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209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25 1 707005 동양사특강 Ⅱ(Topics in Asian History Ⅱ) 전선 중국사에서 전근대사회가 붕괴되고, 이어서 근대 세계에서 독립된 국민국가로 자리잡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던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시기를 중심적으로 검토한다. 2025 2 707005 동양사특강 Ⅱ(Topics in Asian History Ⅱ) 전선 중국사에서 전근대사회가 붕괴되고, 이어서 근대 세계에서 독립된 국민국가로 자리잡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던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시기를 중심적으로 검토한다. 2025 1 707006 한국역사교육의제문제(Problems of History Teaching in Korea) 전선 중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 한국사 교육을 위한 사료학습 연구, 한국현대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지역사 연구와 학습 사례 등 한국사 교육의 여러 측면을 고찰하여 기초적인 교육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2025 2 707006 한국역사교육의제문제(Problems of History Teaching in Korea) 전선 중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 한국사 교육을 위한 사료학습 연구, 한국현대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지역사 연구와 학습 사례 등 한국사 교육의 여러 측면을 고찰하여 기초적인 교육방법을 터득하게 한다. 2025 1 707007 서양사특강 Ⅰ(Topic in European HistoryⅠ) 전선 현재의 서양문명 이전의 내력을 시대별로 학습하고, 오늘날 서양문명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서양고대문명을 이루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공화정 정치전통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흐름,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와 기독교 발전에 대한 인식을 통해 서양 문화의 심층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2025 2 707007 서양사특강 Ⅰ(Topic in European HistoryⅠ) 전선 현재의 서양문명 이전의 내력을 시대별로 학습하고, 오늘날 서양문명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한다. 서양고대문명을 이루는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의 공화정 정치전통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흐름, 중세 유럽의 봉건제도와 기독교 발전에 대한 인식을 통해 서양 문화의 심층적인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2025 1 707012 한국미술사특강(Topics in Art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 예술사 가운데 특히 조선시대 회화를 집중적, 다각도로 살펴본다. 옛 그림 속의 표정, 사실성, 필선, 원근법, 여백, 구도, 상징, 사상 등 다양한 측면을 작품 감상 ․ 이해하고, 그 시대와 연관지어 회화에 나타난 시대상을 고찰한다. 2025 2 707012 한국미술사특강(Topics in Art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 예술사 가운데 특히 조선시대 회화를 집중적, 다각도로 살펴본다. 옛 그림 속의 표정, 사실성, 필선, 원근법, 여백, 구도, 상징, 사상 등 다양한 측면을 작품 감상 ․ 이해하고, 그 시대와 연관지어 회화에 나타난 시대상을 고찰한다. 2025 1 707013 역사학개론(Introduction of History) 전선 역사학의 일반적인 주제를 소개하여 이후 심화된 전공수업을 이수하고,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사관과 역사인식의 문제, 시대구분의 문제, 사학사 등을 다룬다. 2025 2 707013 역사학개론(Introduction of History) 전선 역사학의 일반적인 주제를 소개하여 이후 심화된 전공수업을 이수하고,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사관과 역사인식의 문제, 시대구분의 문제, 사학사 등을 다룬다. 2025 1 707018 역사교육특강(Topics in History Teaching) 전선 역사와 교육의 다리, 역사의 효용성, 역사의 이론, 사관의 문제, 역사교육의 금석, 사회과학과 역사, 역사의 종류 등 역사학과 교육학이 만나는 두 측면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2025 2 707018 역사교육특강(Topics in History Teaching) 전선 역사와 교육의 다리, 역사의 효용성, 역사의 이론, 사관의 문제, 역사교육의 금석, 사회과학과 역사, 역사의 종류 등 역사학과 교육학이 만나는 두 측면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2025 1 707020 역사교육이론과방법(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History Teaching) 전선 역사교육의 기초, 한국 및 세계의 역사교육의 실태, 역사교육의 목적과 심리적 기초, 역사교과의 내용선정, 역사학습 교재 등 역사교육 전반에 대한 지식을 갖추게 한다. 2025 2 707020 역사교육이론과방법(Theories and Methodologies of History Teaching) 전선 역사교육의 기초, 한국 및 세계의 역사교육의 실태, 역사교육의 목적과 심리적 기초, 역사교과의 내용선정, 역사학습 교재 등 역사교육 전반에 대한 지식을 갖추게 한다. 2025 1 707021 서양사특강 Ⅱ(Topic in European HistoryⅡ) 전선 서유럽의 중세 말에서 근대 초(14-17세기)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이행시기를 르네상스, 종교개혁과 종교전쟁, 자본주의라는 3가지 관점을 가지고 유럽 근대사회의 토대들과 그 의미를 이해한다. 그리고 서양 근대세계를 낳은 2대 사건인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의 역사를 조명하여, 오늘날 서양 근대에 들어와 주도적인 국가들로 부각된 배경을 살펴본다. 2025 2 707021 서양사특강 Ⅱ(Topic in European HistoryⅡ) 전선 서유럽의 중세 말에서 근대 초(14-17세기)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이행시기를 르네상스, 종교개혁과 종교전쟁, 자본주의라는 3가지 관점을 가지고 유럽 근대사회의 토대들과 그 의미를 이해한다. 그리고 서양 근대세계를 낳은 2대 사건인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의 역사를 조명하여, 오늘날 서양 근대에 들어와 주도적인 국가들로 부각된 배경을 살펴본다. 2025 1 707023 한국고고학특강(Topics in Archeology of Korea) 전선 일제시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논점들을 단계별로 검토하고 우리나라 고고학의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2025 2 707023 한국고고학특강(Topics in Archeology of Korea) 전선 일제시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논점들을 단계별로 검토하고 우리나라 고고학의 발전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2025 1 707024 동양사특강 Ⅰ(Topics in Asian History Ⅰ) 전선 한일 관계의 현 상황과 이해의 증진으로 바람직한 양국 관계를 향한 새로운 역사적 안목 형성의 시도를 목표로 하여, 숙명적인 한일 양국 간의 관계사의 흐름과 배경을 고찰한다. 2025 2 707024 동양사특강 Ⅰ(Topics in Asian History Ⅰ) 전선 한일 관계의 현 상황과 이해의 증진으로 바람직한 양국 관계를 향한 새로운 역사적 안목 형성의 시도를 목표로 하여, 숙명적인 한일 양국 간의 관계사의 흐름과 배경을 고찰한다. 2025 1 707025 경기지역의역사와문화(Seminar on History and Culture of Gyeonggi Province) 전선 먼저 경기지역의 시대별 역사를 개관하고,각시대별 대표적 유적과 유물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경기지역 역사문화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5 2 707025 경기지역의역사와문화(Seminar on History and Culture of Gyeonggi Province) 전선 먼저 경기지역의 시대별 역사를 개관하고,각시대별 대표적 유적과 유물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경기지역 역사문화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2025 1 707027 동양문화사의교육방법(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Asia) 전선 근대 이전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중국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 ․ 고찰하여, 동아시아가 세계에서 차지한 위상과 역할을 살펴본다. 2025 2 707027 동양문화사의교육방법(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Asia) 전선 근대 이전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중국의 문화와 사회를 연구 ․ 고찰하여, 동아시아가 세계에서 차지한 위상과 역할을 살펴본다. 2025 1 707028 한국사회경제사의교육(Studies i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전선 조선중세사회의 경제적 사회 구성체의 구조, 변동, 성격을 검토한다. 근대 경제론의 관점을 지양하고,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개념을 생산력과 생산관계 외에 정치, 사상과 문화 등을 포괄하여 폭넓게 설정하여 유럽 중세사회의 경제구조와 비교 검토한다. 2025 2 707028 한국사회경제사의교육(Studies i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전선 조선중세사회의 경제적 사회 구성체의 구조, 변동, 성격을 검토한다. 근대 경제론의 관점을 지양하고, 경제적 사회구성체의 개념을 생산력과 생산관계 외에 정치, 사상과 문화 등을 포괄하여 폭넓게 설정하여 유럽 중세사회의 경제구조와 비교 검토한다. 2025 1 707029 한국중세사교육론 Ⅰ(Teaching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Ⅰ) 전선 고려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고대 및 조선, 동아시아 및 서양의 여러 나라와 비교 검토하여 고려사회의 성격을 이해한다. 2025 2 707029 한국중세사교육론 Ⅰ(Teaching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Ⅰ) 전선 고려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고대 및 조선, 동아시아 및 서양의 여러 나라와 비교 검토하여 고려사회의 성격을 이해한다. 2025 1 707030 한국고대사교육론(Teaching in Ancient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인의 형성과정과 고대국가의 기원을 중심으로 몇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사의 정리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조망함으로써 최근의 학계 동향을 상세히 학습하도록 한다. 민족단혈성론, 고조선의 위치와 사회성격, 삼한과 삼국의 관계, 고대 한일관계사 등이 중요주제이다. 2025 2 707030 한국고대사교육론(Teaching in Ancient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인의 형성과정과 고대국가의 기원을 중심으로 몇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사의 정리와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조망함으로써 최근의 학계 동향을 상세히 학습하도록 한다. 민족단혈성론, 고조선의 위치와 사회성격, 삼한과 삼국의 관계, 고대 한일관계사 등이 중요주제이다. 2025 1 707031 한국근대사교육방법(Methodologi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전선 개항기에서 일제시기까지를 대상으로, 조선중세사회의 근대화론, 근대화정책, 근대화과정 등과 일제시기에 그것들이 어떻게 변질되어 일제의 식민구조로 편제되는지를 검토한다. 2025 2 707031 한국근대사교육방법(Methodologi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전선 개항기에서 일제시기까지를 대상으로, 조선중세사회의 근대화론, 근대화정책, 근대화과정 등과 일제시기에 그것들이 어떻게 변질되어 일제의 식민구조로 편제되는지를 검토한다. 2025 1 707032 역사지리학특강(Topics in Historical Geography) 전선 전근대사회에서 지리서가 편찬된 배경과 목적, 내용의 변화과정 및 현재적 의미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읍지 등을 주 대상으로 삼는다. 2025 2 707032 역사지리학특강(Topics in Historical Geography) 전선 전근대사회에서 지리서가 편찬된 배경과 목적, 내용의 변화과정 및 현재적 의미 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읍지 등을 주 대상으로 삼는다. 2025 1 707033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Ⅰ(Methodologies in Cultural Inheritance of Korea Ⅰ) 전선 선사~고대의 중요 유적들에 대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해하고, 실제로 유적들에 대한 답사를 실시하면서 현장에서 유적교육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2025 2 707033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Ⅰ(Methodologies in Cultural Inheritance of Korea Ⅰ) 전선 선사~고대의 중요 유적들에 대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해하고, 실제로 유적들에 대한 답사를 실시하면서 현장에서 유적교육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한다. 2025 1 707034 한국현대사교육론(Teaching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에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강의는 현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한국현대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주목적이 있다. 2025 2 707034 한국현대사교육론(Teaching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전선 한국사에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도외시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 강의는 현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한국현대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주목적이 있다. 2025 1 707035 한국사상사의교육(Teaching in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여러 사상, 특히 불교와 유교 등의 수용과 전개과정 및 사회적 기능의 변화를 각 시기에 정치 ․ 경제 ․ 사회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한다. 2025 2 707035 한국사상사의교육(Teaching in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전선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의 여러 사상, 특히 불교와 유교 등의 수용과 전개과정 및 사회적 기능의 변화를 각 시기에 정치 ․ 경제 ․ 사회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한다. 2025 1 707036 동아시아관계사의교육(Teaching in East-Asian Relationship of History) 전선 고대~현대에 걸친 한중일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과 사안들을 사항별로 살피고, 그 가운데 보여졌던 국가 상호간의 정치사적 및 문화사적 접변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룬다. 2025 2 707036 동아시아관계사의교육(Teaching in East-Asian Relationship of History) 전선 고대~현대에 걸친 한중일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과 사안들을 사항별로 살피고, 그 가운데 보여졌던 국가 상호간의 정치사적 및 문화사적 접변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룬다. 2025 1 707037 한국중세사교육론 Ⅱ(Teaching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Ⅱ) 전선 중세사회로서의 조선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세계 여러 나라의 중세사회와 비교하여 검토한다. 특히 사회구조의 구조의 변동성(Mobility)과 고정성(Stability)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의 중세사회와 비교 검토한다. 2025 2 707037 한국중세사교육론 Ⅱ(Teaching in the Medieval History of KoreaⅡ) 전선 중세사회로서의 조선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세계 여러 나라의 중세사회와 비교하여 검토한다. 특히 사회구조의 구조의 변동성(Mobility)과 고정성(Stability)에 초점을 맞추어 유럽의 중세사회와 비교 검토한다. 2025 1 707040 서양문화의교육방법(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Europe) 전선 유럽의 역사 속에서 문화, 정치, 사회를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근대 이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025 2 707040 서양문화의교육방법(Studies in Cultural History of Europe) 전선 유럽의 역사 속에서 문화, 정치, 사회를 전반적으로 살펴본 후, 근대 이후 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025 1 707041 한국문화의이해(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전선 한국문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한국문화의 특징을 외국문화와 비교하여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5 2 707041 한국문화의이해(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전선 한국문화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개관하고 한국문화의 특징을 외국문화와 비교하여 이해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5 1 707042 서양현대사(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West) 전선 2차세계대전후의 서양세계 전개양상을 유럽과 미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냉전시대의 상황과 그 종식과정 및 최근의 서양이 안고 있는 역사적 과제들에 대해 알아본다. 2025 2 707042 서양현대사(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West) 전선 2차세계대전후의 서양세계 전개양상을 유럽과 미국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냉전시대의 상황과 그 종식과정 및 최근의 서양이 안고 있는 역사적 과제들에 대해 알아본다. 2025 1 707043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Ⅱ(Methodologies in Cultural Inheritance of Korea Ⅱ) 전선 중세~근세의 유적에 대해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Ⅰ과 같은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2025 2 707043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Ⅱ(Methodologies in Cultural Inheritance of Korea Ⅱ) 전선 중세~근세의 유적에 대해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Ⅰ과 같은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2025 1 707044 서양사개론(Introduction to Western History) 전선 서양문명의 탄생, 고대제국의 형성과 확산에 따른 유럽의 문명화에 대해 다루고, 기독교적 중세사회의 특성과 한계, 근대사회로의 이행과 제국간의 갈등에 따른 세계전쟁 및 이데올로기적 대립에 의해 야기된 현대사회의 문제를 살핀다. 2025 2 707044 서양사개론(Introduction to Western History) 전선 서양문명의 탄생, 고대제국의 형성과 확산에 따른 유럽의 문명화에 대해 다루고, 기독교적 중세사회의 특성과 한계, 근대사회로의 이행과 제국간의 갈등에 따른 세계전쟁 및 이데올로기적 대립에 의해 야기된 현대사회의 문제를 살핀다. 2025 1 707045 동양현대사(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전선 근대 이후의 중국과 일본의 역사 전개양상을 개관하고, 동시에 이에 관련된 서방세력의 진출과 그 영향 등에 대하여 살핀 후 동북아시아의 향후의 역사방향에 대하여 가늠해 본다. 2025 2 707045 동양현대사(Studi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전선 근대 이후의 중국과 일본의 역사 전개양상을 개관하고, 동시에 이에 관련된 서방세력의 진출과 그 영향 등에 대하여 살핀 후 동북아시아의 향후의 역사방향에 대하여 가늠해 본다. 2025 1 707046 서양근대사(Modern History of West) 전선 근대 산업화의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근대제국주의 성립, 식민지의 확대과정, 제국주의 국가간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 세계대전의 발발과 전개 등에 대해 상세히 고찰해본다. 2025 2 707046 서양근대사(Modern History of West) 전선 근대 산업화의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근대제국주의 성립, 식민지의 확대과정, 제국주의 국가간의 갈등과 대립의 원인, 세계대전의 발발과 전개 등에 대해 상세히 고찰해본다. 2025 1 707047 동양사개론(Introduction to East Asian History) 전선 양강에서 성립한 중국 문명에 대한 최신 연구성과, 진한제국의 형성과 붕괴 및 중세로의 이행 등을 다루고, 근대 및 현대의 중국 역사 및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2025 2 707047 동양사개론(Introduction to East Asian History) 전선 양강에서 성립한 중국 문명에 대한 최신 연구성과, 진한제국의 형성과 붕괴 및 중세로의 이행 등을 다루고, 근대 및 현대의 중국 역사 및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2025 1 707048 한국사개론(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전선 한국의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역사적 중요 사항들에 대한 통시적 개관과 시대구분론 등에 대해 살피고, 각 시대의 공통된 주제들에 대해 다루면서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는다. 2025 2 707048 한국사개론(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전선 한국의 고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역사적 중요 사항들에 대한 통시적 개관과 시대구분론 등에 대해 살피고, 각 시대의 공통된 주제들에 대해 다루면서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는다. 2025 1 707050 동양고대사(Studies in the Ancient History of East Asia) 전선 중국의 문명형성과정과 주대의 역사과정과 진한고대제국의 성립과 동아시아사적 의미등을 살펴보고, 그러한 중국의 고대문화가 주변지역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고찰한다. 2025 2 707050 동양고대사(Studies in the Ancient History of East Asia) 전선 중국의 문명형성과정과 주대의 역사과정과 진한고대제국의 성립과 동아시아사적 의미등을 살펴보고, 그러한 중국의 고대문화가 주변지역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고찰한다. 2025 1 707051 동양근대사(Modern History of Asia) 전선 중국 중세사회의 붕괴와 서양제국주의 세력들의 중국진출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국 지도자들과 국민들의 노력 등에 대해 살펴보고, 항일투쟁의 전개양상과 사회주의국가화 과정 등에 대해 살펴본다. 2025 2 707051 동양근대사(Modern History of Asia) 전선 중국 중세사회의 붕괴와 서양제국주의 세력들의 중국진출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국 지도자들과 국민들의 노력 등에 대해 살펴보고, 항일투쟁의 전개양상과 사회주의국가화 과정 등에 대해 살펴본다. 2025 1 707052 서양중세사(Studies in the Medieval History of West) 전선 고대사회의 해체 및 붕괴과정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중세기독교사회에 이어 르네상스 역사가 전개되는 과정을 파악한 후, 당시의 다양한 역사문화적 특성 등을 고찰한다. 2025 2 707052 서양중세사(Studies in the Medieval History of West) 전선 고대사회의 해체 및 붕괴과정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중세기독교사회에 이어 르네상스 역사가 전개되는 과정을 파악한 후, 당시의 다양한 역사문화적 특성 등을 고찰한다. 2025 1 707053 동양중세사(Studies in the Medieval History of Asia) 전선 중국 고대체제의 붕괴와 혼란의 과정을 거쳐 어떠한 방식으로 중세사회로 전환하였고, 그러한 역사변동 과정에서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 사상적 변화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후 한반도와의 역사적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2025 2 707053 동양중세사(Studies in the Medieval History of Asia) 전선 중국 고대체제의 붕괴와 혼란의 과정을 거쳐 어떠한 방식으로 중세사회로 전환하였고, 그러한 역사변동 과정에서의 정치적, 사회경제적 및 사상적 변화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후 한반도와의 역사적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2025 1 707055 역사교육의실제(Practice in History Teaching) 전선 국내의 초, 중, 고에서 시행되고 있는 역사교육의 현황과 제문제를 철저히 파악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면서 향후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강의라는 점에서 여타의 과목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강의는 다년간에 걸쳐 이 분야의 교육경험을 쌓은 역사 담당 교사가 주도하며, 수강하는 교사들과의 발제와 토론 등의 방식으로 진행한다. 2025 2 707055 역사교육의실제(Practice in History Teaching) 전선 국내의 초, 중, 고에서 시행되고 있는 역사교육의 현황과 제문제를 철저히 파악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면서 향후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는 강의라는 점에서 여타의 과목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강의는 다년간에 걸쳐 이 분야의 교육경험을 쌓은 역사 담당 교사가 주도하며, 수강하는 교사들과의 발제와 토론 등의 방식으로 진행한다. 2025 1 707057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and Methods in Teaching of History) 전선 역사교육과 관련된 현행의 역사교과서와 참고자료는 물론 사이버상의 다양한 자료와 교육 매체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역사문화교육의 제반 콘텐츠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전달하는 지도방법에 대하여 탐구한다. 2025 2 707057 역사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Materials and Methods in Teaching of History) 전선 역사교육과 관련된 현행의 역사교과서와 참고자료는 물론 사이버상의 다양한 자료와 교육 매체에 대해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역사문화교육의 제반 콘텐츠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전달하는 지도방법에 대하여 탐구한다. 2025 1 707058 역사교과교육론(Theory of History Education) 전선 역사적 자료에 나타난 내용의 의미를 밝히고, 역사적 사실들의 맥락 및 인과관계를 종합하여 이해하도록 하는 역사적 해석능력을 키우고, 이를 교육적 차원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탐구한다. 2025 2 707058 역사교과교육론(Theory of History Education) 전선 역사적 자료에 나타난 내용의 의미를 밝히고, 역사적 사실들의 맥락 및 인과관계를 종합하여 이해하도록 하는 역사적 해석능력을 키우고, 이를 교육적 차원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탐구한다. 2025 1 707059 일본역사교육의 방법(Teaching in Japan History) 전선 선사~현대에 이르는 일본의 역사교과서의 서술체계와 중요 내용 등을 다루고, 현행 학교 역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일반 시민들에 대한 역사교육의 현황을 살핀다. 2025 2 707059 일본역사교육의 방법(Teaching in Japan History) 전선 선사~현대에 이르는 일본의 역사교과서의 서술체계와 중요 내용 등을 다루고, 현행 학교 역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일반 시민들에 대한 역사교육의 현황을 살핀다. 2025 1 707060 역사문화 체험학습(Field Study of Historical Culture) 전선 역사문화 체험학습의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교사들 스스로 창의적으로 역사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교보재를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2025 2 707060 역사문화 체험학습(Field Study of Historical Culture) 전선 역사문화 체험학습의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교사들 스스로 창의적으로 역사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교보재를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2025 1 707061 서양고대사(Studies in the Ancient History of West) 전선 서남아시아-그리스-로마로 이어지는 고대문명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계기적으로 알아본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 초기 그리스도교 사회로 전환되어 갔는지를 살피고, 문명지역과 그 주변지역과의 역사문화 접변현상에 대해서도 파악한다. 2025 2 707061 서양고대사(Studies in the Ancient History of West) 전선 서남아시아-그리스-로마로 이어지는 고대문명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계기적으로 알아본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 초기 그리스도교 사회로 전환되어 갔는지를 살피고, 문명지역과 그 주변지역과의 역사문화 접변현상에 대해서도 파악한다. 2025 1 707062 지역사교육론 Ⅰ(Teaching in Local History Ⅰ) 전선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을 기초로 경기 남부지역(오산, 화성, 수원, 용인, 안성, 평택 등) 선사~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 강의와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서 교육적 효과의 향상을 도모한다. 2025 2 707062 지역사교육론 Ⅰ(Teaching in Local History Ⅰ) 전선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을 기초로 경기 남부지역(오산, 화성, 수원, 용인, 안성, 평택 등) 선사~고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한국문화유산의 교육방법 강의와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서 교육적 효과의 향상을 도모한다. 2025 1 707063 지역사교육론 Ⅱ(Teaching in Local History Ⅱ) 전선 중세~근세의 역사를 대상으로 지역사교육론 Ⅰ과 같은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2025 2 707063 지역사교육론 Ⅱ(Teaching in Local History Ⅱ) 전선 중세~근세의 역사를 대상으로 지역사교육론 Ⅰ과 같은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