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57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B1016 애착과정신병리(Attachment and Psychopathology) 전선 애착이 인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고찰한다. 애착이론과 관련 연구에 관해 고찰하고 애착불안정성과 연관된 이상발달 및 정신장애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나아가 애착이론적 접근의 개입프로그램에 대해 모색한다. 2023 1 1B1017 고급놀이치료 (Advanced Play Therapy) 전선 심화된 놀이치료의 다양한 접근법에 관한 주요 개념, 발달과정, 상담과정 및 목표, 기법들의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하여 각 접근방법의 제한점과 활용방안 등을 모색한다. 나아가서 최근의 국내외 놀이치료 효과 연구에 관한 고찰을 통해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한다. 2023 1 1B2001 직업재활특강(Topic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전선 이 강좌에서는 장애인의 사회적 자립에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 직업기술훈련, 취업, 사후지도 등 직업재활과정에 대한 이론체계에 대해 교수하고 그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직업재활체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며 그 개선방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또한 중증장애인 고용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게 다룬다. 2023 1 1B2002 장애인편의시설(Accommod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전선 장애인편의시설은 환경적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서 장애인들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장애인편의시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다루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것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내외 관련 정책과 제도, 법적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룬다. 2023 1 1B2005 직업재활실습(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se) 전선 직업재활학의 특성 중의 하나는 순수학문적 지향과 응용학문적 지향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직업재활 현장에서의 교육훈련은 학교에서 배운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검증에 중요한 장을 제공한다. 나아가 직업재활 현장에서의 실습교육은 재활학의 전문성에 대한 정체성 제공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2023 1 1B2007 중증장애인직업재활프로그램(Rehabilitation Program for severely disabled) 전선 이 강의에서는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프로그램으로 보편화된 보호작업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 지원고용의 기본개념과 유형, 핵심운영주체인 직업코치가 수행하는 기본업무인 직업개발, 직무분석, 클라이언트-직업 연계, 현직훈련, 작업자 평가 등의 내용을 강의함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현장에서 직업코치로서 역할을 하는데 필요한 기본지식과 소양을 갖추게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2023 1 1B2014 고급직업재활방법(Advance Job Rehabilitation Method) 전선 이 강좌에서는 직업재활 과정에서 필수적인 직업배치와 사후지도와 관련된 절차를 설명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직업배치를 위한 사업장 개발과정과 방법에 관하여 배우고, 그 외에 장애인을 사업장에 배치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검토한다. 아울러 안정적인 직업유지를 위한 사후지도의 이론과 실제를 배우게 된다. 2023 1 1B2015 고급직업재활상담(Adevanced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ing) 전선 직업재활상담과정에 있어서 직업재활상담가의 역할, 인테이크 상담을 비롯한 구체적인 직업재활상담법, 체계적인 케이스 관리방법, 재활상담에 있어서 윤리적 고려사항 등에 대해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이 재활현장에 나아가 장애인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B2016 장애인고용대책론(Employment policy and program for the differently Abled) 전선 이 강좌에서는 우리 나라의 전반적인 장애인 고용현황을 살펴보고 저조한 장애인고용을 높이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대책을 세울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논의를 한다. 2023 1 1B2023 고급직업적응훈련(Advanced Work Adjustment Training) 전선 이 강좌는 직업전 훈련과 직업적응 등 장애인의 취업과 직업유지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직업적응과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직업적응훈련 프로그램을 개관한다. 또한 직업적응 프로그램에 연관되는 요인들과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하기 위한 기법들을 살펴본다. 2023 1 1B2027 자립생활세미나(Independent Living Seminar ) 전선 1970년대 미국에서 일어났던 자립생활운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장애를 개인적인 문제로만 보아왔던 전통적인 재활패러다임으로부터 벗어나서 장애로 인한 개인의 문제보다는 사회적 문제가 장애인들에게 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일깨워주는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다 준 아주 중요한 사건이다. 이 강좌에서는 자립생활운동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것이 가져다 준 패러다임 전환의 의미와 그 중요성 등을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써 수강생들이 장애문제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지고 재활현장에서 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23 1 1B2031 지원고용세미나(Supported Employment Seminar) 전선 이 강좌에서는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이 직무지도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 일반고용으로 취업이 된 후 직업적응훈련 및 직업훈련을 받아 직업유지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을 다룬다. 지원고용은 발달장애인들에게 보호고용이 아닌 일반고용의 가능성을 열어준 의미 있는 제도이다. 이 강좌에서는 발달장애인을 비롯하여 직업적 장애가 있는 중증장애인들의 고용문제를 심도있게 다룬다. 2023 1 1B3018 정서와인지(Emotion and Cognition) 전선 인간의 정서와 인지의 특성과 발달과정에 대해 심도 있게 배운다. 나아가 인간의 심리적 제반 문제에서 발생하는 정서와 인지의 영향력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결과들을 고찰함으로써 임상적 이해를 돕는다. 2023 1 1B3025 놀이치료임상실습및감독(Clin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of Play Therapy) 전선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의 지식에 기반하여 현장 실습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사례 임상훈련을 통해 치료자로서의 역할을 경험하고 이에 대한 전문적인 슈퍼비전이 제공된다. 2023 1 1B3026 고급심리평가및진단(Advanced Psychological Assessment) 전선 심리검사의 구성이론과 실시, 채점 및 해석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다루며, 객관적 심리검사와 임상적 투사법의 실시, 채점, 해석방법을 실제 사례 연습을 통해 습득한다. 2023 1 1B3029 정신의학임상실습(Practicum in Child Psychiatric Clinic) 전선 정신과 병원, 상담센터 등 임상장면에서 실제 정신과의가 실시하는 정신의학적 접근(상담과 약물치료 접근)에 대해 관찰 실습하는 기회를 통해 생애주기별 정신장애에 대한 포괄적 임상실습을 한다. 2023 1 1B4007 장애기능 및 행동분석(Analysis of Function & Behavior in Disabilities) 전선 장애는 각종 기능과 행동상의 제약으로 표출된다. 그러한 제약을 정확히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모든 장애서비스의 기초가 된다. 이 강좌에서는 각종 장애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이고 행동적인 제약을 분석하는 절차와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2023 1 1B4009 보조공학세미나(Assistive Technology Seminar) 전선 이 강좌는 국내외 보조공학 관련 학술논문에 대한 그룹별 분석, 토의 및 발표와 보조공학 서비스 실태에 대한 조사발표를 통해서 이론과 실제의 간격을 좁힐 뿐 아니라 학술적인 연구방법 체득에 도움을 준다. 2023 1 1B4014 고급직업배치(Aduanced job Placement) 전선 직업배치는 직업재활 과정의 마지막 단계로서 장애인들이 자기의 직업에 얼마나 적응하고 만족하며 유지할 수 있는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강좌에서는 직업배치와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직업배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과 프로그램, 기법 등을 다룬다. 2023 1 1B4016 장애정책및제도(Disability Policy and System) 전선 장애관련 정책과 제도는 장애인의 실질적인 삶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현장전문가로서 장애인들에게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하기 힘들다. 이 강좌에서는 장애정책과 제도의 역사적 흐름부터 시작하여 최근 가장 논점이 되는 것에 이르기까지, 또한 외국의 정책과 제도도 아울러 다룸으로써 수강생이 장애정책과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을 형성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23 1 1B4019 장애서비스(Disability services ) 전선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는 아주 다양할 수 있다. 각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그 서비스가 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에 대해 강의하고 토론한다. 2023 1 1B4020 재활연구방법론(Rehabilitation Research Method) 전선 이 강좌는 수강생으로 하여금 재활관련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료수집, 자료분석, 설계 디자인, 보고서 작성 등 과학적 조사방법에 대한 기본개념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23 1 1B4022 장애의 의학적 이해(Medical Aspect of Disability) 전선 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는 장애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이해에 기초해야 한다. 장애유형별로 가지고 있는 의학적 측면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내용과 지식을 전수함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각실무 분야에서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학적 소양과 토대를 함양하는데 중점을 둔다. 2023 1 1B4023 고급인지심리학(AdAdvanced Cognitive psychology) 전선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위해 이해, 학습, 기억, 문제해결 등에 대하여 심도있게 공부한다. 2023 1 1B4026 발달장애인세미나(Developmental Disabilities Seminar) 전선 발달장애는 대부분의 경우 신체장애를 수반하지는 않지만 직업능력 면에서나 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기능상 중증(severe)의 장애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모든 발달장애인은 중증장애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와 전문가의 보호와 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는 장애인이 바로 지적능력이 떨어지는 발달장애인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그들을 위한 아무런 적절하거나 유효한 정책적인 지원 방안을 충분히 마련하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강좌의 목표는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욕구파악에서부터 그것에 기초한 여러 가지 대안에 이르기까지 주제별로 논의하고 토론하는데 있다. 2023 1 1B4027 장애관련 법규 및 노동법(Diability Related Laws & Labor Laws) 전선 이 강좌에서는 이전의 장애인 고용관련법인 장애인고용촉진법을 비롯하여, 새로 개정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등 장애관련 법규 뿐 아니라 일반 노동법 등을 강의함으로써 수강생들이 장애인 직업재활을 돕는데 필요한 법률적 지식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23 1 1B4029 장애인 Wellness 세미나(Wellnes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eminar) 전선 Wellness는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 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로 신체와 정신은 물론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미한다.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훨씬 위협받는 것이 바로 Wellness다. 신체적 여건상 운동부족으로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그것이 누적되어 결국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비장애인에 비해 훨씬 높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어리거나 젊은 시절 동안에는 장애에 적응하고 극복하면서 사느라고 고생이 많고, 늙어서는 성인병으로 오래 살지 못하게 되는 아주 불공평하고 억울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여가, 문화, 예술,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란 매우 힘들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주로 장애인 Wellness의 현 실태는 어떠한지, 그리고 주요 문제점은 어디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더 나아가 그러한 실태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논의한다. 2023 1 1B4033 정신화기반 심리치료 및 상담(Mentalization based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전선 최신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중 하나인 정신화에 대한 최근이론과 관련 논문을 리뷰한다. 나아가 정신화 기법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상담과 심리치료 개입법에 대해 배우고 이를 전 생애 발달과 임상상담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계획을 시행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