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6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H0004 민주주의 이론(Theories on Democracy) 전선 민주주의의 다양한 조류에 대해 이해한다. 2023 1 1H0005 역사사회학 세미나(Seminar on Historical Sociology) 전선 전 근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사회변동 과정을 국가, 계급, 혁명, 민주주의의 개념을 중심으로 역사적인 차원에서 검토한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공시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사회과학에서 시점과 사건들의 전후관계 등 시간적 질서와 차원이 사회현실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사회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현실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이해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 1 1H0007 사회과학특강(Special Lectures on Social Science) 전선 시의적절한 주제를 정해 이에 적합한 강사를 초빙하는 특별강의 2023 1 1H0009 지구화와 국가론 논쟁(The Debate of Globalization and State Theory) 전선 국가론 논쟁과 지구화논쟁에 대해 다루며 그 관계를 살펴본다. 2023 1 1H0010 동아시아와남북관계(East Asia and The Relations of Two Koreas) 전선 남북관계를 동아시아라는 지정학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2023 1 1H0016 현대사회와 정치사상(The Modern Society and Political Thoughts) 전선 현대사회의 다양한 정치사회현상에 대한 정치사상적 이해를 함양한다. 2023 1 1H0017 국제관계와지역정치(Int'l Relations and Regional Politics) 전선 지역정치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토론하고 분석한다. 2023 1 1H0018 국제무역협정과 통상정치(Int'I Treade Agreement and Trade Politics) 전선 다자간, 쌍무적 국제통상협정 등에 대해 분석하고 대안적인 통상정치에 대해 논의한다. 2023 1 1H0019 국제관계의이론과역사(The Theories and Histories on Int’l Relations) 전선 국제관계의 주요 이론을 통해 국제관계의 역사를 통찰한다. 2023 1 1H0020 정치사회학(Political Sociology) 전선 개인 또는 집단을 분석단위로 하는 상호작용 및 정치현상의 사회학적 연구를 고찰한다. 2023 1 1H0021 선거와정당(Election and Party System) 전선 선거기제와 정당체제의 상관성 등을 비교정치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2023 1 1H0022 국제비교문화론(International Comparative Culture Studies) 전선 국제문화현상을 비교정치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2023 1 1H0023 정치철학(Political Philosophy) 전선 마키아벨리 이후 정치철학에 대해 고찰한다. 2023 1 1H0024 국제기구와국제연대(Int'l Organization and int'l Solidarity) 전선 날로 중요성을 더해가는 국제레짐 및 국제기구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 2023 1 1H0025 국제평화운동론(Int'l peace Movements Studies) 전선 전쟁과 평화, 국제평화주의와 국제평화운동에 대해 연구한다. 2023 1 1H0026 남북한비교경제론(Comparative Studies on Economies of South and North Korea) 전선 남북한 경제의 전개와 현황, 그 원인에 대해 살펴본다. 2023 1 1H0027 이행의정치이론(The Political Theory of Transition) 전선 자본주의 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다양한 역사 및 이론에 대해 논의한다. 2023 1 1H0028 국가와공공성(State and Puplicity) 전선 국가와 공공성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2023 1 1H0029 한반도정치론(The Political Theories of Korean Peninsular) 전선 남북관계를 둘러싼 한반도 정치에 대해 살펴본다. 2023 1 1H0030 한국사회와인권(Korean Society and Human Right) 전선 인간의 기본권이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인권의 실체에 대해 파악하고 고찰한다. 2023 1 1H0032 자본주의사회론(The Capitalist Society Theory) 전선 빈민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법제화한 빈민법이 노동을 규율하는 공장법과 함께 자본주의적 생산의 초기 과정에 제정된 이래 복지의 제도적 발전은 자본주의의 발전과 역사적 맥락을 함께해 왔다. 최근의 지구적 자본의 위기는 다시금 복지와 노동에 대한 쟁점을 핵심적인 이슈로 제기하고 있다. 이 세미나에서는 복지와 노동을 둘러싼 쟁점의 이론적 토대로서 자본주의 사회론에 대해 다룬다. 2023 1 1H0033 사회양극화와정치이론(Social Polarization and Political Theory) 전선 다양한 정치이론을 통해 사회 양극화의 원인과 과정, 해결책을 살펴본다. 2023 1 1H0034 민주주의와평화(Democracy and Peace) 전선 비교정치론의 일면인 민주주의 평화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2023 1 1H0035 평화학(Peace Studies) 전선 평화가 지닌 원대한 의미와 인류사적 역할에 대해 학문적으로 토의한다. 2023 1 1H0036 인권학(Human Rights Studies) 전선 국제사회의 평화와 인권을 연구한다. 2023 1 1H0037 남북한통일정책연구(Studies on the Unification Policies of South and North Korea) 전선 남북한 통일정책의 전개와 결과, 향후 전망에 대해 이론과 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2023 1 1H0038 신자유주의세계화연구(The Study of Neo Liberalistic Globalization) 전선 세계화의 메카니즘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신자유주의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2023 1 1H0039 국가와사회혁명(State and The Social Revolution) 전선 사회가 모순이 첨예해질 때 모순을 해결하기위한 혁명적인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이 세미나에서는 사회혁명 과정에 정치적 지배 장치로서의 국가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인 쟁점을 다룬다. 2023 1 1H0040 전쟁론(War Studies) 전선 전쟁을 정치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2023 1 1H0041 국제법(International Laws) 전선 국가 상호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국제법의 연원과 국제법을 둘러싼 국제정치 및 정책에 대해 이해한다. 2023 1 1H0042 사회복지의정치학(The Politics of Social Welfare) 전선 근대 세계가 열리고, 자유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등의 정치 이데올로기가 등장한 이래 사회복지는 정치의 주된 쟁점이 되어 왔다. 이 세미나에서는 자본주의 초기에서부터 복지국가와 신자유주의를 거쳐 최근에 이르기까지 복지를 둘러싼 정치적 쟁점에 대해 다룬다. 2023 1 1H0045 민주주의와 인권(Democracy and Human Rights) 전선 국제사회의 평화와 인권을 연구한다. 2023 1 1H0046 국제평화와 생태환경정치(Int'l Peaces and Environment) 전선 환경생태정치를 국제평화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2023 1 1H0052 공화주의 이론(Theory of Republicanism) 전선 공화주의 이론을 마키아벨리 사상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과목이다. 공화주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2023 1 1H0053 현실주의국제정치론(Realistic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 전선 케네스 월츠로부터 시작된 현실주의 이론은 국제관계의 이론 중 가장 중대한 이론 중 하나다. 이 현실주의에 대한 탐구를 하는 것이 과목의 목적이다. 2023 1 1H0054 동맹과 안보기구(Alliances and Security Organizations) 전선 동맹을 통한 안보의 역할, 여기에 따른 안보기구가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도록 한다. 2023 1 1H0055 권력구조론(Theories of Power Structure) 전선 국가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권력 체계의 속성과 사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 1 1H0056 근대동아시아정치사상(East Asian Political Ideologies in Modern Age) 전선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의 흐름 속에서 발전해온 정치사상들에 대해서 연구한다. 2023 1 1H0057 유럽정치의이해(Understanding the European Politics) 전선 20세기 이후에 유럽정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2023 1 1H0058 현대정치사상사(History of Modern Political Ideologies) 전선 루소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현대 정치를 만들어낸 정치사상의 흐름을 조망한다. 2023 1 1H0060 국가와사회계급(State and Social Classes) 전선 자본주의와 국가의 구성, 불평등에 따른 사회계급화에 대해 살펴본다. 2023 1 1H0061 정치심리학(Political Psychology) 전선 심리적인 요인이 정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탐구하도록 한다. 2023 1 1H0062 정당과의회정치(Political parties and parliament politics) 전선 현대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정당의 이론과 실재, 그리고 선거의 이론과 실재를 학습한다. 2023 1 1H0064 국제정치경제학(Int’l Political Economy) 전선 정치와 경제의 상호원리를 중심으로 국제정치의 정치경제적 구조를 파악한다. 2023 1 1H0065 인권문제의 역사(The History of Human Rights) 전선 인권론의 연원과 배경적 역사에 대해 살펴본다. 2023 1 1H0069 유라시아 정치경제학(Eurasian Comparative Cultural Theory) 전선 2023 1 1H0088 유라시아 비교문화론(Eurasian Comparative Cultural Theory) 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