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63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F0001 특수보건학(Health Education for Exceptional Person) 전선 시화복지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아, 장애인, 노인들의 각종 사업실천에 관한 사항과 질환의 종류, 특성, 치료방법, 건강유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의 내용을 학습한다. 2023 1 1F0003 체육통계학(Statistics in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체육적 현상을 자료화하고, 이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함양시킨다. 2023 1 1F0004 운동영양학연구(Studies in Nutrition in Exercise and Sport) 전선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인 식생활 방법과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 섭취방법 등을 학습한다. 2023 1 1F0005 운동생리학실험(Experiments of Exercise Physiology) 전선 운동시 일어나는 인체의 기능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움직임을 수행하는 골격계와 근육계 및 신경계, 호흡순환계, 근력향상이나 성인병예방과 관련된 트레이닝과 운동처방, 신체조성, 및 체중조절 등에 관련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케 하기 위해 연구・실험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2023 1 1F0006 연구학점Ⅱ(Thesis Ⅱ) 전선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 등을 위하여 논문 설계 및 전개법(연구 필요성, 방법, 결과처리 및 논의 등)과 완성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2023 1 1F0007 연구학점Ⅰ(Thesis Ⅰ ) 전선 학위논문, 학회지 논문 등을 위하여 논문 설계 및 전개법(연구 필요성, 방법, 결과처리 및 논의 등)과 완성에 대하여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다. 2023 1 1F0008 스포츠의학(Sport Medicine) 전선 신체의 기본이 되는 근육과 골격을 주로 다루는 치료의 주된 기능과 정신적・정서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도와주기 위한 스포츠 측면에서의 방법을 연구한다. 2023 1 1F0009 스포츠경영학(Sport Management) 전선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스포츠경영의 원리, 이론, 방법 등에 대하여 경영학적인 사고로 접근하게 하여 그 본질을 이해하고 스포츠경영자 및 스포츠경영 연구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이고도 성공적인 스포츠경영을 위한 원리, 스포츠경영자의 유형과 역할, 스포츠경영환경, 스포츠경영의 과정과 사이클, 스포츠마케팅의 본질과 컴퓨터정보시스템구축 및 활용, 목표시장의 세분화와 분석기법 등을 모색하고 연구한다. 2023 1 1F0010 스포츠경영 및 행정연구(Studies in Sport Management and Admini- stration) 전선 스포츠산업의 전망 및 쟁점, 경영의 기본원리, 과정과 기능, 스포츠 마케팅의 본질 및 방법, 스포츠시설과 설비, 스포츠 용구의 구매 및 관리 유지 등의 다양한 접근법과 스포츠 행정에 대해 다룬다. 2023 1 1F0011 생체역학(Biomechanics) 전선 운동의 역학적인 측면에서 발생하는 기본적 기술이나 신체적 활동이 되는 힘의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들을 연구한다. 2023 1 1F0012 스포츠심리학(Sport Sociology) 전선 노인의 지적・사회적・운동적 성격특징을 파악하고, 노인의 특수성이나 노인들의 요구를 확실히 파악하여, 노인들의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2023 1 1F0013 장애인스포츠와 문화론특강(Special Lecture in Adapted and its Culture) 전선 2023 1 1F0014 장애인체력육성론특강(Fitness in People with Disabilities) 전선 장애인들의 체력특성을 파악하여 장애 영역별 체력육성의 필요성과 방법을 터득한다. 체력육성을 위한 운동생리학적 지식과 트레이닝이론 및 운동처방이론을 토대로 장애와 체력간의 관련성 및 특성을 비교파악하게 된다. 본 교과목을 통하여 장애인들에 필요한 체력육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장애별 특성에 맞는 체력증진법을 지도할 자질을 함양하게 된다. 2023 1 1F0015 체육행정학연구(Studies in Administration of P.E.) 전선 체육현상에 있어 체육정책을 이해하고 체육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체육행정조직 및 관계법령을 이해하고 체육행정현실을 분야별로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2023 1 1F0016 특수보건학연구(Health Education for Exceptional Person) 전선 시화복지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아, 장애인, 노인들의 각종 사업실천에 관한 사항과 질환의 종류, 특성, 치료방법, 건강유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의 내용을 학습한다. 2023 1 1F0017 유아체육프로그램연구(Studies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전선 유아를 대상을 하는 각종 놀이, 체육종목 프로그램의 개발과 동기유발, 체력증진, 지도방법등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연구를 한다. 2023 1 1F2001 노인체육프로그램(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전선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한다. 개개인의 신체적 변화와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지도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2023 1 1F2003 스포츠재활연구(Studies in sports rehabilitation) 전선 스포츠활동을 통해서 장애 및 노화로 인한 퇴행부위를 재활 시키고, 감각훈련을 통한 신체기능을 향상시킨다. 2023 1 1F2004 스포츠경영 및 행정(Sport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전선 스포츠산업의 전망 및 쟁점, 경영의 기본원리, 과정과 기능, 스포츠 마케팅의 본질 및 방법, 스포츠시설과 설비, 스포츠 용구의 구매 및 관리 유지 등의 다양한 접근법과 스포츠 행정에 대해 다룬다. 2023 1 1F2005 체육측정평가(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특정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규명하고, 제반 체력요소의 측정 평가에 관한 실체를 비교・분석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습득한다. 2023 1 1F2006 스포츠사회학(Sport Sociology) 전선 스포츠 사회 현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사화학적 방법과 개념을 통하여 스포츠 현상을 조사・분석한다. 2023 1 1F2008 특수체육론(Theory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전선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각종 스포츠 내용을 이해하고, 특수체육과 체육의 영역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2023 1 1F2009 운동처방론(Exercise Prescription) 전선 일반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처방,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훈련이나 경기도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에 대해 회복기에 실시하는 운동처방, 유아 및 노인들의 운동처방에 관해 학문적 이론을 연구한다. 2023 1 1F2010 장애인체육프로그램연구(Studies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Handicapped) 전선 장애인들의 스포츠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및 장애인들을 위한 통합적 교육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어 연구한다. 2023 1 1F2011 트레이닝방법론(Mathodology of Training) 전선 여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와 스포츠 과학에 근거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경기력 향상에 대처하게 한다. 2023 1 1F2013 체육사세미나(Seminar on Physical History) 전선 과거의 체육문화를 시대별로 검토하여 그 시대의 문화적 요소와 체육문화와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여 현대체육의 방향성을 강구함과 아울러 미래체육의 방법 등을 모색한다. 2023 1 1F2014 유아체육프로그램연구(Studies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전선 유아를 대상을 하는 각종 놀이, 체육종목 프로그램의 개발과 동기유발, 체력증진, 지도방법등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연구를 한다. 2023 1 1F2015 운동영양학(Nutrition in Exercise and Sport) 전선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인 식생활 방법과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 섭취방법 등을 학습한다. 2023 1 1F2016 치료교육론(Therapeutic Education Theory) 전선 각종원인으로 인해 장애, 만성적인 운동기능의 퇴행을 치료적 운동을 통해 기능의 향상과 운동 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며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F2101 스포츠재활연구(Studies in sports rehabilitation) 전선 스포츠활동을 통해서 장애 및 노화로 인한 퇴행부위를 재활 시키고, 감각훈련을 통한 신체기능을 향상시킨다. 2023 1 1F2102 운동생리학연구(Studies in Exercise Physiology) 전선 신체활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조직과 기능의 생리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신체적성과 경기체력 훈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학문이다. 2023 1 1F2103 체육통계학연구(Statistic in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체육적 현상을 자료화하고, 이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기초지식을 함양시킨다. 2023 1 1F2104 특수체육연구(Theory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전선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각종 스포츠 내용을 이해하고, 특수체육과 체육의 영역을 이론적으로 다룬다. 2023 1 1F2105 스포츠사회학연구(Studies in Sport Sociology) 전선 스포츠 사회 현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론을 소개하며, 사화학적 방법과 개념을 통하여 스포츠 현상을 조사・분석한다. 2023 1 1F2107 트레이닝방법론연구(Studies in Methodology of Training) 전선 여러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와 스포츠 과학에 근거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경기력 향상에 대처하게 한다. 2023 1 1F2111 스포츠마케팅연구(Studise in Sports Marketing) 전선 스포츠마케팅을 위한 마케터의 역할과 태도, 디지털시대에 전개될 스포츠마케팅의 의의와 특성, 스포츠마케팅의 관리과정, 전산정보시스템의 운영, 생산개념과 마케팅개념, 스포츠제품의 개발, 가격결정, 장소 및 입지조건의 특성과 방법, 촉진의 유형별 기법, 스포츠소비자행동, 스포츠시장의 세분화 및 고객자료조사방법, 스포츠스폰서십과 올림픽스폰서십 등을 연구한다. 2023 1 1F2112 체육사세미나(Seminar in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전선 과거의 체육문화를 시대별로 검토하여 그 시대의 문화적 요소와 체육문화와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여 현대체육의 방향성을 강구함과 아울러 미래체육의 방법 등을 모색한다. 2023 1 1F2113 사회체육론연구(Studies in Theory of Sports for All) 전선 신체활동의 부족으로 인한 각종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지식 및 방법을 모색하는 학문이며 보다 복지화된 체육의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허용된 일반인들의 활동 욕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과학적 조사 분석 및 평가능력과 사회체육에 관련된 문제점 등을 통찰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초가 되고자 하는 학문이다. 2023 1 1F2115 생체역학연구(Studies in Biomechanics) 전선 운동의 역학적인 측면에서 발생하는 기본적 기술이나 신체적 활동이 되는 힘의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들을 연구한다. 2023 1 1F2116 스포츠상해와재활의학(Sport Injuries and Rehabilitation Medicine) 전선 스포츠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해의 원인과 예방, 치료 및 재활에 대하여 재활의학적 차원에서 연구 분석한다. 2023 1 1F2117 여가ㆍ레크리에이션특강(Leisure and Recreation Seminar) 전선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의 속성, 그리고 그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철학적인 배경과 관련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서양에서는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의 역사적인 변천을 추적하고 현실적인 상황과의 연계를 체육과 사회체육, 그리고 심리학이나 사회학과 같은 인접 분야의 변천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또, 한국의 역사 중 서양의 여가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는 부분을 조명하고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에 관한 한국적인 연구의 틀을 모색한다. 2023 1 1F2118 체육철학연구(Studies in Philosophy of P.E.) 전선 일반철학을 바탕으로 체육을 철학적 측면에서 규명하며, 학문적인 입장에서 문제를 사변적,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적을 둔다. 2023 1 1F2120 전공특강I(Special Topic of P.E.Ⅰ) 전선 현실적인 주제 또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세미나 형식의 강의를 진행한다. 2023 1 1F2121 스포츠교육학연구(Studies in Sport Pedagogy) 전선 체육교육전문가로서 체육교육의 전반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논리와 연구기법을 습득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하여 현실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2023 1 1F2122 전공특강II(Special Topic of P.E. Ⅱ) 전선 현실적인 주제 또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세미나 형식의 강의를 진행한다. 2023 1 1F2123 스포츠심리학특강(Sport Psychology) 전선 노인의 지적・사회적・운동적 성격특징을 파악하고, 노인의 특수성이나 노인들의 요구를 확실히 파악하여, 노인들의 스포츠 활동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둔다. 2023 1 1F2124 노인체육프로그램연구(Studies in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전선 노인들의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면서 삶의 질을 높이도록 한다. 개개인의 신체적 변화와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지도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2023 1 1F2125 운동처방연구(Studies in Exercise Prescription) 전선 일반인의 건강을 위한 운동처방,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훈련이나 경기도중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에 대해 회복기에 실시하는 운동처방, 유아 및 노인들의 운동처방에 관해 학문적 이론을 연구한다. 2023 1 1F2126 특수체육프로그램연구(Studies in Program of Adapted P.E.) 전선 2023 1 1F2130 스포츠의학연구(Studies in Sport Medicine) 전선 신체의 기본이 되는 근육과 골격을 주로 다루는 치료의 주된 기능과 정신적・정서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도와 주기 위한 스포츠 측면에서의 방법을 연구한다. 2023 1 1F2132 심리운동연구(Studies in Psychomotricity) 전선 심리운동에 대한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보다 심화된 이론과 실기 및 지도방법 등을 연구함으로써 심리운동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함양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의 교육 및 재활 현장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고 심리운동의 학문적인 발전과 저변확대에 기여하게 한다. 2023 1 1F2133 체육측정평가연구(Studies i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전선 체육특정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규명하고, 제반 체력요소의 측정 평가에 관한 실체를 비교・분석하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습득한다. 2023 1 1F2134 체육학연구설계법특강(Design and Methods in P.E.) 전선 체육 스포츠현장과 현실의 문제영역에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익히며 실험연구에서 필요한 인원배치법, 인원배치법, 요인설계법 등 각종 실험 설계법을 다룬다. 2023 1 1F2135 치료교육론연구(Studies in Therapeutic Education Theory) 전선 각종원인으로 인해 장애, 만성적인 운동기능의 퇴행을 치료적 운동을 통해 기능의 향상과 운동 능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며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