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66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L0002 글로벌문화콘텐츠워크숍(1)(Global Culture & Contents Workshop(I)) 전선 특정 문화권의 문화콘텐츠 트렌드 및 인프라에 대한 현지조사 및 킬러 콘텐츠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03 대중문화연구(Study of Popular Culture) 전선 2023 1 1L0004 신화와 문화콘텐츠(Myth & Cultural Contents) 전선 신화적 소재와 주제에 기반하여 창작된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신화학적 비평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05 인문학과 문화콘텐츠(Ⅰ)(Humanities & Cultural Contents(Ⅰ)) 전선 인문학적 안목에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추구하는 과목이다. (Ⅰ) 강좌에서는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실시하는 한편, 문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실시하며, (Ⅱ) 강좌에서는 역사학, 철학, 미학, 종교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실시한다. 2023 1 1L0006 한국문화산업정책 연구(Study of Culture Industry Policy in Korea) 전선 한국의 문화산업 진흥 정책의 역사와 현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미래적 전망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07 문화원형과 콘텐츠 기획(Culure Archetype and Content Planning) 전선 문화콘텐츠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문화원형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함께 활용 사례에 대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이러한 이론 탐구 및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화원형 창작소재에 기반한 콘텐츠 기획 실습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08 문화콘텐츠와 저작권(Culural Contents and Copyright) 전선 문화산업 및 정책 관련 법령체계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를 실시하는 한편, 문화콘텐츠 저작권에 대한 이해 및 사례 연구를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09 영상물 구성안 작성(Scriptwriting) 전선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각본, 대본, 스크립트 등을 작성한다. 2023 1 1L0010 글로벌킬러콘텐츠비교연구(Comparative Study of Global Killer Contents) 전선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대표적인 킬러 콘텐츠, 즉 문화콘텐츠 성공사례에 배한 비교문화적 연구를 통해 콘텐츠 기획의 방향을 설정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12 문화콘텐츠 비평(Cultural Contents Critique) 전선 다양한 문화이론을 학습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문화콘텐츠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비평 작업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13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이론과 실제(Theory & Practice of Digital Storytelling) 전선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이론에 대한 학습을 실시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모델과 패러다임을 분석하고 기획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14 영화제 및 영화인프라 현지조사(Ⅰ)(Field Research of Film Festival & Film Infrastructure(Ⅰ)) 전선 영화제의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국내에서 개최되는 대표적인 영화제 참관 및 영화제 인프라 탐구를 실시한다. Ⅰ 강좌에서는 상반기에 열리는 국내외 영화제의 현황을 분석・정리하는 한편, 전주국제영화제에 대한 현지 참관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Ⅱ 강좌에서는 하반기에 열리는 국내외 영화제의 현황을 분석・정리하는 한편,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현지 참관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15 한류현장조사(Field Research of Korean Wave) 전선 한류 성공사례에 대한 종합적 조사연구를 실시한 뒤, 특정 문화권의 한류 현상에 대한 현장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한류의 미래를 전망한다. 2023 1 1L0016 글로벌문화콘텐츠워크숍(Ⅱ)(Global Culture & Contents Workshop(Ⅱ)) 전선 특정 문화권의 문화콘텐츠 트렌드 및 인프라에 대한 현지조사 및 킬러 콘텐츠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17 문화콘텐츠와 기호마케팅(Cultural Contents and Semio-Marketing) 전선 문화기호학의 관점에서 문화콘텐츠를 구성하는 문화기호가 유통되는 과정을 분석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18 인문학과 문화콘텐츠(Ⅱ)(Humanities & Cultural Contents(Ⅱ)) 전선 인문학적 안목에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추구하는 과목이다. (Ⅰ) 강좌에서는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실시하는 한편, 문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실시하며, (Ⅱ) 강좌에서는 역사학, 철학, 미학, 종교학과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실시한다. 2023 1 1L0019 예술사와 문화콘텐츠(Art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전선 예술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예술적 요소의 원천과 다양성을 파악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0 기술사와 문화콘텐츠(History of Technology and Cultural Contents) 전선 기술 발달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향유의 매커니즘을 파악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1 콘텐츠 투어리즘 연구(Study of Contents Tourism) 전선 문화콘텐츠를 매개로 한 관광 프로그램, 정책, 인프라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특정 콘텐츠 혹은 콘텐츠군(群)을 중심으로 한 투어 프로그램 기획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2023 1 1L0022 글로벌문화산업정책 연구(Study of Global Culture Industry Policy) 전선 주요 국가의 문화산업 현황 및 진흥 정책의 현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한국 문화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3 트랜스미디어와콘텐츠(Transmedia and Contents) 전선 트랜스미디어 시대 출현의 배경을 이해하고,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다양한 양상과 의미를 탐구한다. 2023 1 1L0024 디지털콘텐츠분석론(Analysis of Digital Contents) 전선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5 문화예술경영론(Study of Culture and Art Management) 전선 문화와 예술을 접목한 경영의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문화 및 예술 콘텐츠 비즈니스의 방향에 대한 전망을 실시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6 디지털 콘텐츠 기획론(Digital Content Planning) 전선 다양한 장르의 디지털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프로젝트 기반 강좌이다. 2023 1 1L0027 문화기술의 이론과 실제(Theory & Practice of Culture Technology) 전선 문화콘텐츠 제작의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인 문화기술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실시하는 한편, 다양한 문화기술의 실제 메커니즘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문화기술의 적용 방향을 모색하는 과목이다. 2023 1 1L0028 문화자원과 축제 콘텐츠 기획(Cultural Resources and Festival Content Planning) 전선 지역의 문화자원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그러한 자원을 활용한 축제의 이념을 설정하고 세부 콘텐츠를 기획한다. 2023 1 1L0029 문화콘텐츠 교육론(Theory of Culture Content Education) 전선 문화콘텐츠 교육의 이념, 체계, 방법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문화콘텐츠 교육에 대한 실습을 행하여 본다. 2023 1 1L0030 문화콘텐츠 특강 (Ⅰ)(Special Topics on Cultural Contents (Ⅰ)) 전선 문화콘텐츠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한 특별 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31 문화콘텐츠 특강 (Ⅱ)(Special Topics on Cultural Contents (Ⅱ)) 전선 문화콘텐츠 관련 다양한 주제에 대한 특별 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33 박물관과 전시 기획(Museum and Planning of Exhibition) 전선 박물관을 중심으로 오브제 전시와 관련된 철학, 방법 등을 학습하는 한편, 가상의 소재 또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시기획안을 작성해 본다. 2023 1 1L0034 엔터테인먼트산업론(Study of Entertainment Industry) 전선 엔터테인먼트산업의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그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한다. 2023 1 1L0035 영상콘텐츠 제작(Production for Visual Contents) 전선 단편영화, 다큐멘터리, 트래블링 쇼츠, 뮤직 비디오 등 다양한 영상콘텐츠 제작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특정한 영상 콘텐츠를 제작한다. 2023 1 1L0036 영화제 및 영화인프라 현지조사(Ⅱ)(Field Research of Film Festival and Film Infrastructure(Ⅱ)) 전선 영화제의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국내에서 개최되는 대표적인 영화제 참관 및 영화제 인프라 탐구를 실시한다. Ⅰ 강좌에서는 상반기에 열리는 국내외 영화제의 현황을 분석・정리하는 한편, 전주국제영화제에 대한 현지 참관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Ⅱ 강좌에서는 하반기에 열리는 국내외 영화제의 현황을 분석・정리하는 한편,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현지 참관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2023 1 1L0037 지역문화콘텐츠워크숍(Local Culture & Contents Workshop) 전선 2023 1 1L0038 테마파크 기획(Theme Park Planning) 전선 테마파크가 지니는 콘텐츠 콤플렉스로서의 속성과 현황을 이해하는 한편,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테마파크 세부 콘텐츠를 기획한다. 2023 1 1L0039 한류와 콘텐츠기획(Korean Wave & Content Planning) 전선 한류 킬러 콘텐츠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한편, 특정한 문화권을 타겟으로 한 한류 콘텐츠를 기획한다. 2023 1 1L0040 현지조사 실습 (Ⅰ)(Fieldwork Practice (Ⅰ)) 전선 인터뷰, 르뽀 작성, 문헌조사, 커뮤니티 연구 등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현지조사 실습 방법을 익히는 한편, 그러한 방법을 토대로 현지조사를 실행한다. 2023 1 1L0041 현지조사 실습 (Ⅱ)(Fieldwork Practice (Ⅱ)) 전선 인터뷰, 르뽀 작성, 문헌조사, 커뮤니티 연구 등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현지조사 실습 방법을 익히는 한편, 그러한 방법을 토대로 현지조사를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