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hsSub,fnctNo=115 2019 2017 2016 2015 2013 2012 2011 교과목 보기 교과목 리스트 년도 학기 학수번호 교과목명(영문) 이수구분 교과목 개요 2019 1 HC009 기초중국어회화Ⅰ(Elementary Chinese ConversationⅠ) 전공선택 모방과 연습을 통하여 일상 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기본적인 회화능력을 배양한다. 2019 1 HC125 기초중국어Ⅰ(Primary Course of Chinese Language Ⅰ) 전공선택 중국어 학습의 다섯 가지 요소(발음, 단어, 문법, 한자, 문화)에 대해 기본적인 학습을 진행한다. 2019 1 HC127 현장실습Ⅰ(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Ⅰ)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1 HC128 현장실습Ⅱ(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Ⅱ)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1 HC129 현장실습Ⅲ(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Ⅲ)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1 HC130 현장실습Ⅳ(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Ⅵ))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1 HC216 HSK4급Ⅰ(HSK Level 4Ⅰ) 전공선택 新HSK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계된 국제 중국어능력 표준화시험(standardized tests, 標準化考試)이다. 新HSK 4급 레벨에 맞는 듣기(聽), 말하기(說), 읽기(讀), 쓰기(寫) 네 가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2019 1 HC217 중급중국어회화Ⅰ(Advanced Chinese ConversationⅠ) 전공선택 모방과 연습을 통하여 일반 교제에서 많이 쓰이는 회화능력을 배양한다. 2019 1 HC218 콘텐츠영어실습Ⅰ(Practicing Contents EnglishⅠ) 전공필수 영어로 된 영화, 게임, 광고 등을 보거나 경험하고 이들과 관련한 영어 텍스트를 읽고 영어로 토론과 작문을 함으로써, 문화콘텐츠와 직접 관련한 영어의 회화와 작문을 탄탄하게 익힌다. 2019 1 HC222 중국무협콘텐츠(Chinese Gallantry Contents) 전공선택 중국의 대표적인 무협 콘텐츠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을 실시한다. 무협소설, 무협영화 등의 세부 콘텐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분야의 콘텐츠 기획 방향에 대해 탐구한다. 2019 1 HC224 고사성어(Storytelling about Chinese Historical Event) 전공선택 고사성어는 단순한 역사의 한 이야기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전승되면서 삶 속에서 끊임없이 인용되던 중요한 동양의 재산이다.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초적인 스토리창작을 시도한다. 2019 1 HC229 중국어청취Ⅲ(Chinese Listening Cours Ⅲ) 전공선택 일상생활의 간단한 대화나 학습과 관련이 있는 강의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고, 의사소통 중에 흔히 쓰는 말이나 요구 사항을 알아들을 수 있으며, 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사항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19 1 HC292 중국현황Ⅰ(A survey of China I)) 전공선택 현대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2019 1 HC294 고급중국어회화Ⅰ(Advanced Chinese ConversationⅠ) 전공선택 직장 생활이나 사교 장면에서 의사를 소통할 수 있고, 일반적인 화제를 가지고 대화를 나누거나 본인의 생각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개인적인 관점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말한 내용이 일정한 연관성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19 1 HC295 영상중국어Ⅰ(audiovisual chinese classⅠ) 전공선택 다양한 영상텍스트를 교재로 활용하여 상황별 중국인의 언어 습관 및 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수준 높은 중국어 청취력을 제고시킨다. 또한 시청각적 접근을 통해 중국 사회 발전 동향을 이해하고 중국 문화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2019 1 HC296 HSK실습Ⅰ(HSK Test and Estimate Ⅰ) 전공선택 중국어 능력 검정 시험이 세계 각 국에서 실행되고 있는데, 이 시험은 단순히 언어능력만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지식과 중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다. 세계 각 국의 측정문제들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려 봄으로써 훗날 중국어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19 1 HC307 중국문학사(Introduction to Chinese Literature) 전공선택 방대한 중국 문학의 시대 조류, 장르, 사회적 배경, 특징을 알기 쉽고 재미있게 특강 형식으로 개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과목이다. 아울러 중국문학사상 주요 작가들의 주요 작품들을 부분적으로 해설하는 가운데 지혜와 감수성을 배우는 부수적인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 2019 1 HC313 HSK5급Ⅰ(HSK Level 5Ⅰ) 전공선택 新HSK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계된 국제 중국어능력 표준화시험(standardized tests, 標準化考試)이다. 新HSK 5급 레벨에 맞는 듣기(聽), 말하기(說), 읽기(讀), 쓰기(寫) 네 가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2019 1 HC315 관광중국어회화(Praction oral Chinese for Tourism) 전공선택 한중 양국간의 교류가 날로 확대되면서 중국 관련 전문직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관광관련 지식 및 실무를 담당할 수 있는 자유로운 중국어 구사능력을 배양한다. 2019 1 HC387 중국어UCC제작과운영관리1 (Creating and maintaining of Chinese UCC 1) 전공선택 한중창조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으로 중국어 블러그, 유튜브 등의 제작과 운영 관리를 2학기 동안 학습하고 직접 실습한다. 2019 1 HC388 중국음식문화의이해(Understanding of Chinese Food Culture) 전공선택 문화란 인류 생존과 발전의 방식이다. 즉 다른 문화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 문화를 가진 민족의 생존과 발전 방식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중국 문화 중 “음식(饮食)”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으로, 음식을 모르고 중국 문화를 논한다는 것은 불 꺼진 등대와 같을 것이다. 중국의 음식문화는 사회문화 활동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생존 가치, 예의 가치, 제사 가치, 사용 가치, 교역 가치 등의 사회 가치를 구비하게 된다. 본 교과목은 “먹기 위해 산다「千里作官, 为了吃穿」”, “맛으로 먹는다「食以味为先」”, “어울림이 중요하다「和为贵」”는 세 가지 관점에서 중국 음식 문화의 요체를 살펴보며, 음식의 종류와 지역별 특성 등을 소개하는 교과이다. 2019 1 HC392 취업창업성공전략(Successful Strategy Of Employment) 전공선택 사회진출을 앞둔 4학년에게 기업에서 요구되는 직무중심인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여, 자기분석,직무분석,기업분석 토대 직무중심 구직기술 습득을 주목표로 한다. 2019 1 HC396 글로벌비즈니스예절(Global Business Etiquette) 전공선택 직장 취업 및 근무, 그리고 국제 비지니스 활동에 필요한 각종 예절을 소개하고 숙지시킨다 2019 1 HC398 창의워크숍(Idea Workshop) 전공선택 산업 현장에서는 문제를 발견하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사업으로 전개시켜 나가는 프로세스에서 다수의 참여자가 함께 모여서 연구해 나가는 다양한 워크샵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워크샵 및 협업 방법론 (6x6, KJ발상법, OST, PMI, SCAMPER, SMART, SWOT, 만다라트, LEAN, 스크럼, 칸반, 스프린트 등)을 소개하고 실습을 통해서 익히도록 한다. 2019 1 HC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19 1 HC433 중국우화와동화콘텐츠(The Chinese Fables and the Fairy Tale) 전공선택 중국 우화를 소재로 하여 동화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2019 1 HC434 중국소수민족의역사문화(Research Work for the Culture of Chinese Ethnic Minority) 전공선택 중국 소수민족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중국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문헌자료와 함께, 각종 영상자료를 수집, 분석한다. 2019 1 HC540 무역중국어(Chinese Business Dialogues) 전공선택 졸업 후 취업 현장에서 중국과의 무역시 부딪치게 될 각종 공문서 작성 등 무역 업무에 필요한 현장 중국어를 습득하는 실용적 강좌로서 각종 공문과 무역 관계 서류 등을 실제로 작성하는 훈련으로 실용에 대처토록 한다. 2019 1 HC548 중국어문법(Modern Chinese Grammar) 전공선택 중국 국가 제정 1,168개의 문법 사항에 대한 소개와 학습을 통해 중국어 문법 체계를 이해한다. 2019 1 HC568 중국어청취Ⅰ(Chinese Listening CourseⅠ) 전공선택 녹음테이프와 비디오테이프 등 시청각 교육 자료를 통해 중국어에 친숙해지는 초급 과정이다. 2019 1 HC608 전시공간과스토리텔링(Storytelling in Exhibition-spaces ) 전공선택 전시공간은 다양한 주제의 전시 콘텐츠를 담아내는 공간 플랫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전시공간으로 박물관, 미술관, 테마파크, 박람회(엑스포), 관광단지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다양한 매체와 콘텐츠가 융·복합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전시와 전시공간 스토리텔링의 기본 이론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박물관, 미술관에서의 스토리텔링 적용방법 사례들을 검토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 날 동시대적인 콘텐츠와 결합하여 탄생하는 테마파크 등의 기초설계에 있어 이를 활용하여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2019 1 HC611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1 HC612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1 HC61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1 HC614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1 HC61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2 HC010 기초중국어회화Ⅱ(Elementary Chinese ConversationⅡ) 전공선택 모방과 연습을 통하여 일상 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기본적인 회화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126 기초중국어Ⅱ(Primary Course of Chinese Language Ⅱ) 전공선택 중국어 학습의 다섯 가지 요소(발음, 단어, 문법, 한자, 문화)에 대해 기본적인 학습을 진행한다. 2019 2 HC127 현장실습Ⅰ(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Ⅰ)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2 HC128 현장실습Ⅱ(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Ⅱ)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2 HC129 현장실습Ⅲ(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Ⅲ)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2 HC130 현장실습Ⅳ(Chinese Cultural Industry Placement Ⅵ)) 전공선택 중국문화산업 관련 기업체에서 직접 일하며 배우는 인턴과목 2019 2 HC200 기업가정신(Entrepreneurial spirit) 전공선택 벤처 창업가, 중국 진출 기업인 등을 초청하여 창업과 수성의 노하우를 전수 받는다. 2019 2 HC219 HSK4급Ⅱ(HSK Level 4Ⅱ) 전공선택 新HSK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계된 국제 중국어능력 표준화시험(standardized tests, 標準化考試)이다. 新HSK 4급 레벨에 맞는 듣기(聽), 말하기(說), 읽기(讀), 쓰기(寫) 네 가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2019 2 HC220 중급중국어회화Ⅱ(Advanced Chinese ConversationⅡ) 전공선택 모방과 연습을 통하여 일반 교제에서 많이 쓰이는 회화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221 콘텐츠영어실습 Ⅱ(Practicing Contents EnglishⅡ) 전공필수 영어로 된 영화, 게임, 광고 등을 보거나 경험하고 이들과 관련한 영어 텍스트를 읽고 영어로 토론과 작문을 함으로써, 문화콘텐츠와 직접 관련한 영어의 회화와 작문을 탄탄하게 익힌다. 2019 2 HC227 역사를움직인중국의여인(The Great Women of Chinese History) 전공선택 중국 역사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하여 중국의 역사를 움직인 여인들의 역동적인 삶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2019 2 HC230 중국어청취Ⅳ(Chinese Listening Cours IV) 전공선택 일상생활의 간단한 대화나 학습과 관련이 있는 강의 내용을 알아들을 수 있고, 의사소통 중에 흔히 쓰는 말이나 요구 사항을 알아들을 수 있으며, 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사항을 초보적인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299 중국현황Ⅱ(A survey of China II) 전공선택 현대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2019 2 HC309 HSK5급Ⅱ(HSK Level 5Ⅱ) 전공필수 新HSK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중국어 학습자들의 중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계된 국제 중국어능력 표준화시험(standardized tests, 標準化考試)이다. 新HSK 5급 레벨에 맞는 듣기(聽), 말하기(說), 읽기(讀), 쓰기(寫) 네 가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 2019 2 HC318 중국의동화(Chinese Fairy Tales) 전공선택 중국의 대표적인 전래동화와 현대 동화를 읽고 감상하면서, 중국어를 익히고 관련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초를 쌓는다. 2019 2 HC320 고급중국어회화Ⅱ(Advanced Chinese ConversationⅡ) 전공선택 직장 생활이나 사교 장면에서 의사를 소통할 수 있고, 일반적인 화제를 가지고 대화를 나누거나 본인의 생각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개인적인 관점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말한 내용이 일정한 연관성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321 영상중국어Ⅱ(udiovisual chinese class Ⅱ) 전공선택 다양한 영상텍스트를 교재로 활용하여 상황별 중국인의 언어 습관 및 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수준 높은 중국어 청취력을 제고시킨다. 또한 시청각적 접근을 통해 중국 사회 발전 동향을 이해하고 중국 문화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2019 2 HC322 HSK실습Ⅱ(HSK Test and Estimate Ⅱ) 전공선택 중국어 능력 검정 시험이 세계 각 국에서 실행되고 있는데, 이 시험은 단순히 언어능력만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지식과 중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다. 세계 각 국의 측정문제들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려 봄으로써 훗날 중국어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019 2 HC390 중국어UCC제작과운영관리2(Creating and maintaining of Chinese UCC 2) 전공선택 한중창조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으로 중국어 블러그, 유튜브 등의 제작과 운영 관리를 2학기 동안 학습하고 직접 실습한다. 2019 2 HC391 중국온라인비즈니스모델 (Online Business Model in China) 전공선택 한중창조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으로 淘宝·易趣·拍拍 등의 인터넷몰에 상점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과정을 익히고, 중국 파워 블로거[網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19 2 HC393 전산회계의이해(Introduction to Accounting Infomation) 전공선택 회계 원리(재무회계)에 따른 기본 지식을 갖추고, 기업체의 경리회계실무자로서 장부 회계의 실무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394 중국비즈니스모델(A study of China Marke) 전공선택 각 분야의 CEO들을 초청하여 중국 시장 진출 경험담을 청취하고, 질의응답을 통해 중국 시장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2019 2 HC395 의료서비스회화(Medical Chinese) 전공선택 매년 증가 추세에 있는 의료 관광 서비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회화 능력을 배양한다. 2019 2 HC397 그림으로읽는한국과중국의길상문화(Traditional Auspicious Symbols in China & Korea) 전공선택 동양의 전통 그림은 그림 속에 메세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읽어야만 한다. 그러나 전통의 단절로 그림을 읽는 방법이 전승되지 않아, 우리는 전통 그림을 보고도 그 담긴 뜻을 알지 못하게 되었다. 이 수업은 중국과 조선의 전통 그림 속에 담겨진 메세지를 읽는 법을 알려준다. 2019 2 HC399 프로젝트워크숍(Project Workshop) 전공선택 산업현장에서는 모든 업무가 프로젝트라고 할 정도로 거의 모든 업무가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프로젝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행 경험은 실무를 대비하는 소중한 실력이 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프로젝트의 개념부터 출발하여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PMI의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와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습하도록 한다. 수업은 이론보다는 가상의 프로젝트를 통한 협업과 실습을 통해서 실전에 활용 가능한 실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19 2 HC419 졸업논문(Thesis) 전공필수 2019 2 HC435 21세기와노장(Taoism & 21st century) 전공선택 노장사상이 중국 사상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특성을 밝히고, 노자 장자의 사상을 분석 검토하여, 그 사상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폭 넓게 이해하도록 한다. 2019 2 HC436 대만의생활문화(Life Culture of Taiwan) 전공선택 이 강좌에서는 우리와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인 臺灣의 다양한 생활문화에 대해서 학습한다. 臺灣의 역사와 지리, 정치, 언어, 영화, 대중음악, 문화유산 등을 살펴보면서 대만의 상황에 대해 폭 넓고, 심도 있는 이해를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2019 2 HC437 중국신화기행(Encounter with Myths in Chinese) 전공선택 중국의 신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실시한다. 문명사적 성찰을 바탕으로 중국 신화에 대한 생생한 탐구를 실시하여, 중국의 문화적 기반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한다. 2019 2 HC517 사랑과중국문학(Chinese literature about Love) 전공선택 사랑에 대한 중국문학의 명편들을 골라 감상하고 우리 삶의 핵심 축을 형성하는 사랑의 가치와 그에서 비롯되는 상상력의 넓이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2019 2 HC518 창업실무중국어(Practical Chinese Language of entrepreneurship) 전공선택 창업과 회사 업무 등에 쓰이게 되는 각종 관련 서류 및 공문 처리 등을 위한 글글[書面語]를 익히고 응용문을 학습한다. 2019 2 HC571 중국어청취Ⅱ(Chinese Listening Cours Ⅱ) 전공선택 녹음테이프와 비디오테이프 등 시청각 교육 자료를 통해 중국어에 친숙해지는 초급 과정이다. 2019 2 HC584 중국관광지리(Geography of tourism in China) 전공선택 중국은 면적이 960만 제곱킬로미터로, 세계에서 러시아 캐나다 다음으로 큰 국가이다. 즉 세계에서 관광자원이 가장 풍부한 나라라고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은 중국 관광 콘텐츠 제작을 위한 중국의 관광 자원 소개 및 관광 가이드나 자유 여행을 위한 관광 중국어 학습을 위해 개설되었다. 2019 2 HC610 문화마케팅과커뮤니케이션(Culture Marketing and Communication) 전공선택 문화의 힘은 소통과 공감에서부터 시작된다. 본 과목에서는 문화를 매개로 소통하는 사회적 시스템과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원리를 살펴볼 것이다. 문화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 더불어 문화를 활용하는 마케팅의 접근방법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동시대 트렌드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 과정을 통해 문화의 본질과 가치를 되짚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9 2 HC611 IPP1(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1)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2 HC612 IPP2(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2)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2 HC613 IPP3(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3)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2 HC614 IPP4(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4)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2019 2 HC615 IPP5(장기현장실습)(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5) 전공선택 IPP(장기현장실습) 대학교 교과과정 일부를 산업체 현장에서 단기현장실습(1~2개월)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기간(4개월~6개월)에 거쳐 이수하도록 하는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제도로서, 대학 기업 간 고용 미스매치에 따른 청년 실업 문제 해소하고 전공교육과 연계된 산업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습득하고 체계적인 현장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산학협력 훈련제도이다. 담당부서 : 중국어문화학과 전화번호 : 031-379-0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