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자료 링크연결
1) 사회혁신 일반분야
■ 이일영 (2017), 뉴노멀경제와 한국형 뉴딜, 동향과 전망 100호, pp78-117
■ 이일영, 정준호 (2017), 분권형발전을 위한 지역연합전략, 동향과 전망 101호, pp.68-106
■ 이일영 (2015), 글로벌생산분업과 한국의 경제성장, 동향과 전망 93호, pp. 9-51
2) 사회적경제 분야
■ 장종익 (2017), "협동조합기본법으로 설립된 협동조합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한국협동조합연구』35권 2호, pp. 81-101
■ Jang, J. (2017),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tate and Civil Society,"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onlinefirst
■ Jang, J.(2017) , "The Emergence of Freelancer Cooperatives in South Korea,"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Vol.88(1), pp. 75-89.
■ 장종익(2015), "협동조합의 유형화 분석: 과학기술분야의 신설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협동조합연구』33권 2호, pp. 79-98 (2015)
■ 장종익(2014), "사업자협동조합의 발전가능성 분석," 『한국협동조합연구』32권 3호, pp. 179-198 (2014)
■ 박종현, 장종익(2014), “마이크로파이낸스의 조직모형과 한국적 적용,” 『한국협동조합연구』32권 1호, pp. 95-126
■ 장종익(2014) , “최근 협동조합섹터의 진화,” 『한국협동조합연구』32권 1호, pp. 1-25
■ 장종익(2014) , "전후 유럽 소비자협동조합의 진화에 관한 연구-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동향과 전망』, 90호, pp. 262-295
■ 정선철, “고령사회와 마을 -마을공동체·사회적경제 내 중고령층 역할을 중심으로-” 『노인인력개발포럼』 제11호, pp.115~127.
■ 이상헌 (2016) , “사회적 경제를 통한 국제 개발 협력의 진화 : 필리핀 타워빌 (Towerville)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민주사회정책연구』, 민주사회정책연구원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9 권 0 호 (2016), pp.205-241
■ 장종익 (2107), "협동조합기본법 세행 5년의 성과와 혁신과제", 민주당 토론회
3) 기타 분야
■ 이상헌(2015), “닐 스미스의 자연의 생산 개념에 의한 청계천 복원사업의 비판적 해석”,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제 25 권 4 호, pp.88 ∼121
■ 이상헌(2015) “위험경관의 생산과 민주주의의 진화 : 삼척시 주민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 전망』, 96 호, pp.113~152 (2015)
■ Jintae, Hwang, Sanghun Lee, Detlef Muller-Mahn (2017), “Multi-Scalar Practices of the Korean State in Global Climate Politics: The Case of the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Antipode, vol. 49. issue 3., pp.657-676
■ 이기호(2016) , “평화도시네트워크를 통한 월경권역(sub-regionalism)의 가능성에 관한 시론: 동북아평화공간의 창출을 위한 구상” 『동향과 전망』, 통권 96호, pp. 179-213
■ 이기호(2015), “냉전체제, 분단체제, 전후체제의 복합성과 ‘한반도문제’에 대한 재성찰: 2015년 한반도를 둘러싼 기억과 담론의 전쟁”,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 29권, 242-271 (2015)
■ 이기호(2012), “동아시아 복합위기의 특성과 대응단위로서 평화도시의 가능성과 전략”, 『공간과 사회』통권 22권 3호, pp.39-65