다. 2023 1 703314 한국문학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terature) 전공 한국문학 교육의 목적과 원리, 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703315 한국문화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Culture) 전공 한국문화의 특징적인 면을 분석하고 비평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문화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한국어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2023 1 703316 한국어교육자료개발(Studies in Developing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전공 외국어 교육에서 활용되는 각종 교자재, 교구, 강의 자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 목적에 따른 부교재 및 교구를 실제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의 수업을 실시한다. 2023 1 703317 한국어교육정책론(Studies in Policies for Teaching Korean) 전공 국·내외 한국어 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교육 관련 기관의 특징을 파악하여 효율적 기관 운영을 위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2023 1 703318 한국어교육특수문제연구(Studies in Special Topics in Teaching Korean) 전공 한국어교육학에서 제기되는 과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하고 연구한다. 2023 1 703401 한국문화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Culture) 전필 한국문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한국문화의 특징을 외국문화와 비교하여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3 1 703402 한국전통문화연구(Studie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전공 한국의 현대문화와 차별성을 지닌 한국의 전통문화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특히 민속 문화가 서민계층의 문화인데 비해 한국전통문화는 지배계층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라는 점을 파악한다. 2023 1 703403 한국현대문화연구(Studies in Korean Modern Culture) 전공 한국 현대문화 이해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 정립, 시대 구분, 문화사적 변화를 살피고 한국의 현대 문화가 함유하고 있는 제 현상을 분석하고 이해하여 한국어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3 1 703404 한국사회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Society) 전공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해 개관하고 그 배경을 탐구하여 한국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 2023 1 703405 한국문학사(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전공 문학의 변천 과정을 사회, 문화, 정치 발전과 비교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한다. 구전되다 기록된 작품에서부터 개화기를 거쳐 근현대 작품에 이르기까지 문학의 변천을 총체적으로 살핀다. 2023 1 703406 한국현대문학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Modern Literature) 전공 한국 현대문학의 개념과 범위, 특징을 이해한다. 특히 한국의 현대사와 현대문화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는 한국 현대문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한다. 2023 1 703407 한국고전문학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Classical Literature) 전공 한국 고전문학의 개념을 정립하고 향가, 시조, 가사, 소설 등의 발생과 소멸, 후대 장르로의 발전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고전문학의 역사를 이해한다. 2023 1 703408 한국소설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Novel) 전공 한국 소설의 구성 요소, 구조, 표현기법 및 특질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연구하여 한국 소설의 특징을 이해한다. 2023 1 703409 한국시의이해(Understanding Korean Poetry) 전공 한국 시와 시인에 대한 탐색을 통해 한국 예술사를 살펴본다. 한국 시의 발전 과정을 모색하여 시의 원론과 기법적 특성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2023 1 703501 한국어교육참관및실습(Class Observation &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전필 국내의 다양한 한국어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고 이를 통해 국내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경험한다. 나아가 마련된 실습 현장에서 직접 작성한 수업교안을 토대로 한국어 강의 경험을 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