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55 2023 2022 2021 2020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3 1 1N0001 한국어학 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전필 한국어학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다루는 과목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2023 2 1N0001 한국어학 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전필 한국어학에 대한 전반적 지식을 다루는 과목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2023 1 1N0002 한국어사 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전선 한국어가 변화되어 온 과정을 통시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한다. 2023 2 1N0002 한국어사 연구(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전선 한국어가 변화되어 온 과정을 통시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한다. 2023 1 1N0003 한국어 음운론 연구(Studies in Korean Phonology) 전선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연구하여 외국인들에게 바람직한 발음 모델을 제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2023 2 1N0003 한국어 음운론 연구(Studies in Korean Phonology) 전선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연구하여 외국인들에게 바람직한 발음 모델을 제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2023 1 1N0004 한국어 의미론 연구(Studies in Korean Semantics) 전선 한국어의 어휘 및 문장에 나타나는 의미를 연구하고 담화 차원에서의 말의 쓰임도 연구한다. 2023 2 1N0004 한국어 의미론 연구(Studies in Korean Semantics) 전선 한국어의 어휘 및 문장에 나타나는 의미를 연구하고 담화 차원에서의 말의 쓰임도 연구한다. 2023 1 1N0005 대조언어학 연구(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전선 언어 간 대조 비교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한국어와 외국어를 분석한다. 한국어와 외국어의 대비를 통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여 언어권 별 학습자에게 각기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2 1N0005 대조언어학 연구(Studies in Contrastive Linguistics) 전선 언어 간 대조 비교 분석 방법을 검토하여 한국어와 외국어를 분석한다. 한국어와 외국어의 대비를 통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여 언어권 별 학습자에게 각기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1N0006 오류분석 연구(Studies in Error Analysi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전선 오류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오류 분석 과정을 고찰한다.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중간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오류’를 다양한 변인에 따라 분석한다. 2023 2 1N0006 오류분석 연구(Studies in Error Analysi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전선 오류분석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오류 분석 과정을 고찰한다.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중간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 ‘오류’를 다양한 변인에 따라 분석한다. 2023 1 1N0007 한국어 교육론 연구(Introduction to Teaching Korean)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 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들의 기초적인 내용을 연구한다. 주요 방법론들의 비교를 통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2 1N0007 한국어 교육론 연구(Introduction to Teaching Korean)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원리, 목표, 내용,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이론들의 기초적인 내용을 연구한다. 주요 방법론들의 비교를 통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1N0008 한국어 문법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Grammar) 전선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문법 선정의 기준, 문법 교육 방법론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이해한다. 특히 한국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법을 연구하여 이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연구한다. 2023 2 1N0008 한국어 문법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Grammar) 전선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문법 선정의 기준, 문법 교육 방법론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이해한다. 특히 한국어를 모어로 하지 않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법을 연구하여 이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연구한다. 2023 1 1N0009 한국어 어휘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전선 한국어 어휘의 유형, 특징을 이해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2 1N0009 한국어 어휘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전선 한국어 어휘의 유형, 특징을 이해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1N0010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Speak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 교수법 중 말하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구사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2023 2 1N0010 한국어 말하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Speak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 교수법 중 말하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구사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2023 1 1N0011 한국어 듣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sten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교수법 중 듣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청취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 2023 2 1N0011 한국어 듣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sten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교수법 중 듣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청취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 2023 1 1N0012 한국어 읽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Reading) 전선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들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2 1N0012 한국어 읽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Reading) 전선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일반 이론들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2023 1 1N0013 한국어 쓰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Writ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교수법 중 말하기 교육과 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표현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2023 2 1N0013 한국어 쓰기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Writing) 전선 외국어교육의 기능별교수법 중 말하기 교육과 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표현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관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2023 1 1N0014 한국어 평가론(Measurement & Evaluation in Teaching Korean)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적이며 효율적인 평가 방법을 모색한다. 2023 2 1N0014 한국어 평가론(Measurement & Evaluation in Teaching Korean)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적이며 효율적인 평가 방법을 모색한다. 2023 1 1N0015 한국문학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terature) 전선 한국 문학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 한국문학 교육이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2023 2 1N0015 한국문학 교육론(Studies in Teaching Korean Literature) 전선 한국 문학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 한국문학 교육이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한다. 2023 1 1N0016 한국어 교재 연구(Studies in Textbook for Teaching Korean) 전선 기존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용 교재를 분석하여 최적의 교재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2023 2 1N0016 한국어 교재 연구(Studies in Textbook for Teaching Korean) 전선 기존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용 교재를 분석하여 최적의 교재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2023 1 1N0017 한국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Culture) 전선 한국 문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그 배경과 해석 방식을 탐구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3 2 1N0017 한국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Culture) 전선 한국 문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그 배경과 해석 방식을 탐구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3 1 1N0018 한국문학사(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전선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문학의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과목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주요 배경 지식이 된다. 2023 2 1N0018 한국문학사(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전선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문학의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과목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주요 배경 지식이 된다. 2023 1 1N0019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Modern Literature) 전선 한국 현대 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2023 2 1N0019 한국 현대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Modern Literature) 전선 한국 현대 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2023 1 1N0020 한국 소설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Novel) 전선 현대 한국 소설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상 감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3 2 1N0020 한국 소설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Novel) 전선 현대 한국 소설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상 감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3 1 1N0021 한국 시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Poetry) 전선 현대 한국 시를 탐구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상 감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3 2 1N0021 한국 시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Poetry) 전선 현대 한국 시를 탐구함으로써 한국인의 사상 감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23 1 1N0022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Class Observation &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전선 여러 한국어교육 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여 국내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경험하고, 나아가 실제로 수업을 경험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한다. 2023 2 1N0022 한국어교육 참관 및 실습(Class Observation & Practice in Korean Language Class) 전선 여러 한국어교육 기관에서의 수업을 참관하여 국내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경험하고, 나아가 실제로 수업을 경험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