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76 2023 2022 2021 2020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710001 체육원리연구(Studies in Principle of Physical Education) 전공 체육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체육의 과학적인 기초지식과 올바른 실천방향을 제시해 준다. 2023 2 710001 체육원리연구(Studies in Principle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체육의 과학적인 기초지식과 올바른 실천방향을 제시해 준다. 2023 1 710002 운동생리학연구(Studies in Exercise Physiology) 전공 신체활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조직과 기능의 생리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신체적성과 경기체력 훈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학문이다. 2023 2 710002 운동생리학연구(Studies in Exercise Physiology) 전선 신체활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조직과 기능의 생리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신체적성과 경기체력 훈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학문이다. 2023 1 710003 체육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전공 과거의 체육문화를 시대별로 검토하여 그 시대의 문화적 요소와 체육문화와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여 현대체육의 방향성을 강구함과 아울러 미래체육의 방법 등을 모색한다. 2023 2 710003 체육사연구(Studies i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과거의 체육문화를 시대별로 검토하여 그 시대의 문화적 요소와 체육문화와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여 현대체육의 방향성을 강구함과 아울러 미래체육의 방법 등을 모색한다. 2023 1 710004 특수체육학연구(Studies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전공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각종 스포츠 내용을 이해하고, 특수체육과 체육의 영역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2023 2 710004 특수체육학연구(Studies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전선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각종 스포츠 내용을 이해하고, 특수체육과 체육의 영역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2023 1 710006 스포츠심리학연구(Studies in Sport Psychology) 전공 학생의 지적・사회적・운동적 성격특징을 파악하고, 학생의 특수성이나 요구를 확실히 파악하여,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2023 2 710006 스포츠심리학연구(Studies in Sport Psychology) 전선 학생의 지적・사회적・운동적 성격특징을 파악하고, 학생의 특수성이나 요구를 확실히 파악하여,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2023 1 710008 트레이닝방법론연구(Studies in Theory and Methodology of Training) 전공 여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와 스포츠 과학에 근거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경기력 향상에 대처하게 한다. 2023 2 710008 트레이닝방법론연구(Studies in Theory and Methodology of Training) 전선 여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와 스포츠 과학에 근거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경기력 향상에 대처하게 한다. 2023 1 710009 학교보건학연구(Studies in Health Education) 전공 학생들의 신체적 보건과 의료, 안정된 삶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제도 등을 공부하며, 기본적으로 학교에서의 건강관리 및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2023 2 710009 학교보건학연구(Studies in Health Education) 전선 학생들의 신체적 보건과 의료, 안정된 삶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제도 등을 공부하며, 기본적으로 학교에서의 건강관리 및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2023 1 710010 스포츠사회학연구(Studies in Sport Sociology) 전공 스포츠 사회 현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사회학적 방법과 개념을 통하여 스포츠 현상을 조사・분석한다. 2023 2 710010 스포츠사회학연구(Studies in Sport Sociology) 전선 스포츠 사회 현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사회학적 방법과 개념을 통하여 스포츠 현상을 조사・분석한다. 2023 1 710011 체육통계학연구(Studies in Statistical Research of Physical Education) 전공 체육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체육적 현상을 자료화하고, 이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함양시킨다. 2023 2 710011 체육통계학연구(Studies in Statistical Research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체육적 현상을 자료화하고, 이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함양시킨다. 2023 1 710012 운동처방론연구(Studies in Exercise Prescription) 전공 일반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처방,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훈련이나 경기도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에 대해 회복기에 실시하는 운동처방, 유아 및 노인들의 운동처방에 관해 학문적 이론을 연구한다. 2023 2 710012 운동처방론연구(Studies in Exercise Prescription) 전선 일반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처방,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훈련이나 경기도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에 대해 회복기에 실시하는 운동처방, 유아 및 노인들의 운동처방에 관해 학문적 이론을 연구한다. 2023 1 710013 운동역학연구(Studies in Sports Mechanics) 전공 인간의 운동에 적용하는 연구 분야로서 스포츠의 기본적 서술이나 신체적 활동이 되는 힘과 힘을 일으키는 원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도방법을 교수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2023 2 710013 운동역학연구(Studies in Sports Mechanics) 전선 인간의 운동에 적용하는 연구 분야로서 스포츠의 기본적 서술이나 신체적 활동이 되는 힘과 힘을 일으키는 원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도방법을 교수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2023 1 710014 스포츠재활연구(Studies in Sport Rehabilitation) 전공 스포츠활동을 통해서 상해 및 장애로 인한 신체부위를 재활 시키고, 감각훈련을 통한 신체기능을 향상시킨다. 2023 2 710014 스포츠재활연구(Studies in Sport Rehabilitation) 전선 스포츠활동을 통해서 상해 및 장애로 인한 신체부위를 재활 시키고, 감각훈련을 통한 신체기능을 향상시킨다. 2023 1 710015 체육측정평가연구(Studies in Measurement &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전공 체육특정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규명하고, 제반 체력요소의 측정 평가에 관한 실체를 비교・분석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습득한다. 2023 2 710015 체육측정평가연구(Studies in Measurement &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특정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규명하고, 제반 체력요소의 측정 평가에 관한 실체를 비교・분석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습득한다. 2023 1 710017 스포츠영양학연구(Studies in Sports Nutrition) 전공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인 식생활 방법과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 섭취방법 등을 학습한다. 2023 2 710017 스포츠영양학연구(Studies in Sports Nutrition) 전선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인 식생활 방법과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 섭취방법 등을 학습한다. 2023 1 710018 체육행정관리연구(Studies i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전공 체육현상에 있어 체육정책을 이해하고 체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체육행정조직 및 관계법령을 이해하고 체육행정현실을 분야별로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2023 2 710018 체육행정관리연구(Studies i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현상에 있어 체육정책을 이해하고 체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체육행정조직 및 관계법령을 이해하고 체육행정현실을 분야별로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2023 1 710019 건강교육(Health Education) 전공 개인이나 집단, 지역 사회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건강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를 연구한다. 2023 2 710019 건강교육(Health Education) 전선 개인이나 집단, 지역 사회의 건강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 건강에 대한 지식이나 태도를 연구한다. 2023 1 710020 운동학습및심리(Motor learning & Psychology) 전공 체육활동 중에서 심리학적인 배경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루며, 특히 신체의 성장발달 및 운동기능의 발달, 학습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2023 2 710020 운동학습및심리(Motor learning & Psychology) 전선 체육활동 중에서 심리학적인 배경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루며, 특히 신체의 성장발달 및 운동기능의 발달, 학습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2023 1 710021 심리운동연구(Studies in Psychomotricity) 전공 심리운동에 대한 이론과 실기 및 지도방법 등을 학습하고 연구함으로써 심리운동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일선 교육현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의 교육 및 재활 현장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고 심리운동의 학문적인 발전과 저변확대에 기여하게 한다. 2023 2 710021 심리운동연구(Studies in Psychomotricity) 전선 심리운동에 대한 이론과 실기 및 지도방법 등을 학습하고 연구함으로써 심리운동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일선 교육현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의 교육 및 재활 현장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고 심리운동의 학문적인 발전과 저변확대에 기여하게 한다. 2023 1 710022 체육교과교육론(Education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전공 교과의 교육계획은 중요한 부분으로서 체육 각 교과를 중심으로 체육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교과지도내용을 단계별로 선정 배열함으로써 능률적인 지도(학습)계획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체육 교수법에 관한 교안작성 및 교과지도를 학습시키는 방법들을 교육한다. 2023 2 710022 체육교과교육론(Education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전선 교과의 교육계획은 중요한 부분으로서 체육 각 교과를 중심으로 체육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서 교과지도내용을 단계별로 선정 배열함으로써 능률적인 지도(학습)계획을 마련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체육 교수법에 관한 교안작성 및 교과지도를 학습시키는 방법들을 교육한다. 2023 1 710023 체육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Studies in Materials &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전공 체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의미와 명칭을 이해하고 체육과의 교육적 특성,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 등을 배우는 학문이다. 2023 2 710023 체육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Studies in Materials &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과 교과과정에 대한 의미와 명칭을 이해하고 체육과의 교육적 특성,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 등을 배우는 학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