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56 2023 2022 2021 2020 2019 2019 2018 2017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A0001 건물지고고학 Ⅰ(Archaeology of buildings Ⅰ) 전선 선사, 고대의 건물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2 1A0001 건물지고고학 Ⅰ(Archaeology of buildings Ⅰ) 전선 선사, 고대의 건물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A0002 건물지고고학 Ⅱ(Archaeology of buildings Ⅱ) 전선 중세의 건물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2 1A0002 건물지고고학 Ⅱ(Archaeology of buildings Ⅱ) 전선 중세의 건물지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A0003 고고학연구법 특강(Topics in Archaeologi- cal Methodology) 전선 전통고고학의 고고학조사와 연구의 방법론은 물론, 신고고학에서 적용하는 가설검증과 모델의 제시 등에 관한 연구방법론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03 고고학연구법 특강(Topics in Archaeologi- cal Methodology) 전선 전통고고학의 고고학조사와 연구의 방법론은 물론, 신고고학에서 적용하는 가설검증과 모델의 제시 등에 관한 연구방법론을 폭넓게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04 근동고고학(Archaeology of Southwest Asia) 전선 주로 농경의 기원으로부터 고대국가가 형성되어 나아가는 과정의 고고학적 문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도록 한다. 2023 2 1A0004 근동고고학(Archaeology of Southwest Asia) 전선 주로 농경의 기원으로부터 고대국가가 형성되어 나아가는 과정의 고고학적 문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도록 한다. 2023 1 1A0005 금속기론 Ⅱ(Studies in Metallurgy Ⅱ)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철기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05 금속기론 Ⅱ(Studies in Metallurgy Ⅱ)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철기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06 금속기론 Ⅲ(Studies in Metallurgy Ⅲ)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귀금속 제품 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06 금속기론 Ⅲ(Studies in Metallurgy Ⅲ)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귀금속 제품 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07 기와론(Archaeology of roof-tile) 전선 먼저 중국 기와의 전개양상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어 낙랑, 삼국, 통일신라, 고려 및 조선의 기와적 특성을 이해한다. 이어서 기와의 제작기술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 생산유적의 성격을 상세히 파악한다. 2023 2 1A0007 기와론(Archaeology of roof-tile) 전선 먼저 중국 기와의 전개양상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어 낙랑, 삼국, 통일신라, 고려 및 조선의 기와적 특성을 이해한다. 이어서 기와의 제작기술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 생산유적의 성격을 상세히 파악한다. 2023 1 1A0008 시베리아고고학(Archeology of Siberian) 전선 주로 미누신스크지역과 연해주지역의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 이르는 시기의 문화현상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08 시베리아고고학(Archeology of Siberian) 전선 주로 미누신스크지역과 연해주지역의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까지 이르는 시기의 문화현상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09 아메리카고고학(Archaeology of Americas) 전선 북미・중미・남미의 유적들에 대한 중요 조사성과를 파악하고 연구사적 의의를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09 아메리카고고학(Archaeology of Americas) 전선 북미・중미・남미의 유적들에 대한 중요 조사성과를 파악하고 연구사적 의의를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11 유럽고고학(Archaeology of Europe) 전선 유럽고고학을 통시적으로 파악한 후, 현대 유럽고고학의 특성과 문제점 등을 살펴본다. 2023 2 1A0011 유럽고고학(Archaeology of Europe) 전선 유럽고고학을 통시적으로 파악한 후, 현대 유럽고고학의 특성과 문제점 등을 살펴본다. 2023 1 1A0012 중세고고학Ⅰ(Medieval Archeology Ⅰ) 전선 고려시대의 고고학으로서 각종 건물지, 분묘, 관방유적 및 생산유적들과 도기, 자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이에는 관련된 문헌사학적 사항들도 함께 살펴보는 융합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2023 2 1A0012 중세고고학Ⅰ(Medieval Archeology Ⅰ) 전선 고려시대의 고고학으로서 각종 건물지, 분묘, 관방유적 및 생산유적들과 도기, 자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이에는 관련된 문헌사학적 사항들도 함께 살펴보는 융합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강의를 진행한다. 2023 1 1A0013 중세고고학연습Ⅱ(Seminar in Medieval Archeology Ⅱ ) 전선 조선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련된 문헌자료도 참고하여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0013 중세고고학연습Ⅱ(Seminar in Medieval Archeology Ⅱ ) 전선 조선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련된 문헌자료도 참고하여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0014 취락고고학 Ⅱ(Studies in Settlement Archeology Ⅱ) 전선 선사, 고대의 취락과 주거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2 1A0014 취락고고학 Ⅱ(Studies in Settlement Archeology Ⅱ) 전선 선사, 고대의 취락과 주거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A0021 고대고고학Ⅰ(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Ⅰ) 전선 고대국가가 형성된 이후의 삼국시대 고고학적 문화를 다룬다. 고구려・백제・신라 분묘와 취락의 형성과 발전과정, 취락의 성격 및 제반 유물과 그 생산관계 유적 등 다양한 소재의 유적과 유물에 대하여 살펴본다. 2023 2 1A0021 고대고고학Ⅰ(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Ⅰ) 전선 고대국가가 형성된 이후의 삼국시대 고고학적 문화를 다룬다. 고구려・백제・신라 분묘와 취락의 형성과 발전과정, 취락의 성격 및 제반 유물과 그 생산관계 유적 등 다양한 소재의 유적과 유물에 대하여 살펴본다. 2023 1 1A0022 선사고고학(Prehistoric Archeology) 전선 역사시대 이전의 무문자시대 고고학으로서 대략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시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각 시대별 자연환경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당시의 유적과 유물을 고찰하면서 그에 적응한 문화체계를 파악한다. 2023 2 1A0022 선사고고학(Prehistoric Archeology) 전선 역사시대 이전의 무문자시대 고고학으로서 대략 구석기시대~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시간적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먼저 각 시대별 자연환경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당시의 유적과 유물을 고찰하면서 그에 적응한 문화체계를 파악한다. 2023 1 1A0023 고대고고학연습Ⅱ(Seminar in 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통일신라의 주거, 생산, 분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유구와 유물들을 섭렵하여 종합적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2023 2 1A0023 고대고고학연습Ⅱ(Seminar in 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통일신라의 주거, 생산, 분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유구와 유물들을 섭렵하여 종합적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2023 1 1A0024 고대고고학Ⅱ(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통일신라의 고고학으로서 성곽, 취락, 분묘는 물론 기타의 유적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토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다양한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이 시대의 불교 유적과 유물의 성격에 대하여도 함께 다룬다. 2023 2 1A0024 고대고고학Ⅱ(Ancient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통일신라의 고고학으로서 성곽, 취락, 분묘는 물론 기타의 유적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토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다양한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이 시대의 불교 유적과 유물의 성격에 대하여도 함께 다룬다. 2023 1 1A1002 한국고대국가형성론(The Formation of the Acient State Korea) 전선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과정에 대해 이론적 접근, 남북한의 공통성과 차이점 등에 주목하여 검토한다. 이 작업을 바탕으로 앞으로 고대국가 형성사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할지를 검토한다. 2023 2 1A1002 한국고대국가형성론(The Formation of the Acient State Korea) 전선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과정에 대해 이론적 접근, 남북한의 공통성과 차이점 등에 주목하여 검토한다. 이 작업을 바탕으로 앞으로 고대국가 형성사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할지를 검토한다. 2023 1 1A1003 한국고고학사(History of Korean Archeology) 전선 조선시대・일제시대 및 해방 이후의 한반도 고고학 전개양상을 통시적으로 파악하고 그 문제점들을 논의하도록 한다. 2023 2 1A1003 한국고고학사(History of Korean Archeology) 전선 조선시대・일제시대 및 해방 이후의 한반도 고고학 전개양상을 통시적으로 파악하고 그 문제점들을 논의하도록 한다. 2023 1 1A1006 역사고고학특강I(Topics in Historical Archeology 1) 전선 고구려, 백제, 신라 및 가야의 묘제, 도성, 토기와 금속기 등 물질문화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를 획득함을 목표로 함. 2023 2 1A1006 역사고고학특강I(Topics in Historical Archeology 1) 전선 고구려, 백제, 신라 및 가야의 묘제, 도성, 토기와 금속기 등 물질문화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를 획득함을 목표로 함. 2023 1 1A1007 역사고고학특강II(Topics in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고려와 조선시대의 묘제, 도성, 도자기와 금속기 등 물질문화에 대한 총괄적적인 이해를 획득함을 목표로 함. 2023 2 1A1007 역사고고학특강II(Topics in Historical ArcheologyⅡ) 전선 고려와 조선시대의 묘제, 도성, 도자기와 금속기 등 물질문화에 대한 총괄적적인 이해를 획득함을 목표로 함. 2023 1 1A1008 한국민족형성론(The Formation of the Korean People) 전선 한국인의 형성과정에 대한 20세기 이후의 국내외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조망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문헌적, 형질인류학적, 고고학적, 비교언어학적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검토한다. 2023 2 1A1008 한국민족형성론(The Formation of the Korean People) 전선 한국인의 형성과정에 대한 20세기 이후의 국내외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조망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문헌적, 형질인류학적, 고고학적, 비교언어학적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검토한다. 2023 1 1A1009 한국고대의대외관계(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ncient Korea) 전선 일제 식민사학의 해독으로 말미암아 심하게 왜곡된 고대 한일관계사를 중심으로 한・중관계사, 한・만 관계사 등을 연구한다. 특히 고대의 관계사는 다른 집단과의 빈번한 접촉 속에서 우리라는 자의식을 가지게 되는 시기로서 국가와 민족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주변국과의 올바른 국제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지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2023 2 1A1009 한국고대의대외관계(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ncient Korea) 전선 일제 식민사학의 해독으로 말미암아 심하게 왜곡된 고대 한일관계사를 중심으로 한・중관계사, 한・만 관계사 등을 연구한다. 특히 고대의 관계사는 다른 집단과의 빈번한 접촉 속에서 우리라는 자의식을 가지게 되는 시기로서 국가와 민족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주변국과의 올바른 국제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지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2023 1 1A1010 한국고대생활사(The Ancient Korean Living) 전선 고대 한국인의 생활사를 복원하여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조망하는 기초작업으로 삼는다. 구체적인 내용은 의, 식, 주 등의 일상생활, 농경의례와 장송의례를 중심으로 한 각종 제의의 양상 등이며 방법론적으로는 문헌적, 고고학적, 민속학 내지 종교학적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한다. 2023 2 1A1010 한국고대생활사(The Ancient Korean Living) 전선 고대 한국인의 생활사를 복원하여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조망하는 기초작업으로 삼는다. 구체적인 내용은 의, 식, 주 등의 일상생활, 농경의례와 장송의례를 중심으로 한 각종 제의의 양상 등이며 방법론적으로는 문헌적, 고고학적, 민속학 내지 종교학적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한다. 2023 1 1A1011 원사고고학연습(Seminar in Proto-historical Archeology) 전선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 이행되는 과도기 문화의 양상을 파악하여 고대국가 형성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1011 원사고고학연습(Seminar in Proto-historical Archeology) 전선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 이행되는 과도기 문화의 양상을 파악하여 고대국가 형성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1012 고분론(Archaeology of Burials) 전선 고대 고분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 성격과 부장방식, 지역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의 역사와 문화적 성격을 파악한다. 2023 2 1A1012 고분론(Archaeology of Burials) 전선 고대 고분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 성격과 부장방식, 지역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의 역사와 문화적 성격을 파악한다. 2023 1 1A1014 취락고고학(Studies in Settlement Archeology) 전선 중세의 취락과 주거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2 1A1014 취락고고학(Studies in Settlement Archeology) 전선 중세의 취락과 주거에 대한 파악을 통해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2023 1 1A1015 석기론(Lithic Archaeology) 전선 구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석기 제작기술 변천과 기능론을 살피고, 시・공간적인 문화적 양상도 파악하도록 한다. 2023 2 1A1015 석기론(Lithic Archaeology) 전선 구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석기 제작기술 변천과 기능론을 살피고, 시・공간적인 문화적 양상도 파악하도록 한다. 2023 1 1A1016 과학적분석방법론(Scientific Methods in Archeology) 전선 유구와 유물을 대상으로 자연과학에서 개발한 각종 분석방법들을 개관하고, 그 세부적 원리에 대하여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1016 과학적분석방법론(Scientific Methods in Archeology) 전선 유구와 유물을 대상으로 자연과학에서 개발한 각종 분석방법들을 개관하고, 그 세부적 원리에 대하여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1017 금속기론(Studies in Metallurgy)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청동기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1017 금속기론(Studies in Metallurgy) 전선 한반도 및 중국 동북지방을 대상으로 삼아 청동기문화 발전과정을 역사・문화적인 맥락에서 파악하고, 과학적 분석결과에서 규명된 기술사적 측면에 대한 내용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1018 고고학이론과방법론(Theories Topics in Historical Archaeology) 전선 고고학자체 및 인접분야에서 개발된 각종 이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이론이 적용된 연구결과들을 검토하며, 자연과학적 분석법 등의 연구방법론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함. 2023 2 1A1018 고고학이론과방법론(Theories Topics in Historical Archaeology) 전선 고고학자체 및 인접분야에서 개발된 각종 이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이론이 적용된 연구결과들을 검토하며, 자연과학적 분석법 등의 연구방법론에 대해서도 이해하도록 함. 2023 1 1A1019 한국고고학의이해(Comprehension of Korean archaeology ) 전선 한반도 고고학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한국 고고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도록 한다. 2023 2 1A1019 한국고고학의이해(Comprehension of Korean archaeology ) 전선 한반도 고고학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한국 고고학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도록 한다. 2023 1 1A1020 중세고고학Ⅱ(Medieval ArcheologyⅡ) 전선 조선시대의 고고학으로서 분묘, 건물지, 취락, 행정 및 관방유적, 다양한 생산유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자기와 도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고려시대 고고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헌사학적 사항들과의 융합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강의를 진행한다. 2023 2 1A1020 중세고고학Ⅱ(Medieval ArcheologyⅡ) 전선 조선시대의 고고학으로서 분묘, 건물지, 취락, 행정 및 관방유적, 다양한 생산유적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자기와 도기, 기와, 금속기 및 기타의 유물들 성격을 파악한다. 또한 고려시대 고고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문헌사학적 사항들과의 융합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강의를 진행한다. 2023 1 1A1021 유적조사의이론과실제(Theory and Method in Relics Investigate) 전선 2023 2 1A1021 유적조사의이론과실제(Theory and Method in Relics Investigate) 전선 2023 1 1A1022 도자기고고학(Archaeology of Ceramics) 전선 중국도자기의 성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로의 도자기 전파와 전개양상을 살펴본다. 이어서 각 시대 도자기의 성격과 세부적 속성들을 상세히 살펴본 후 그 생산유적들의 특성을 시대별로 나누어 파악한다. 2023 2 1A1022 도자기고고학(Archaeology of Ceramics) 전선 중국도자기의 성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로의 도자기 전파와 전개양상을 살펴본다. 이어서 각 시대 도자기의 성격과 세부적 속성들을 상세히 살펴본 후 그 생산유적들의 특성을 시대별로 나누어 파악한다. 2023 1 1A1023 원사고고학Ⅰ(Protohistorical ArcheologyⅠ) 전선 고대국가 형성기의 고고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대략 원삼국시대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 과목에서는 주로 당시의 대 중국관계, 낙랑문화의 성격 및 기타의 북방계열 원삼국시대 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2023 2 1A1023 원사고고학Ⅰ(Protohistorical ArcheologyⅠ) 전선 고대국가 형성기의 고고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대략 원삼국시대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 과목에서는 주로 당시의 대 중국관계, 낙랑문화의 성격 및 기타의 북방계열 원삼국시대 문화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2023 1 1A1024 원사고고학Ⅱ(Protohistorical Archeology Ⅱ) 전선 원사고고학 Ⅰ에 이어 남한의 삼한지역 고고학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먼저 한반도 중부 및 중서부의 취락 및 분묘를 중심으로 한 문화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이어서 진한지역과 변한지역의 분묘와 취락을 중심으로 한 고고학적 문화를 파악한다. 아울러 낙랑과의 문화적 관계도 함께 다룬다. 2023 2 1A1024 원사고고학Ⅱ(Protohistorical Archeology Ⅱ) 전선 원사고고학 Ⅰ에 이어 남한의 삼한지역 고고학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먼저 한반도 중부 및 중서부의 취락 및 분묘를 중심으로 한 문화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 이어서 진한지역과 변한지역의 분묘와 취락을 중심으로 한 고고학적 문화를 파악한다. 아울러 낙랑과의 문화적 관계도 함께 다룬다. 2023 1 1A1025 야외고고학 실습 Ⅰ(Training in Field Archelogy Ⅰ) 전선 2023 2 1A1025 야외고고학 실습 Ⅰ(Training in Field Archelogy Ⅰ) 전선 2023 1 1A1026 성곽론(Archaeology of Castles) 전선 고대・중세의 성곽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의 성격과 축조 방식, 지역적 특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 성곽을 중심으로 전개된 역사와 문화의 성격을 파악한다. 2023 2 1A1026 성곽론(Archaeology of Castles) 전선 고대・중세의 성곽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의 성격과 축조 방식, 지역적 특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 성곽을 중심으로 전개된 역사와 문화의 성격을 파악한다. 2023 1 1A1027 생산과유통의고고학(Archeology of Production and circulation) 전선 토기, 금속기 및 기타 고고학적 유물의 생산 방식과 기술 및 유통에 관련된 자료들과 그 결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함. 2023 2 1A1027 생산과유통의고고학(Archeology of Production and circulation) 전선 토기, 금속기 및 기타 고고학적 유물의 생산 방식과 기술 및 유통에 관련된 자료들과 그 결과에 관한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함. 2023 1 1A1028 고분론 Ⅱ(Archaeology of Burials Ⅱ) 전선 중세 분묘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 성격과 부장방식, 지역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의 역사와 문화적 성격을 파악한다. 2023 2 1A1028 고분론 Ⅱ(Archaeology of Burials Ⅱ) 전선 중세 분묘에 나타난 입지, 구조, 유물 성격과 부장방식, 지역성 등을 이해하여 당시의 역사와 문화적 성격을 파악한다. 2023 1 1A2004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Transition form Ancient Society to Medieval Society) 전선 우리나라의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이행을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여러 측면에서 세계사와 비교 검토한다. 2023 2 1A2004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Transition form Ancient Society to Medieval Society) 전선 우리나라의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이행을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여러 측면에서 세계사와 비교 검토한다. 2023 1 1A2005 조선시대정치사연구 (Studies in Political History of Chosun Dynasty) 전선 조선시대의 정치제도 및 권력구조, 정치운영상의 특징을 시대적 변화와 관련시켜 검토한다. 주자학적 정치이념의 성격과 정치세력 간의 갈등도 자료적 뒷받침 위에 검토한다. 2023 2 1A2005 조선시대정치사연구 (Studies in Political History of Chosun Dynasty) 전선 조선시대의 정치제도 및 권력구조, 정치운영상의 특징을 시대적 변화와 관련시켜 검토한다. 주자학적 정치이념의 성격과 정치세력 간의 갈등도 자료적 뒷받침 위에 검토한다. 2023 1 1A2007 간도사 연구(Reseanch Seminar on History of Kando) 전선 간도지역에서 활동한 한민족의 이주와 문화적 특색, 민족종교・사회・민족의식 및 독립 운동 등을 강의한다. 2023 2 1A2007 간도사 연구(Reseanch Seminar on History of Kando) 전선 간도지역에서 활동한 한민족의 이주와 문화적 특색, 민족종교・사회・민족의식 및 독립 운동 등을 강의한다. 2023 1 1A2010 한국사적 연구(Studies in Korean Historical Documents) 전선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의 서적과 문서 등 여러 역사연구자료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체재를 검토하고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법 등을 연구한다. 2023 2 1A2010 한국사적 연구(Studies in Korean Historical Documents) 전선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의 서적과 문서 등 여러 역사연구자료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체재를 검토하고 사료적 가치와 활용방법 등을 연구한다. 2023 1 1A2011 한국근대경제사 특강(Topics in the Modern Economics Histoty of Korea) 전선 조선후기의 토지제도・농업경제 및 상공업 등 경제문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논저 가운데 중심 주제를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 검토한다. 2023 2 1A2011 한국근대경제사 특강(Topics in the Modern Economics Histoty of Korea) 전선 조선후기의 토지제도・농업경제 및 상공업 등 경제문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논저 가운데 중심 주제를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 검토한다. 2023 1 1A2012 한국근대사 연습(Reading Seminar on Modern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주요쟁점이 되고 있는 과제를 선정하여 학계의 학문적 성과와 관계 자료의 비판・분석을 통해 한국 근대사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한다. 2023 2 1A2012 한국근대사 연습(Reading Seminar on Modern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주요쟁점이 되고 있는 과제를 선정하여 학계의 학문적 성과와 관계 자료의 비판・분석을 통해 한국 근대사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한다. 2023 1 1A2013 한국중세사연습1(Seminar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Ⅰ) 전선 중세사회로서의 고려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세계 여러 나라의 중세사회와 비교하여 검토한다. 특히 사회구조의 변동성(mobility)과 고정성(stability)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의 중세사회와 비교 검토한다. 2023 2 1A2013 한국중세사연습1(Seminar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Ⅰ) 전선 중세사회로서의 고려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세계 여러 나라의 중세사회와 비교하여 검토한다. 특히 사회구조의 변동성(mobility)과 고정성(stability)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의 중세사회와 비교 검토한다. 2023 1 1A2014 한국중세경제사특강(Topics in The Medieval Economic History of Korea) 전선 조선시대와 고려시대의 경제사와 관련된 중요한 쟁점들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조망해본다. 2023 2 1A2014 한국중세경제사특강(Topics in The Medieval Economic History of Korea) 전선 조선시대와 고려시대의 경제사와 관련된 중요한 쟁점들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조망해본다. 2023 1 1A2015 한국근대화론(Discourse on Modernization of Korea) 전선 일제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침략해 들어오는 과정과 한국사회가 식민지로 전락하는 과정을 통해 일본식민지배의 영향을 분석, 검토한다. 2023 2 1A2015 한국근대화론(Discourse on Modernization of Korea) 전선 일제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침략해 들어오는 과정과 한국사회가 식민지로 전락하는 과정을 통해 일본식민지배의 영향을 분석, 검토한다. 2023 1 1A2016 조선시대문화사연구(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Chosun Dynasty) 전선 조선시대 문화의 전개과정을 사상의 변화와 연관시켜 살펴본다. 특히 조선전기 유・불 교체기 문화의 성격과 조선후기 주자학 문화, 영・정조대 진경문화의 전개와 변화과정을 자료와 함께 검토한다. 2023 2 1A2016 조선시대문화사연구(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Chosun Dynasty) 전선 조선시대 문화의 전개과정을 사상의 변화와 연관시켜 살펴본다. 특히 조선전기 유・불 교체기 문화의 성격과 조선후기 주자학 문화, 영・정조대 진경문화의 전개와 변화과정을 자료와 함께 검토한다. 2023 1 1A2021 한국현대사 특강(Topic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해방 이후 현재까지 남북한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추출하고 그 의미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한다. 2023 2 1A2021 한국현대사 특강(Topic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해방 이후 현재까지 남북한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추출하고 그 의미에 대한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한다. 2023 1 1A2026 중국고고학특강11(Topic in Archeology of Ancient China 11) 전선 최초의 통일왕조인 진대부터 양한, 삼국시대, 남북조시대, 수당시대를 대상으로 하며 묘장, 부장품 등을 중심으로 중국 고대문명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 문화와 비교하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2023 2 1A2026 중국고고학특강11(Topic in Archeology of Ancient China 11) 전선 최초의 통일왕조인 진대부터 양한, 삼국시대, 남북조시대, 수당시대를 대상으로 하며 묘장, 부장품 등을 중심으로 중국 고대문명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 문화와 비교하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2023 1 1A2027 한국중세사상사연구(Topic on Medieval Intellectual History) 전선 고려시대에서 조선시기까지의 유교・불교 등 사상에 대해 관련 사료와 논저를 중심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2023 2 1A2027 한국중세사상사연구(Topic on Medieval Intellectual History) 전선 고려시대에서 조선시기까지의 유교・불교 등 사상에 대해 관련 사료와 논저를 중심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2023 1 1A2029 한국중세의 대외관계(Study on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Koeran medieval history) 전선 한국사에서 고려시대~조선중기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동북아시아에서의 제 국가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중세사를 동아시아의 일부분으로서 파악하도록 한다. 2023 2 1A2029 한국중세의 대외관계(Study on Foreign Relations during the Koeran medieval history) 전선 한국사에서 고려시대~조선중기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동북아시아에서의 제 국가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중세사를 동아시아의 일부분으로서 파악하도록 한다. 2023 1 1A2030 고대고고학연습(Seminar in Ancient Archeology) 전선 삼국시대의 주거, 생산, 분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유구와 유물들을 섭렵하여 종합적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2023 2 1A2030 고대고고학연습(Seminar in Ancient Archeology) 전선 삼국시대의 주거, 생산, 분묘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유구와 유물들을 섭렵하여 종합적 지식을 갖추도록 한다. 2023 1 1A2031 중세고고학연습I(Seminar in Medieval Archeology I) 전선 고려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련된 문헌자료도 참고하여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2031 중세고고학연습I(Seminar in Medieval Archeology I) 전선 고려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해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관련된 문헌자료도 참고하여 당시의 문화상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2032 한국중세의국가론(Seminar on Medieval State Science in Korean) 전선 중앙집권국가의 성립, 집권세력의 변화, 국가재정, 통치이념, 지방지배 등 중앙집권국가를 유지해 온 우리나라의 국가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2023 2 1A2032 한국중세의국가론(Seminar on Medieval State Science in Korean) 전선 중앙집권국가의 성립, 집권세력의 변화, 국가재정, 통치이념, 지방지배 등 중앙집권국가를 유지해 온 우리나라의 국가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2023 1 1A2034 한국능묘문화사연구(Studies in tomb's culture history in Korean)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각 시기의 여러 묘제와 무덤에 설치된 각각의 조형물들과 장례풍습에 이르는 자료를 통해 문화사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한국사를 재검토한다. 2023 2 1A2034 한국능묘문화사연구(Studies in tomb's culture history in Korean)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각 시기의 여러 묘제와 무덤에 설치된 각각의 조형물들과 장례풍습에 이르는 자료를 통해 문화사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한국사를 재검토한다. 2023 1 1A2035 한국근대경제사연습(Seminar in Economic History of the modern Korea) 전선 조선후기의 토지제도・농업경제 및 상공업 등 경제문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논저와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2023 2 1A2035 한국근대경제사연습(Seminar in Economic History of the modern Korea) 전선 조선후기의 토지제도・농업경제 및 상공업 등 경제문제에 대하여 관계되는 논저와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2023 1 1A2036 한.일관계사특강(Topics in the Relation- 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전선 한국과 일본의 관계의 발전과 변화를 주요 주제를 통하여 검토해 본다 2023 2 1A2036 한.일관계사특강(Topics in the Relation- 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전선 한국과 일본의 관계의 발전과 변화를 주요 주제를 통하여 검토해 본다 2023 1 1A2037 고려무인정권 연구(Study on the Koryo Military Period) 전선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추이와 그 성격, 기구 등에 대해 관련 논저와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2023 2 1A2037 고려무인정권 연구(Study on the Koryo Military Period) 전선 고려시대 무신정권의 추이와 그 성격, 기구 등에 대해 관련 논저와 사료를 중심으로 연구하도록 한다. 2023 1 1A2038 동북아시아 민족학연구(Studies in North- east Asia of Ethnogeny) 전선 시베리아와 몽골고원 등 알타이제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종족집단과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추출해 봄으로써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위치를 조망해 본다. 2023 2 1A2038 동북아시아 민족학연구(Studies in North- east Asia of Ethnogeny) 전선 시베리아와 몽골고원 등 알타이제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종족집단과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추출해 봄으로써 한국인의 체질인류학적 위치를 조망해 본다. 2023 1 1A2039 한.미주 교섭사연구(Semin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America) 전선 해방을 전후한 시점부터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정치적 움직임과 해방 이후 남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2023 2 1A2039 한.미주 교섭사연구(Semin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America) 전선 해방을 전후한 시점부터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정치적 움직임과 해방 이후 남북한과 미국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2023 1 1A2040 한.서구 관계사 연구(Semin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urope) 전선 서구(유럽문화권)과의 교류가 한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요 주제를 통하여 정리 검토해 본다. 2023 2 1A2040 한.서구 관계사 연구(Semin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Europe) 전선 서구(유럽문화권)과의 교류가 한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요 주제를 통하여 정리 검토해 본다. 2023 1 1A2041 한.일관계사 연구(Seminar in the Relation- 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전선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왔는지를 주요 연구 성과를 통하여 정리해 본다. 2023 2 1A2041 한.일관계사 연구(Seminar in the Relation- 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전선 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왔는지를 주요 연구 성과를 통하여 정리해 본다. 2023 1 1A2042 한국고대경제사연구(History of the Korean Ancient Economy) 전선 한국 고대의 경제문제에 대해 사료와 논저 등을 통하여 연구하는 과목이다. 2023 2 1A2042 한국고대경제사연구(History of the Korean Ancient Economy) 전선 한국 고대의 경제문제에 대해 사료와 논저 등을 통하여 연구하는 과목이다. 2023 1 1A2043 한국고대사 원전강독(Readings in Korean Ancient Texts) 전선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한국, 중국 일본의 사료들을 강독하여, 역사적 사항들을 파악함은 물론 사료 비판능력도 갖추도록 한다. 2023 2 1A2043 한국고대사 원전강독(Readings in Korean Ancient Texts) 전선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한국, 중국 일본의 사료들을 강독하여, 역사적 사항들을 파악함은 물론 사료 비판능력도 갖추도록 한다. 2023 1 1A2044 한국고대사상사연구(Studies in the Ancient Intellectual History) 전선 한국 고대의 사상을 신화, 제의를 통해 사료와 대비시켜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2 1A2044 한국고대사상사연구(Studies in the Ancient Intellectual History) 전선 한국 고대의 사상을 신화, 제의를 통해 사료와 대비시켜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1 1A2045 한국고대사의 쟁점(Arguing Points in Korean Ancient Studies) 전선 한국고대사에 있어 최근 논의되는 주요 쟁점들을 고고학적 자료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023 2 1A2045 한국고대사의 쟁점(Arguing Points in Korean Ancient Studies) 전선 한국고대사에 있어 최근 논의되는 주요 쟁점들을 고고학적 자료와 관련시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023 1 1A2046 한국고대사특강(Topics on Korean Ancient History) 전선 고조선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한국고대사에서 역사학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한다. 한국고대의 정치체제와 영역문제, 사회구성과 운영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2 1A2046 한국고대사특강(Topics on Korean Ancient History) 전선 고조선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한국고대사에서 역사학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특정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한다. 한국고대의 정치체제와 영역문제, 사회구성과 운영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1 1A2047 한국고대사회론(The Study o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전선 한국 고대의 사회성격에 대한 남북한의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집성하고 각 논점들을 비교 검토한다. 2023 2 1A2047 한국고대사회론(The Study on the Ancient Society of Korea) 전선 한국 고대의 사회성격에 대한 남북한의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집성하고 각 논점들을 비교 검토한다. 2023 1 1A2048 한국과학사특강(Topics on the Science-technological History) 전선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전개과정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2023 2 1A2048 한국과학사특강(Topics on the Science-technological History) 전선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과학과 기술의 발전과 전개과정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2023 1 1A2049 한국그리스도교연구(Research Seminar in Korea Christianity) 전선 한국근대사의 사회, 문화, 역사에 걸쳐 그리스도교가 미친 영향을 다각으로 검토한다. 2023 2 1A2049 한국그리스도교연구(Research Seminar in Korea Christianity) 전선 한국근대사의 사회, 문화, 역사에 걸쳐 그리스도교가 미친 영향을 다각으로 검토한다. 2023 1 1A2050 한국근대사특강(Topics on History of Modern Korea) 전선 개항 이후 해방까지 근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선정하여 그 내용과 성격을 분석, 검토한다. 2023 2 1A2050 한국근대사특강(Topics on History of Modern Korea) 전선 개항 이후 해방까지 근대사의 전개과정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선정하여 그 내용과 성격을 분석, 검토한다. 2023 1 1A2051 한국근대상공업사연구(Study on the Commercial-Manufactural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History) 전선 조선후기 국내 상업 및 국제무역・수공업・광업 분야의 발전상을 연구한다. 2023 2 1A2051 한국근대상공업사연구(Study on the Commercial-Manufactural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History) 전선 조선후기 국내 상업 및 국제무역・수공업・광업 분야의 발전상을 연구한다. 2023 1 1A2052 한국서예사특강(Topics on Calligraphy History in Korean) 전선 한국사에 있어서 서예는 글자로서만이 아니라 종합적 예술 혹은 학문의 정수로 이해되어왔다. 서예사를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종합적 검토를 한다. 2023 2 1A2052 한국서예사특강(Topics on Calligraphy History in Korean) 전선 한국사에 있어서 서예는 글자로서만이 아니라 종합적 예술 혹은 학문의 정수로 이해되어왔다. 서예사를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종합적 검토를 한다. 2023 1 1A2053 한국서지학연구(Studies on Korean Biblio- graphy) 전선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한국사의 자료가 되는 문적에 대해 서지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2023 2 1A2053 한국서지학연구(Studies on Korean Biblio- graphy) 전선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한국사의 자료가 되는 문적에 대해 서지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2023 1 1A2054 한국유학사 특강(Topics in Confucianism of Korean History ) 전선 한국 유학의 수용과 발전 과정을 각 시대별 사회적 역할과 기능 변화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2023 2 1A2054 한국유학사 특강(Topics in Confucianism of Korean History ) 전선 한국 유학의 수용과 발전 과정을 각 시대별 사회적 역할과 기능 변화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2023 1 1A2055 한국현대사연습(Seminar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에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강의는 현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한국현대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주목적이 있다. 2023 2 1A2055 한국현대사연습(Seminar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에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강의는 현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한국현대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주목적이 있다. 2023 1 1A2056 한국근대사상사연구(Study o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전선 조선시대에 등장한 유학과 비유학적(불교・도가・도교・감결・동학・서학 등)사상과 지성계의 동향을 연구한다. 2023 2 1A2056 한국근대사상사연구(Study o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Modern Korean) 전선 조선시대에 등장한 유학과 비유학적(불교・도가・도교・감결・동학・서학 등)사상과 지성계의 동향을 연구한다. 2023 1 1A3004 한국생활사특강(Studies on the Life History in Korean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일상생활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통해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3004 한국생활사특강(Studies on the Life History in Korean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일상생활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그 역사적 의미를 통해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3005 일본고고학특강1(Topic in the Archeology of Ancient Japan 1) 전선 선토기시대, 조몬시대, 야요이시대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일본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향상시킨다. 2023 2 1A3005 일본고고학특강1(Topic in the Archeology of Ancient Japan 1) 전선 선토기시대, 조몬시대, 야요이시대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일본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향상시킨다. 2023 1 1A3007 한국중세사회사특강(Topics in The Medieval Social History of Korea) 전선 중세사회의 가족과 친족, 계급과 신분, 촌락과 향촌사회, 사회이념과 저항 등의 내용과 성격 그리고 변동을 검토한다. 2023 2 1A3007 한국중세사회사특강(Topics in The Medieval Social History of Korea) 전선 중세사회의 가족과 친족, 계급과 신분, 촌락과 향촌사회, 사회이념과 저항 등의 내용과 성격 그리고 변동을 검토한다. 2023 1 1A3008 한국미술사연구(Topics on History of Korean fine arts) 전선 한국의 회화・조각 등 전통적인 제반 예술분야의 전개과정을 중국 등 타 지역 및 관련 분야사와 연관시켜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의 기반을 마련한다. 2023 2 1A3008 한국미술사연구(Topics on History of Korean fine arts) 전선 한국의 회화・조각 등 전통적인 제반 예술분야의 전개과정을 중국 등 타 지역 및 관련 분야사와 연관시켜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의 기반을 마련한다. 2023 1 1A3010 일본고고학특강2(topic in the Archeology of Ancient Japan 2) 전선 고분시대 및 아스카시대, 헤이안 시대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일본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향상시킨다. 2023 2 1A3010 일본고고학특강2(topic in the Archeology of Ancient Japan 2) 전선 고분시대 및 아스카시대, 헤이안 시대를 주된 대상으로 하여 일본 고고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향상시킨다. 2023 1 1A3011 중국고고학특강1(topic in archeology of Ancient China 1) 전선 구석기시대, 양사오 문화와 룽산 문화, 하・상・주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황하문명이 태동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조망한다. 2023 2 1A3011 중국고고학특강1(topic in archeology of Ancient China 1) 전선 구석기시대, 양사오 문화와 룽산 문화, 하・상・주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황하문명이 태동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조망한다. 2023 1 1A3012 한국미술사특강(Special Topics in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전선 한국의 회화・조각 등 전통적인 제반 예술분야의 전개과정을 중국 등 중요주제를 선택하여 여러 분야와 연관시켜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고 심도 있게 종합적 검토를 한다. 2023 2 1A3012 한국미술사특강(Special Topics in The Korean Intellectual History) 전선 한국의 회화・조각 등 전통적인 제반 예술분야의 전개과정을 중국 등 중요주제를 선택하여 여러 분야와 연관시켜 역사적으로 조명해 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고 심도 있게 종합적 검토를 한다. 2023 1 1A3013 한국중세사료특강(Special Topics in The materials for the Korean medieval History) 전선 한국사에서의 중세시기의 서적과 문서 등 여러 역사연구사료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체재를 검토하여 한국사 사료를 통해서 한국중세사를 연구하도록 한다. 2023 2 1A3013 한국중세사료특강(Special Topics in The materials for the Korean medieval History) 전선 한국사에서의 중세시기의 서적과 문서 등 여러 역사연구사료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체재를 검토하여 한국사 사료를 통해서 한국중세사를 연구하도록 한다. 2023 1 1A3014 한국사상사특강(Special Topics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여러 사상, 특히 불교와 유교 등의 수용과 전개과정 및 사회적 기능의 변화를 각 시기의 중요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방법과 연구자료 등을 검토해 본다. 2023 2 1A3014 한국사상사특강(Special Topics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여러 사상, 특히 불교와 유교 등의 수용과 전개과정 및 사회적 기능의 변화를 각 시기의 중요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방법과 연구자료 등을 검토해 본다. 2023 1 1A3015 일본고고학사(History of Japanese Archaeology) 전선 근대 이전의 양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 논점을 중심으로 일본고고학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2 1A3015 일본고고학사(History of Japanese Archaeology) 전선 근대 이전의 양상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요 논점을 중심으로 일본고고학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2023 1 1A3018 고고학개별강독(Individual Readings in Archeology) 전선 일본, 중국 및 서양 고고학의 원서들을 집중적으로 강독하여 해당지역의 고고학적 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꾀한다. 2023 2 1A3018 고고학개별강독(Individual Readings in Archeology) 전선 일본, 중국 및 서양 고고학의 원서들을 집중적으로 강독하여 해당지역의 고고학적 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외국어 능력의 향상을 꾀한다. 2023 1 1A3019 한국전통문화의비교연구(Comparison Studies in Korean Culture) 전선 중국, 일본과 한반도의 고대문화를 인류학, 민속학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당시 동아시아 문화의 지역별 상사성과 상이성 및 문화교류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2023 2 1A3019 한국전통문화의비교연구(Comparison Studies in Korean Culture) 전선 중국, 일본과 한반도의 고대문화를 인류학, 민속학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당시 동아시아 문화의 지역별 상사성과 상이성 및 문화교류양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2023 1 1A3020 한국건축문화특강(Topics on architecture culture in Korean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재까지의 건축문화와 제반요소를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에 있어서 건축의 의미와 역사상을 비교・검토한다. 2023 2 1A3020 한국건축문화특강(Topics on architecture culture in Korean history) 전선 고대에서 현재까지의 건축문화와 제반요소를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에 있어서 건축의 의미와 역사상을 비교・검토한다. 2023 1 1A3021 야외고고학(Field Archelogy) 전선 지표조사, 발굴조사 등 야외에서의 유적조사 경험을 축적하고, 조사보고서를 주도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2023 2 1A3021 야외고고학(Field Archelogy) 전선 지표조사, 발굴조사 등 야외에서의 유적조사 경험을 축적하고, 조사보고서를 주도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2023 1 1A3022 토기론(Pottery Analysis in Archaeology) 전선 선사・고대의 토기의 변천・지역성・기능・상징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2023 2 1A3022 토기론(Pottery Analysis in Archaeology) 전선 선사・고대의 토기의 변천・지역성・기능・상징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2023 1 1A3023 한국고문서연구(Seminar on paleography in Korea) 전선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여러 고문서들을 직접 검토하고 연구성과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2023 2 1A3023 한국고문서연구(Seminar on paleography in Korea) 전선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여러 고문서들을 직접 검토하고 연구성과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2023 1 1A3024 선사고고학연습(Seminar Prehitoric Archeology) 전선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취락과 묘지, 토기와 석기, 금속기 등에 대한 중요 연구 성과를 검토한다. 2023 2 1A3024 선사고고학연습(Seminar Prehitoric Archeology) 전선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 청동기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취락과 묘지, 토기와 석기, 금속기 등에 대한 중요 연구 성과를 검토한다. 2023 1 1A3027 한국사시대구분론(Seminar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의 전개과정을 시대적인 단락으로 구분하여 역사발전의 보편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과목이다. 각각의 시대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체적인 수준에서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한편 시대와 시대 사이의 역사적인 격차를 보편사적인 시야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2023 2 1A3027 한국사시대구분론(Seminar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의 전개과정을 시대적인 단락으로 구분하여 역사발전의 보편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과목이다. 각각의 시대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체적인 수준에서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한편 시대와 시대 사이의 역사적인 격차를 보편사적인 시야에서 인식하도록 한다. 2023 1 1A3029 한국고대사연습(Seminar in Korean ancient history) 전선 고조선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한국의 고대사에서 특정 시기나 주제를 선정하여 심도있게 학습한다. 각종 문헌사료와 현재까지 발굴된 금석문 자료 등을 통해 다양한 영역과 주제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2 1A3029 한국고대사연습(Seminar in Korean ancient history) 전선 고조선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한국의 고대사에서 특정 시기나 주제를 선정하여 심도있게 학습한다. 각종 문헌사료와 현재까지 발굴된 금석문 자료 등을 통해 다양한 영역과 주제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2023 1 1A3030 한국근대사학사연구(Study on Historiography of the modern Korean) 전선 조선시대에 제시된 역사관의 특성과 그 변천 및 역사서술 방법의 발전 등을 연구한다. 2023 2 1A3030 한국근대사학사연구(Study on Historiography of the modern Korean) 전선 조선시대에 제시된 역사관의 특성과 그 변천 및 역사서술 방법의 발전 등을 연구한다. 2023 1 1A3031 한국독립운동사연구(The Studies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전선 일제 강점기 민족해방을 위해 우리 민족이 전개한 독립 운동사를 국내외로 나누어 비교 검토한다. 2023 2 1A3031 한국독립운동사연구(The Studies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전선 일제 강점기 민족해방을 위해 우리 민족이 전개한 독립 운동사를 국내외로 나누어 비교 검토한다. 2023 1 1A3035 한국음악사 특강(Topics on History of Korean music arts) 전선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음악과 제례악을 통해 중요주제를 선택하여 여러 분야와 연관시킴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종합적 이해를 꾀한다. 2023 2 1A3035 한국음악사 특강(Topics on History of Korean music arts) 전선 고대에서 현대까지의 음악과 제례악을 통해 중요주제를 선택하여 여러 분야와 연관시킴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종합적 이해를 꾀한다. 2023 1 1A3036 한국근현대농업사 연구(Study o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전선 조선후기에서 현대까지의 농업기술과 농업경영 분야에서 제시된 특성을 연구한다. 2023 2 1A3036 한국근현대농업사 연구(Study on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전선 조선후기에서 현대까지의 농업기술과 농업경영 분야에서 제시된 특성을 연구한다. 2023 1 1A3037 한중관계사(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전선 전근대 사회에서 한반도와 동북 만주에서 성장한 여러 고대국가들과 중국 왕조와의 관계를 정리해본다. 2023 2 1A3037 한중관계사(The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전선 전근대 사회에서 한반도와 동북 만주에서 성장한 여러 고대국가들과 중국 왕조와의 관계를 정리해본다. 2023 1 1A3038 한국문화론 특강(Topics in Korean Culture)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전통문화의 전개과정을 개관하면서 각 시대문화와 관련된 중요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방법과 연구자료 등을 검토해 본다. 2023 2 1A3038 한국문화론 특강(Topics in Korean Culture)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전통문화의 전개과정을 개관하면서 각 시대문화와 관련된 중요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방법과 연구자료 등을 검토해 본다. 2023 1 1A3040 한국중세사회사(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전선 고려왕조 및 조선왕조의 사회구조를 동아시아 주변국가 및 서양과 비교 검토하여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한다. 2023 2 1A3040 한국중세사회사(The Medieval History of Korea) 전선 고려왕조 및 조선왕조의 사회구조를 동아시아 주변국가 및 서양과 비교 검토하여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한다. 2023 1 1A3041 토기론Ⅱ(Porttery analysis in ArchaeologyⅡ) 전선 중세의 토기의 변천・지역성・기능・상징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2023 2 1A3041 토기론Ⅱ(Porttery analysis in ArchaeologyⅡ) 전선 중세의 토기의 변천・지역성・기능・상징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