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236 2025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715001 한국사 개론(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전필 한국사를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 개론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다양하게 접근하고 인식하고자 함. 2025 2 715001 한국사 개론(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전필 한국사를 고대, 중세, 근세, 근대, 현대로 구분하여 각 시대별 개론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다양하게 접근하고 인식하고자 함. 2025 1 715002 고고학의 이해와 실제(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chaeology) 전필 고고학의 기초적인 개념과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발굴 사례를 통한 유적 유물을 이해 함으로써 박물관의 유물과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우고자 함. 2025 2 715002 고고학의 이해와 실제(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Archaeology) 전필 고고학의 기초적인 개념과 연구 성과를 학습하고 발굴 사례를 통한 유적 유물을 이해 함으로써 박물관의 유물과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우고자 함. 2025 1 715003 박물관으로 보는 한국현대사(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Museums) 전필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학문적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종합박물관 및 현대사 관련 테마박물관 전시 유물과 사료, 기록으로 한국현대사를 접근하며 다양한 논의와 토론이 가능함. 2025 2 715003 박물관으로 보는 한국현대사(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Museums) 전필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학문적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종합박물관 및 현대사 관련 테마박물관 전시 유물과 사료, 기록으로 한국현대사를 접근하며 다양한 논의와 토론이 가능함. 2025 1 715004 기록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Archival Science) 전필 기록의 평가와 수집, 정리와 기술, 보존과 활용 등의 기록관리에 대한 실무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이를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탐구함. 2025 2 715004 기록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Archival Science) 전필 기록의 평가와 수집, 정리와 기술, 보존과 활용 등의 기록관리에 대한 실무를 중심으로 연구하며, 이를 학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탐구함. 2025 1 715005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s in Korea) 전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유산에 대해 유네스코의 지정 이유와 분야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국내 소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이해함. 2025 2 715005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s in Korea) 전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유산에 대해 유네스코의 지정 이유와 분야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국내 소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이해함. 2025 1 715006 체험학습을 통한 문화유산교육(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전선 초중등교육에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 방법론을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문화유산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익힘으로써 문화유산의 이해, 문화유산 활용, 보존 및 실천교육 방법과 사례를 탐구함. 2025 2 715006 체험학습을 통한 문화유산교육(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전선 초중등교육에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체험학습 방법론을 바탕으로 이를 활용한 문화유산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익힘으로써 문화유산의 이해, 문화유산 활용, 보존 및 실천교육 방법과 사례를 탐구함. 2025 1 715007 문화유산으로 보는 한국사(Korean History as Cultural Heritage) 전선 문화사와 생활사의 관점으로 유적, 유물을 통해 한국사를 새롭게 접근하며, 그 시대의 관점에서 문화유산을 향유했던 인물의 입장으로 한국사를 해석함. 2025 2 715007 문화유산으로 보는 한국사(Korean History as Cultural Heritage) 전선 문화사와 생활사의 관점으로 유적, 유물을 통해 한국사를 새롭게 접근하며, 그 시대의 관점에서 문화유산을 향유했던 인물의 입장으로 한국사를 해석함. 2025 1 715008 유네스코 세계유산 탐방(UNESCO World Heritage Tour) 전선 여러 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탐방함으로써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체험하고자 함. 우리나라와 관계가 깊은 중국, 일본을 시작으로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등의 세계유산을 답사하고자 함. 2025 2 715008 유네스코 세계유산 탐방(UNESCO World Heritage Tour) 전선 여러 나라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탐방함으로써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체험하고자 함. 우리나라와 관계가 깊은 중국, 일본을 시작으로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등의 세계유산을 답사하고자 함. 2025 1 715009 박물관교육 방법론(Museum Education Methodology) 전선 박물관의 기본적인 기능인 유물의 수집ㆍ관리ㆍ보존ㆍ조사ㆍ연구ㆍ전시 기능을 이해하고 관람객에 따른 박물관교육 방법론 연구함. 2025 2 715009 박물관교육 방법론(Museum Education Methodology) 전선 박물관의 기본적인 기능인 유물의 수집ㆍ관리ㆍ보존ㆍ조사ㆍ연구ㆍ전시 기능을 이해하고 관람객에 따른 박물관교육 방법론 연구함. 2025 1 715010 학교 연계 박물관교육 실행연구(Study on the Practice of School-Related Museum Education) 전선 박물관교육에서 생애주기별교육에서 보다 깊이있게 공교육 대상인 학생을 위한 학교 연계 박물관교육을 실제 연구 실행함으로써 현장교사들이 박물관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기획, 답사, 운영 전반을 실습함. 2025 2 715010 학교 연계 박물관교육 실행연구(Study on the Practice of School-Related Museum Education) 전선 박물관교육에서 생애주기별교육에서 보다 깊이있게 공교육 대상인 학생을 위한 학교 연계 박물관교육을 실제 연구 실행함으로써 현장교사들이 박물관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기획, 답사, 운영 전반을 실습함. 2025 1 715011 디지털자료 활용 교육 실제(Practical Training for Using Digital Materials) 전선 기록의 나라 조선을 표방한 대한민국의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아카이빙 자료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료 및 실물 기반 교수 학습 역량을 강화함. 2025 2 715011 디지털자료 활용 교육 실제(Practical Training for Using Digital Materials) 전선 기록의 나라 조선을 표방한 대한민국의 역량을 기반으로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아카이빙 자료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료 및 실물 기반 교수 학습 역량을 강화함. 2025 1 715012 박물관·문화유산 답사(Exploration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전선 박물관 1,000관 시대 다양한 박물관을 탐방하고 문화유산 유적지 등을 탐방함으로써 현장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역량을 강화함. 2025 2 715012 박물관·문화유산 답사(Exploration of Museums and Cultural Heritage) 전선 박물관 1,000관 시대 다양한 박물관을 탐방하고 문화유산 유적지 등을 탐방함으로써 현장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교수 학습 역량을 강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